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농협 주장면접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최초 생성일 2024.11.13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농협 주장면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농협 인적자원관리
1.1. 농협 중앙회 소개
1.2. 농협의 인재상
1.3. 농협의 인사관리 제도 현황
1.3.1. 조직도
1.3.2. 농협의 인재상
1.3.3. 인사관리 / 복리후생
1.3.4. 채용
1.3.5. 농협의 교육
1.3.6. 승진
1.4. 농협의 인사고과
1.4.1. 인사고과제도의 발전과정
1.4.2. 종합인사고과 규정의 개요
1.5. 농협 인적자원관리 인터뷰
1.5.1. 인터뷰
1.5.2. 인터뷰후 생각
1.6. 농협인적자원관리의 문제점
1.6.1. 인사고과자의 문제
1.6.2. 현행 인사고과 제도의 문제
1.6.3. 자기평가신고서의 활용문제
1.6.4. 인적자원적 관점에서 본 문제점
1.7. 농협인적자원관리의 개선방안
1.7.1. 능력개발형 인사고과제도 도입
1.7.2. 고과기준 ? 요소 ? 척도의 개선
1.8. 참고문헌

2. 대우증권의 인사제도
2.1. 대우증권 소개
2.1.1. 선정동기
2.1.2. 기업개요
2.1.3. 기업연혁
2.1.4. CEO소개
2.2. 대우증권 인재상
2.3. 대우증권 기업문화
2.4. 윤리경영
2.5. 대우증권의 인사관리
2.5.1. 모집 및 선발
2.5.2. 인사관리
2.5.3. 교육훈련
2.5.4. 보상제도
2.5.5. 경영참여
2.6. 결론

3. KB국민은행 인사(HR) 전략
3.1. KB국민은행 소개
3.1.1. 기업 비전 및 정신
3.2. KB국민은행 인사(HR) 비전, 원칙 및 인재상
3.3. KB국민은행 인사제도 및 채용전략
3.3.1. 인사제도 및 인재 확보전략
3.3.2. 채용전략 및 프로세스
3.3.3. 통섭형 인재
3.3.4. 채용 방식
3.4.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농협 인적자원관리
1.1. 농협 중앙회 소개

농협 중앙회는 1961년 8월 15일 농업협동조합법(법률 670호 1961.7.29. 제정)에 의해 개별 회원 농업협동조합의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회원조합의 공동이익 증진과 건전한 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농업협동조합의 단위조합과 특수조합을 회원으로 하는 전국 단위의 연합조직체이다. 주요사업은 ① 지도사업: 농업생산성 향상과 생활의 합리화, 농업인조합원의 경제·사회적 지위향상 도모, 농촌 복지문화 증진사업 ② 경제사업: 영농준비에서부터 농산물의 생산유통가공소비 단계에 이르는 전과정을 지원사업 ③ 신용사업: 농업자금의 조달·공급 및 농업인을 위한 각종 사업추진에 필요한 자금마련 등이다. 중앙회에는 비상임 임원인 회장 1인과 부회장 2인을 포함한 18인 이상의 이사와 2인의 감사가 있다. 농협은 2000년 7월 1일 통합 농업협동조합중앙회를 출범하였으며, 현재 39부, 1처, 5분사, 16개의 지역본부, 918개의 금융점포 80개의 사업소로 구성되어 있다.


1.2. 농협의 인재상

농협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건으로 차세대 리더 집중육성, 핵심역량 지속개발, 자기개발 동기부여, 농협이념 심화·정착, 세계화 대응 능력 개발을 꼽고 있다. 이러한 경쟁력을 갖춘 농협인에게 추구해야할 인재상이 있는데 거기에는 다섯 가지가 있다. 첫째는 진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창조인, 둘째는 스스로 학습하고 성장하는 학습인, 셋째는 지구촌 시대를 주도할 세계인, 넷째는 농협이념과 사명감이 투철한 협동인, 다섯째는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전문인이다. 이러한 조건들은 결국 21세기 세계일류 협동조합을 실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3. 농협의 인사관리 제도 현황
1.3.1. 조직도

