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교육 교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았/었- 문법 소개
1.1. 과거형 문법의 개념과 용법 설명
1.2. 과거형 문법의 결합 규칙 제시
1.3. 과거형 문법의 연습 및 활용
1.4. 과거형 문법의 이해도 점검
2. 통사적 피동표현 '-아지다/-어지다'
2.1. 통사적 피동 개념 및 특징 설명
2.2. '-아지다/-어지다' 결합 규칙 제시
2.3. '-아지다/-어지다' 문장 연습 및 활용
2.4. '-아지다/-어지다' 이해도 점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았/었- 문법 소개
1.1. 과거형 문법의 개념과 용법 설명
과거형 문법은 동작이나 상태가 현재가 아닌 과거에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문법이다. 한국어에서는 'V/A-았/었-' 형태로 과거형을 나타낸다. 과거형 '-았/었-'은 동사나 형용사 어간에 결합하여 과거의 동작이나 상태를 표현한다.
'가다'의 경우 현재형은 '가요'이지만, 과거형은 '갔어요'가 된다. 즉 '가-'에 '-았/었-'이 결합하면서 과거의 동작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형용사의 경우에도 '좋다'의 과거형은 '좋았어요'가 된다.
과거형 문법은 다음과 같은 용법으로 사용된다. 첫째, 완료된 과거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제 친구를 만났어요."와 같이 과거에 일어난 동작을 표현할 수 있다. 둘째, 습관적인 과거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예전에는 매일 운동했어요."와 같이 과거에 반복적으로 일어났던 일을 나타낼 수 있다. 셋째, 과거에 비해 현재 상태가 변화했음을 나타낸다. "아이가 많이 컸어요."와 같이 과거와 현재의 상태 차이를 드러낼 수 있다.
이처럼 과거형 문법은 과거의 동작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중요한 문법 요소이다. 학습자들은 이러한 과거형의 개념과 용법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1.2. 과거형 문법의 결합 규칙 제시
한국어의 과거형 문법은 '-았/었-'을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결합하여 과거의 사실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이다. 이 '-았/었-'은 기본적으로 특정한 시점에 완료된 동작이나 상태를 의미하는데, 그 결합 규칙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었-'이 결합한다. 예를 들어 '먹다'의 경우 어간 '먹-'에 '-었-'이 결합하여 '먹었-'이 되며, '좋다'의 경우 어간 '좋-'에 '-었-'이 결합하여 '좋았-'이 된다.
둘째,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았-'이 결합한다. 예를 들어 '가다'의 경우 어간 '가-'에 '-았-'이 결합하여 '갔-'이 되며, '크다'의 경우 어간 '크-'에 '-았-'이 결합하여 '컸-'이 된다.
셋째, '하다'로 끝나는 용언의 경우에는 특별한 형태 변화가 일어나는데, 어간 '하-'에 '-었-'이 결합하여 '했-'이 된다. 예를 들어 '공부하다'는 '공부했-'으로, '춤추다'는 '춤췄-'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과거형 문법의 결합 규칙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과거 시제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며, 고유어 및 한자어 용언뿐만 아니라 외래어 용언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학...
참고 자료
이수진(20088), 한국 대학생에게 나타나는 수동태 오류 분석 : 능격 동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까녹완 판짜뢴(2013), 한·태 속담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중급 태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난매매(2011),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 표현 교수 모형,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삼삼(2012), 한국어 피동 표현의 교수 방안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배(201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 표현의 교육 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나영(2003),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성 표현의 교수 모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수진(20088), 한국 대학생에게 나타나는 수동태 오류 분석 : 능격 동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까녹완 판짜뢴(2013), 한·태 속담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중급 태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난매매(2011),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 표현 교수 모형,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삼삼(2012), 한국어 피동 표현의 교수 방안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배(201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 표현의 교육 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나영(2003),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성 표현의 교수 모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