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거북목회복을위한 수기요법및운동요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거북목 교정을 위한 수기요법 및 운동요법
1.1. 정상목, 일자목, 거북목
1.2. 거북목 회복을 위한 수기요법 및 운동요법
1.2.1. 목, 어깨 주변의 이완
1.2.2. 멀리건 스트레칭
1.2.3. 월 슬라이드
1.2.4. YTW 운동
1.2.5. 고양이 · 낙타 자세
2. 운동치료를 위한 마사지의 효과 및 종류
2.1. 마사지의 정의와 종류
2.2. 스포츠마사지
2.3. 재활마사지
2.4. 마사지의 방법과 효과
3. 정체경락 마사지의 과학적 근거
3.1.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
3.2. 경락학설(經絡學說)
3.3. 정체경락(整體經絡, IBM 체형관리 프로그램)
3.3.1. 정체경락 마사지의 원리
3.3.2. 정체경락 마사지 방법
3.3.3. 정체경락 마사지의 효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거북목 교정을 위한 수기요법 및 운동요법
1.1. 정상목, 일자목, 거북목
정상목은 목의 앞뒤 굴곡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기준선이 머리중심선과 경추 극돌기와 일치하며, 최소한의 근육작용만으로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일자목은 본래 자연스럽게 유지되는 경추 커브가 사라진 일자형 경추로, 커브가 감소하면서 경추와 척추에 더 큰 무게가 전달되어 피로감을 준다.
거북목은 앞으로 쏠린 목과 머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목을 더 앞으로 기울이고 등을 구부린 상태이다. 이러한 일자목과 거북목은 습관을 통해 더욱 악화되고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반드시 교정이 필요하다. 거북목은 목의 질환이지만 목만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 목과 어깨, 척추를 정상 각도로 회복시키는 전체적인 교정이 요구된다.
1.2. 거북목 회복을 위한 수기요법 및 운동요법
1.2.1. 목, 어깨 주변의 이완
거북목 회복을 위한 수기요법에 있어 목과 어깨 주변의 이완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이는 딱딱해진 목 주변 근막을 먼저 풀어주지 않으면 수기요법이나 운동요법의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우선, 의자에 바른 자세로 앉아 손을 반대편 쇄골근처 어깨에 대고 고개를 위로, 오른쪽 사선으로 들어준다. 이 자세를 5초간 유지하고 반대쪽도 마찬가지로 시행한다. 이를 통해 목 근육의 이완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양손으로 목을 감싸 쥐고 가만히 댄 상태에서 조금씩 고개를 앞으로 구부려 뒤쪽을 늘려준다. 이 때 손으로 목을 누르거나 조르지 않고 피부를 아래쪽으로 살짝 밀면서 5초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손을 올려 반대편 어깨에 걸치고 아까보다 좀 더 등쪽으로 향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반대편 손으로 팔꿈치를 잡아주면서 목을 사선방향으로 숙여준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견갑골과 승모근 주변 근육이 풀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주의할 점은 허리를 구부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과 어깨 주변의 이완 동작은 거북목 교정을 위한 수기요법 및 운동요법에 선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딱딱해진 근육과 연부조직의 이완이 선행되어야 보다 효과적인 교정 및 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1.2.2. 멀리건 스트레칭
멀리건 스트레칭은 목뼈를 눈 방향으로 당겨준 후 고개를 뒤로 젖혀 거북목을 교정하는 방법이다. 이 운동은 도수치료나 추나치료에서 목을 견인하여 교정하는 과정을 수건을 이용하여 직접 할 수 있게 고안된 스트레칭 방법이다. 수건의 끈 부분을 눈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고개를 뒤로 젖힐 때 수건을 당기는 힘을 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 운동을 20회씩 3세트 실시하면 경추의 교정 효과를 볼 수 있다. 멀리건 스트레칭은 목뼈를 견인하여 눌린 신경을 압박을 해소하기 때문에 거북목 교정에 매우 효과적인 경추 스트레칭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목의 회전을 향상시키고 두통 완화에도 도움이 된다.
1.2.3. 월 슬라이드
월 슬라이드는 목을 교정하기 위해 어깨뼈를 함께 교정하여 정상적인 만곡을 만드는 운동이다"" 폼롤러를 벽에 대고 손날을 시작으로 손을 밀면서 위로 올려준다. 이 때 어깨가 귀와 가까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척추는 일자를 유지해야 한다. 처음에는 어깨너비 보다 넓게 팔을 벌려 시작하고 적응이 되면 점차 어깨너비 정도로 좁혀서 반복한다."
1.2.4. YTW 운동
YTW 운동은 거북목을 교정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운동법이다. YTW 운동은 맨몸운동으로, 백 인스텐션 ...
참고 자료
남궁형, 유성현, 『운동하는 물리치료사와 함께하는 30일 체형교정』, 한국경제신문, 2020.
코이데 토모히로, 한은미 옮김, 『근막 스트레칭』, 도어북, 2017.
황상보, 『거북목 교정운동』. 청림라이프, 2013.
만성요통의 재활치료 / 2007 / 대한의사협회지
운동선수 스포츠 손상 및 재활의 적용 / 2016 / Sport science
물리치료학 개론
보완대체자연요법 교안 열린사이버대학교 장완성
보완대체자연요법 저자: 장완성. 김송자. 김은주. 류서원. 이춘양 도서출판 미의창조
정체경락(整體經絡) 총론 저자: 장완성 ( Wan Song Chang ) , 김송자 ( Song Ja Kim )
12주간 정체경락(整體經絡)프로그램 실시가 중년 여성의 내반슬 하지부정렬 교정에 미치는 영향 저자: 김송자 ( Song Ja Kim ), 김종철 ( Jong Chul Kim ), 장명재 ( Myoung Jei Chang ), 장완성 ( Wan Song Chang ) 출처: 한국정체경락학회(구 정체경락연구학회) 한국정체경락학회지 | 2권 2호
원저 : 후경부 근이완 수기요법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저자: 김기중 ( Ki Joong Kim ) , 박지혜 ( Ji Hae Park ) , 김민희 ( Min Hee Kim ) , 정진우 ( Jin Woo Jung ) 출처: 한국정체경락학회(구 정체경락연구학회) , 한국정체경락학회지 | 2권2호
http://cafe.daum.net/KJIB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