농협 중앙회의 조직도는 39부, 1처, 5분사, 16개의 지역본부, 918개의 금융점포 80개의 사업소로 이루어져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충정로 1가 75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농협 중앙회는 회원 조합의 공동이익 증진과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된 전국 단위의 연합조직체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지도사업, 경제사업, 신용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지도사업은 농업생산성 향상과 농업인의 경제·사회적 지위 향상을 목표로 하며, 경제사업은 농산물의 생산부터 유통, 가공,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한다. 신용사업은 농업자금의 조달 및 공급, 각종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농협 중앙회의 조직체계와 사업 영역의 다양성은 농협이 농협법에 근거한 협동조합 기구이면서도 금융기관의 성격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1.3.2. 농협의 인재상

농협의 인재상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건으로 차세대 리더 집중육성, 핵심역량 지속개발, 자기개발 동기부여, 농협이념 심화·정착, 세계화 대응 능력 개발을 꼽고 있다. 이러한 경쟁력을 갖춘 농협인에게 추구해야할 인재상이 있는데 그것은 5가지이다.

첫째, 진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창조인을 들 수 있다. 둘째, 스스로 학습하고 성장하는 학습인이다. 셋째, 지구촌 시대를 주도할 세계인이다. 넷째, 농협이념과 사명감이 투철한 협동인이다. 다섯째,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전문인이다.

이러한 5가지 인재상은 21세기 세계일류 협동조합을 실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농협이 경쟁력 있는 조직을 만들기 위해 어떤 인재를 원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즉, 농협은 단순히 주어진 업무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이며 협동심과 전문성을 겸비한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3.3. 인사관리 / 복리후생

농협의 인사관리 / 복리후생은 다음과 같다.

농협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건으로 차세대 리더 집중육성, 핵심역량 지속개발, 자기개발 동기부여, 농협이념 심화·정착, 세계화 대응 능력 개발을 꼽고 있다. 이를 위해 5가지의 인재상을 정하고 있는데, 진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창조인, 스스로 학습하고 성장하는 학습인, 지구촌 시대를 주도할 세계인, 농협이념과 사명감이 투철한 협동인,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전문인이 그것이다. 이러한 인재상을 바탕으로 농협은 21세기 세계일류 협동조합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농협의 인사관리 제도를 살펴보면, 먼저 조직도는 39부, 1처, 5분사, 16지역본부, 918개의 금융점포, 80개의 사업소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농협의 인사관리는 채용, 승진, 교육, 평가 등 다양한 제도를 갖추고 있다.

먼저 채용 부문에서는 공개경쟁채용고시와 전형채용의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 공개경쟁채용고시는 5급·6급 중견직원과 6급 초급직원을 대상으로 한다. 반면 전형채용은 서류심사와 면접을 통해 4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는 5급, 전문대학 및 고등학교 졸업자는 6급으로 채용한다. 이 외에도 동종직무 자격증 소지자, 국가유공자 및 유족, 우수인력 등 특별한 채용 방식도 운영하고 있다.

복리후생 부문에서는 단순히 금전적인 보상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다양한 고충을 해결해주는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시스템이 주목된다. EAP 시스템은 직원들의 개인적인 문제, 대인관계 등을 전문 컨설팅 회사와 연계하여 지원해주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직원들의 고충을 덜어주고 있다.

이와 같이 농협은 인사관리 제도와 복리후생 프로그램을 통해 직원들의 역량 강화와 복지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1.3.4. 채용

농협의 채용은 크게 공개경쟁 채용고시와 전형채용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공개경쟁 채용고시는 5급, 6급 중견직원과 6급 초급직원을 대상으로 하며, 필기시험과 사무능력검사, 인적성 검사, 면접 등으로 진행된다. 5급의 경우 영어와 논문, 6급은 사무능력검사와 인적성 검사, 면접으로 구성된다.

