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에라스무스 교육사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에라스무스의 교육사상
1.1. 에라스무스와 인문주의
1.2. 에라스무스의 지적 배경
1.3. 에라스무스의 인간 이해
1.3.1. 육체와 영혼의 인간
1.3.2.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
1.3.3. 자유의지의 인간
1.4. 에라스무스의 교육사상
1.4.1. 인간과 교육
1.4.2. 교육의 가능성과 방법론
1.4.3. 종교교육
1.4.4. 우신 예찬
1.5. 에라스무스의 교육사상사적 의의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에라스무스의 교육사상
1.1. 에라스무스와 인문주의
에라스무스는 북유럽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인문주의자였다. 에라스무스는 중세 기독교 문화의 제한적이고 억압적인 성격에서 벗어나 인간 자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새로운 흐름인 인문주의 운동을 완성시킨 인물이다.
인문주의(Humanism)는 중세 기독교 중심 사회에서 종교에 의해 속박되고 억압된 인간성의 해방을 목표로 삼았던 사상이다. 인문주의의 핵심은 인간의 잠재력과 창의력이었으며, 교육은 이러한 인간성을 일깨워 발견하는 과정으로 여겨졌다. 인문주의자들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학문과 사상을 이상으로 삼아 현세적인 인간성을 옹호하고 존중하였다. 이는 르네상스 운동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에라스무스는 이러한 인문주의 사상의 완성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기독교 신앙과 고전문학의 지식을 결합시켰으며, 학문적 엄격성과 교양을 갖춘 인문주의자로 여겨졌다. 에라스무스의 인문주의 사상은 중세 기독교 문화의 한계를 비판하고, 인간 중심적이고 자유로운 사고를 추구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의 사상은 근대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역할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1.2. 에라스무스의 지적 배경
우선 에라스무스가 살던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면, 14세기부터 중세 사회의 경제적 기반이 동요하고 중세적 세계관이 붕괴되기 시작하였다. 14-15세기에 걸쳐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새로운 문화, 사상의 경향이 유럽 전역으로 파급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인본주의, 현세성, 자유, 자연주의의 가치관으로 대표되는 르네상스 운동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에라스무스는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태어났다.
에라스무스는 12살 때 데벤터의 대표적인 인문주의 교육기관에 입학하여 당시 저명한 인문주의자였던 루돌프 아그리콜라의 영향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에라스무스는 인문주의 사상을 접하게 되었다. 이후 16세에 부모의 죽음으로 좋은 도서관을 갖춘 어거스틴 수도원에 들어가게 되는데, 여기서 에라스무스는 기독교 인문주의자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그는 기독교적 관점과 고전주의적 학문 전통을 조화롭게 결합하는 그리스도 철학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수도원 생활에서 에라스무스는 스콜라 신학의 한계에 대한 깊은 회의감을 느끼게 되었고, 이후 파리 대학에 유학하면서 인간의 존엄성과 그리스도교의 핵심 사상인 피에타스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게 된다. 특히 1499년 영국을 방문하면서 콜렛과 모어를 만나면서 기독교 인문주의자로서의 입장을 더욱 공고히 하게 되었다.
이처럼 에라스무스의 지적 배경은 르네상스 시대의 문화적 조류와 함께 그의 인문주의적 교양 및 기독교 신앙 전통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는 당시 사회에 만연했던 중세적 폐단을 비판하고 새로운 인간관과 교육관을 제시한 선구적 인물이었다.
1.3. 에라스무스의 인간 이해
1.3.1. 육체와 영혼의 인간
에라스무스는 인간을 육체와 영혼이라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이해하였다. 육체는 가시적이고...
참고 자료
김명신,『위대한교육사상가들Ⅰ』,교육과학사,1999.
이상현,『유아교육사상사』,세종출판사,2000,pp.55~57.
이승원,에라스무스의 아동중시 교육사상 연구,『慶州專門大學 論文集』,慶州專門大學,1995,p.374.
정찬주외,『교육철학및교육사』,양서원,1995,p.182
한스쇼이얼,『교육학의 거장들』,한길사,2004,p.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