소개글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신경외과 및 두개골 골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두개골골절
1.1. 정의
1.2. 원인
1.3. 임상증상
1.4. 진단검사
1.5. 치료
1.6. 간호
2. 두개골 골절 사례 보고
2.1. 자료수집
2.2. 간호과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두개골골절
1.1. 정의
두개골 골절의 정의는 외력에 의해 두개골에 골절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한다. 골절의 양상에 따라 선상골절(Linear fracture), 이개골절(Diastatic fracture), 분쇄골절(Comminuted fracture), 함몰골절(Depressed fracture)로 나뉜다. 선상골절은 가장 흔한 형태로 단독으로 골절선이 발생한 경우이며, 이개골절은 두개골의 봉합선이 벌어진 경우, 분쇄골절은 다수의 골절선이 발생하여 골편이 발생한 경우, 함몰골절은 골편이 단층되어 정상두개골보다 내려앉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골절의 위치에 따라 두개관골절(Skull vault fracture)과 두개저골절(Depressed fracture)로 구분할 수 있다. 두피의 손상 여부에 따라 단순골절 또는 복합골절(Compound fracture)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복합골절은 두피가 손상되어 두개골이 노출된 개방성 골절을 포함한다.
1.2. 원인
두개골 골절의 원인은 외력에 의한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외력에 의해 직접 발생하는 일차적 손상과 그 결과로 병태생리학적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적 손상 중 두개골 골절은 주로 일차적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외력의 범위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골절로 발생할 수 있는데, 좁은 면적에 큰 힘이 발생한 경우 천공, 함몰골절이 발생하고, 반대의 경우 선상 골절이 발생한다"" 두개골을 통과한 외력은 내부 조직으로 전달되어 다양한 동반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1.3. 임상증상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 심한 구역질과 구토 등의 의식이 있는 경우에서부터 실신이나 의식이 소실되는 경우까지 그 증상이 다양하나, 무엇보다도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갑작스럽고 머리를 망치로 맞아 깨질 것 같은 정도의 극심한 두통이다. 이 외에도 안구의 운동이나 동공의 움직임을 지배하는 동안 신경의 마비에 의해 안검하수(윗 눈꺼풀이 늘어지는 현상) 및 복시(사물이 이중으로 보이는 현상), 빛을 싫어하게 되는 광선 공포증이나 목이 뻣뻣해지는 등 전형적인 수막 자극 증상이 나타나며, 경련과 같은 발작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의식장애가 심하고, 혼수상태에서 깨어나지 않은...
참고 자료
김금순, 최경옥 외 (2013), 일곱째판 성인간호학 II, 수문사, p.1295-1304
강현숙 외 4명(2011), 근거기반 기본간호학I, 수문사 p563-608, p677-699
차영남 외, NANDA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 p304-342
두개골골절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드러그인포 > 약품상세검색
성인간호학 Ⅰ,Ⅱ (2019년8월판/퍼시픽북스/박순옥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