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언어발달의 사회적 상호주의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비고스키의 사회적 상호작용주의
2.1. 근접발달영역
2.2. 언어의 역할
2.3. 사회적 상호작용과 언어발달
3. 비고스키의 사회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에 근거한 언어발달의 예
3.1.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3.2.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비고스키는 아동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동이 거주하고 있는 환경의 문화에 내재된 역사적인 본질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아동은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통해 아동이 직면하는 문화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요구, 기회와 늘 맞닿아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살펴봤을 때 비고스키의 사회문화적 상호작용주의에서는 환경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환경은 아동의 발달과정에 있어서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침 시간에 아동을 재울 때, 각각의 문화권에서는 그 방법이 모두 다른데 이러한 문화적 차이는 아동의 성격이 발달하는 과정에 차이를 불러올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이를 재울 때 업어서 재우거나 아동이 어느 정도 자랄 때까지 부모가 아동과 함께 자는데, 이러한 문화적 환경은 아동의 성격을 의존적으로 만들 수 있다""
2. 비고스키의 사회적 상호작용주의
2.1. 근접발달영역
비고스키는 근접발달영역 개념을 제시하면서, 아동이 자신의 실제 발달수준과 잠재적인 발달수준 사이에 존재하는 "근접발달영역"에서 성인이나 또래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근접발달영역이란, 아동이 혼자서는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나 문제를 성인이나 능력있는 또래의 도움을 받아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수준을 의미한다.""아동은 이 영역 안에서 점차 자신의 능력을 확장해 나가며, 궁극적으로는 혼자서도 해결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게 된다.""즉, 근접발달영역은 아동의 현재 수준과 장래에 도달할 수 있는 잠재적 수준 사이의 영역으로, 성인이나 또래의 도움을 통해 아동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내면화할 수 있는 발달 공간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비고스키는 아동의 발달이 스스로의 힘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성인이나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이러한 관점에서 근접발달영역은 교육 및 학습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 된다.""교사나 부모는 아동의 근접발달영역을 파악하고, 이 영역 내에서 적절한 도움과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의 잠재적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2.2. 언어의...
...
참고 자료
김수연,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화학과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09.
최미옥, 비고츠키의 발달이론에 비추어 본 언어와 도덕성 발달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2004.
김영실 . 2006 . 영유아를 위한 언어지도
임미선 . 2009 . 아이미소 유아교육개론
이윤옥(Lee Yeun Ok).(2006). 유아학급에서 교사와 유아의 효율적인 상호작용 - 비고스키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0(3): 125-153
한진리. 2019. '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을 통해 본 조력자의 중요성. 교육정책뉴스.
정효진. 2020. 아이에게 “나가자” 대신 “외출하자” 말해볼까요?. 베이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