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골골절 케이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11.12
5,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종골골절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골절의 정의와 특성

2. 종골 골절
2.1. 발의 해부학적 이해
2.1.1. 발의 기능
2.1.2. 발의 형태 및 구조
2.2. 종골 골절의 원인
2.3. 종골 골절의 증상
2.4. 종골 골절의 합병증
2.4.1. 연부조직 괴사
2.4.2. 열개창
2.4.3. 심부감염
2.4.4. 구획 증후군
2.4.5. 비복 신경 병변
2.5. 종골 골절의 진단
2.5.1. X-ray 촬영
2.5.2. CT 촬영
2.5.3. MRI 촬영
2.5.4. 골주사 검사
2.6. 종골 골절의 치료 및 간호
2.6.1. 비수술적 치료
2.6.2. 수술적 치료

3. 사례연구
3.1. 간호력
3.2. 임상소견
3.3. 간호과정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골절은 대개 물리적 힘에 의해 많이 발생되는데, 그중 종골 골절은 예후가 좋지 않은 골절로 효과적으로 치료하기가 가장 힘든 골절 중 하나로 남아있다. 현재 종골 골절은 족근골 골절 중 가장 흔하며 전체 골절 중 약 2%정도를 차지한다. 종골 골절 중 전위된 관절 내 골절은 60~75%를 차지하고, 종골 골절을 가진 환자의 10%는 척추 골절과 관련되어 있으며 26%는 다른 사지 손상과 관련되어 있고 약 90%는 작업 중인 젊은 남자에서 발생하며 이 손상의 대다수는 산업근로자들에게 발생한다. 따라서 나은병원 8B병동의 주요 진료과인 일반외과, 신경외과, 비뇨기과 환자들 중에서도 특히 정형외과 환자 중 종골 골절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과 치료법, 간호법에 대해 알아보며 공부하고자 한다.종골은 발뒤꿈치 부위에 있는 족근골의 하나로 상면은 거골이 실려 있고 3개의 면에서 관절을 만들고 있으며, 전방은 입방골과 관절면에서 접해있다. 종골 골절은 자동차 사고나 추락에 의하여 골절이 발생하는데, 뒤꿈치가 지면과 닿는 부위의 중앙점이 발목 관절의 중앙점 보다 외측에 있으므로 뒤꿈치를 포함하는 골편이 외측 상방으로 전위된다. 또한 발목이 삐끗하여 종골의 일부에서 골편이 떨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종골 골절로 인하여 뒤꿈치 및 발목 부위가 심하게 붓고 압통과 변형 등이 나타나는데, 내부의 출혈이 붓고 심한 경우에는 발 전체에 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다른 부위의 손상이 심하여 뒤꿈치의 통증을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뒤꿈치의 통증이 심하여 다른 부위의 손상을 간과할 수 있으므로 낙상 환자에서는 반드시 종골 골절 및 다른 동반 손상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종골 골절의 주요 합병증으로는 연부조직 괴사, 열개창, 심부감염, 구획 증후군, 비복 신경 병변 등이 있다. 연부조직 괴사는 수술 창상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고, 열개창은 약 25%까지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상처 합병증의 위험인자는 흡연, 당뇨, 개방성 골절, 고비만 단일층 봉합으로 알려져 있다. 심부감염은 종골 수술 후 감염으로 곧 골수염을 의미하며, 구획 증후군은 사지의 한정된 공간이나 구획에 종창이나 압력이 상승하여 근육과 신경, 혈관을 압박하는 것이다. 또한 비복 신경 병변은 신경종(neuroma) 또는 신경압박 증후군의 발생을 의미하며 종골 외측벽의 돌출로 인한 압박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처럼 종골 골절은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효과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치료 방법으로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는데, 비수술적 치료는 심한 말초 혈관 장애, 제 1형 당뇨병, 수술을 제한할 수 있는 내과적 질병, 원래 잘 거동하지 않는 고령자 등의 경우에 선호된다. 수술적 치료는 후방 관절면을 포함한 전위된 관절 내 골절의 치료로 보편화 되어 있다. 수술의 목표는 정렬의 해부학적 회복과 통증 없는 기능의 회복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나은병원 8B병동에 입원한 정형외과 환자 중 종골 골절 환자의 사례를 통해 종골 골절의 원인, 증상, 합병증, 진단, 치료 및 간호 등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여 이해도를 높이고자 함이다.


1.2. 골절의 정의와 특성

골절은 대부분 물리적 힘에 의해 발생하며, 골절된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과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골절이란 뼈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끊어지는 것을 말하며, 뼈가 부러지는 것뿐만 아니라 근육, 혈관, 신경, 건, 관절 등 다른 조직들도 함께 손상받을 수 있다. 골절은 외상 후 가장 흔한 상황이며,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다.