전형채용은 서류심사와 면접을 통해 진행되며, 직무에 따라 필기시험 또는 실기시험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동종직무에 관한 자격증 소지자, 국가유공자 및 유족, 우수인력 등에 대해서는 별도의 전형 채용 방식이 적용된다.

모든 공개경쟁 채용고시 및 전형채용에서는 면접, 사무능력 검사, 인적성 검사를 거치게 되며, 채용 최종 합격자는 신체검사를 통해 결정된다. 이때 면접은 용모, 인품, 의사발표, 전문지식 등 5개 항목에 대해 20점씩 100점 만점으로 평가되며, 60점 미만 또는 1개 항목에서라도 12점 미만을 받으면 불합격 처리된다. 사무능력 검사와 인적성 검사에서도 일정 기준 점수 이하는 불합격 처리된다.

이처럼 농협은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자 다양한 전형 방식을 활용하여 우수 인재를 선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1.3.5. 농협의 교육

농협의 교육은 조합원교육, 회원 임직원 교육, 교육원 교육, 위탁교육, 해외연수, 현장교육(OJT), 기타교육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농협은 개인의 능력, 적성, 희망을 최대한 반영하는 인사정책을 통해 조직구성원 모두의 만족과 조직목표의 효율적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먼저 조합원교육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 및 경영능력의 향상과 협동조합이념 확산 등을 위해 회원의 조합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이다. 회원 임직원 교육은 회원의 임직원에 대한 농협이념 및 사업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조합 경영의 관리능력 배양을 위해 실시한다.

교육원 교육은 교육원(본회의와의 위탁교육협정에 의한 수탁교육을 담당하는 농협대학을 포함)에서 실시하는 교육이며, 위탁교육은 업무수행 상 필요하거나 업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하여 국내의 교육기관에 위탁하여 실시하는 교육이다.

해외연수는 학술연수와 업무연수로 나뉘는데, 학술연수는 농업관련 연구를 위하여 해외 정규대학 또는 대학원의 석사·박사 과정에 파견되어 현지에서 받는 교육이며, 업무연수는 업무수행상 필요한 지식의 연구 및 경험을 습득하거나 상훈, 우수직원 해외견학 등을 위해 해외에 파견되어 현지에서 받는 교육이다.

현장교육(OJT)은 상사나 선배직원이 부하 또는 후배직원에 대하여 직무를 통해 필요한 지식·기능·태도를 의도적·계속적으로 지도·육성하는 모든 활동이다. 그 밖에 사이버교육, 교양강좌, 부서별 업무교육 등이 기타교육에 포함된다.

농협은 교육이수학점제도를 운영하여 직급별 의무적인 교육이수학점을 요구하고 있다. 2급 직원은 4학점, 3급은 6학점, 4급은 7학점, 5급은 7학점, 6급 중견은 9학점, 6급 초급은 11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또한 승진을 위해서도 필수과정 이수가 요구되는 등 교육을 통한 역량개발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이처럼 농협은 다양한 교육체계를 구축하여 조합원과 직원들의 역량 향상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농협 전체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하고 있다.


1.3.6. 승진

농협의 승진은 직렬별로 직상위 직급에 승진함을 원칙으로 하며, 3급 이상 직급에의 승진은 임용하고자 하는 결원 수에 대하여 종합인사고과 평점에 의한 승진후보자 명부를 작성하여 교육훈련성적적성 기타 능력을 고려하여 임용한다. 또한 4급 직급에의 승진은 전형성적 또는 종합인사고과, 업적, 능력, 자격, 고시합격 년도 등을 참작하여 임용하며, 5급 직급에의 승진은 6급으로 실근무년 수 2년 이상인 자 중에서 6급 근무년수만 4년 경과자는 경과일 다음달 1일에, 5급 직원 초임호봉으로의 승급하는 자는 승급일에 자동 승진 임용한다.

승진에 있어 최소소요 기간은, 1) 2급에서 1급 직원으로 승진의 경우에는 2급 실근무년 수 3년, 2) 3급에서 2급 직원으로 승진의 경우에는 3급 실근무년 수 3년, 3) 4급에서 3급 직원으로 승진의 경우에는 4급 실근무년 수 4년, 4) 5급에서 4급 직원으로 승진의 경우에는 5급 실근무년 수 2년 이상인 자로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농협의 승진은 직렬에 따른 직급별 승진 소요 연수 및 최소 근무기간 등을 바탕으로 하되, 종합인사고과 결과와 능력, 자격 등을 함께 고려하여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특히 3급 이상 승진의 경우에는 전문성과 능력이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4. 농협의 인사고과
1.4.1. 인사고과제도의 발전과정

농협중앙회는 효율적인 인사운영과 경영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961년 10월부터 근무성적평정에 대한 사항을 인사규정에 정하고 간부직원과 노무직을 제외한 전 직원에 대하여 근무성적고과와 적성고과를 병행, 책임자 승진고과에 가산하거나 과장급 이상 승진 시 또는 기타인사관리에 반영하여 왔다.

1970년에는 종합인사고과제도를 도입하여 평정요소를 근무성적, 업무실적 및 경력평정의 3가지로 조정하였다. 1974년 12월에는 종전까지 연 2회 실시해 오던 고과를 연 1회로 변경하는 한편, 업무실적평가제를 폐지하고 직원의 기본자질을 파악하여 이동, 능력개발, 교육 훈련 등에 반영하기 위하여 적성평정을 실시토록 하였다. 또한 고과평정의 신뢰성과 공정성 및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보를 비롯하여 도지부? 직할시조합? 군 조합별로 평가자를 지정하고 직급별 피평가자의 상위감독자를 1차 평가자 및 2차 평가자로 구분하였으며 종합인사고과 서열명부를 작성, 인사운영에 반영하여 왔다.

1992년에는 종합업적평가 결과를 고과에 반영하고 근무성적평정 방법을 세분화하는 동시에 평가회수를 연 2회로 ...


참고 자료

전략적 인적 자원관리 이학종, 양혁승 저
Print 6장 인적자원의 조정 및 통제
김정주, 박종수, “농업관련 협동조합 구조조정 및 경영관리 개선방안”, 농업경제학회 ’02하계 심포지움 발표 논문집, 한국농업경제학회, 2002.
장종익, “농협의 장기 비전과 체제개혁방향”, 한국협동조합연구소, 2002
21세기 인적자원관리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김창의 / 한국전통상학연구 제15집 제2호

황상민, 권태연(2012), < 조직에서 채용하고 싶은 인재의 특성: 한국 사람들이 생각하는 조직의 인재상 >, 한국심리학회지
박기덕(2012), <한국 다문화사회의 현황과 문제점 및 대응방안>, 세종정책연구
최재천, <통섭(Consilience) – 지식의 대 통합>
(2012), <반기보고서>, 국민은행
최규술(2012), , 한국경제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112681131
김부원(2012), <국민은행, 체계적인 해외진출로 ‘신 수익원 창출’>, 아주경제 http://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21109000265
이도희(2012), ,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090679241
박엘리(2012), <한국 출산율 189개국 중 175위 “최하위”>, 이투데이,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654272
김유경(2012), <”락스타(樂star)에 빠진 후 10년 젊어졌다.”>, 머니투데이,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110909522063466&outlink=1
고유선(2012), <은행권, 불황에 ‘몸집 줄이기’ – 지점 통폐합 가속도>, 연합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5947350
김지영(2012), <민병덕 국민은행장, “고객중심 경영으로 혁신해야”>, 데일리안,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312865&sc=naver
황진영(2012), <세계적 금융회사들 잇따라 한국 철수-사업 축소 왜>, 동아일보,http://news.donga.com/3/all/20121128/51172694/1
국민은행 홈페이지 https://omoney.kbstar.com/quics?page=oabout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