골절의 원인은 크게 직접적인 외상과 간접적인 외상으로 구분된다. 직접적인 외상은 자동차 사고, 타박, 총상 등으로 인한 골절이며, 간접적인 외상은 갑작스러운 힘으로 인해 뼈에 붙어있는 근육이나 인대가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발생하거나 뼈에 회전력이 가해져 골절이 일어나는 경우이다. 특히 종골 골절은 높은 곳에서 추락하여 발뒤꿈치가 강하게 부딪힐 때 주로 발생한다.

골절의 주요 증상으로는 통증, 부종, 변형, 점상출혈, 감각 이상 등이 있다. 특히 종골 골절은 발과 발목 부위의 심한 통증, 부종, 변형으로 나타난다. 심한 외상으로 인한 골절은 장기 손상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쇼크 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

골절의 합병증으로는 연부조직 괴사, 열개창, 심부감염, 구획 증후군, 비복 신경 병변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연부조직 괴사는 수술 창상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열개창은 상처 합병증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심부감염은 골수염을 야기하며, 구획 증후군은 사지의 한정된 공간에 압력이 상승하면서 근육과 신경, 혈관을 압박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비복 신경 병변은 종골의 외측벽 돌출에 의한 압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골절은 다양한 증상과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는 중요한 질환으로, 골절 환자의 치료와 간호 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2. 종골 골절
2.1. 발의 해부학적 이해
2.1.1. 발의 기능

발의 주된 역할은 서 있거나 걸을 때 몸을 지탱해주고, 이동 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발에는 내측 세로궁, 외측 세로궁, 전족부 가로궁, 중족부 가로궁 등 4개의 아치가 있다. 이 아치들은 서 있거나 걸을 때, 달릴 때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아치가 없다면 원상 회복력이 현저히 감소되어 이동시 충격 흡수를 할 수 없다. 또한 평발의 경우처럼 발을 질질 끄는 걸음을 하게 되며 이동시 지렛대 기능을 상실한다. 따라서 발의 아치는 서있거나 걸을 때 몸을 지탱하고 이동시 충격을 흡수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2.1.2. 발의 형태 및 구조

발의 형태 및 구조는 다음과 같다.

발은 총 26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세 부분으로 나뉜다. 뒤발(후족부), 중간발(중족부), 앞발(전족부)로 정렬되어 있다.

뒤발(hindfoot)은 목말뼈(거골, talus)와 발꿈치뼈(종골, calcaneus)로 이루어져 있다. 발꿈치뼈는 발을 구성하는 뼈 중 가장 크며, 체중을 지탱하여 균형을 이루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간발(midfoot)은 발배뼈(주상골, navicular), 입방뼈(cuboid), 쐐기뼈(설상골, cuneiform)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뼈는 뒤발과 앞발의 관절을 이룬다.

앞발(forefoot)은 발허리뼈(중족골, metatarsal)와 발가락뼈(족지골, phalanx)로 구성된다. 발허리뼈는 전방의 머리, 가운데 부분의 몸통, 후방의 바닥으로 이루어져 있다. 발가락뼈는 각각 3개씩의 골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엄지발가락만 2개의 발가락뼈가 있다.

발에는 26개의 뼈 이외에도 2개의 종자뼈(sesamoid)가 제1 발허리뼈 머리 부분의 바로 밑에 있다. 이 종자뼈에 힘줄(건, tedon)이 통과하여 엄지발가락 뼈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발에는 19개의 근육과 힘줄(건)이 존재하며, 이중 18개가 발...


참고 자료

김금순 외 공저, 『성인간호학1』,수문사,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 (https://www.koa.or.kr/info/n/index_6_2_3.ph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www.snuh.org/)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Main.do)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킴스 (http://www.kimsonline.co.kr/)
대한간호학회,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대한족부관절학회지 제 16권 제2호 2012(J Korean Foot Ankle Soc. VoL. 16. No. 2. PP.79~86, 2012) -종골의 부정 유합,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족부관절센터 정형진
대한족부관절학회지 제 17권 제2호 2013(J Korean Foot Ankle Soc. VoL. 17. No. 2. PP.84~92,2013)- 종골 골절의 합병증,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배서영
나은병원 1.1.4 낙상예방 규정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이영휘 김성혁 김정아 외 『성인간호학(volume1)』 정담미디어(2013)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건강정보-족부 족관절 골절-종골 골절
입원환자 병문안 문화 개선 캠페인 www.goodhvc.org
드러그인포
‘성인간호학’상권 /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 / 현문사/ 6장 수술간호
‘성인간호학’하권 /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 / 현문사/ 334~355p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