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깊은 한국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뿌리깊은 한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사 인물의 재평가
1.1. 의자왕 재평가
1.1.1. 의자왕 선정 이유
1.1.2. 7세기 삼국의 상황
1.1.3. 의자왕 생애와 통치
1.1.4. 의자왕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반박
1.1.5. 의자왕에 대한 나의 평가
1.2. 궁예 재평가
1.2.1. 궁예 선정 이유
1.2.2. 궁예의 일생
1.2.3. 궁예의 정책
1.2.4. 궁예에 관한 기존 인식
1.2.5. 궁예에 관한 재평가
1.3. 선조 재해석 및 재평가
1.3.1. 선조 선정 이유
1.3.2. 선조에 대한 부정적 평가
1.3.3. 선조에 대한 긍정적 평가
1.3.4. 선조에 대한 재해석 및 재평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사 인물의 재평가
1.1. 의자왕 재평가
1.1.1. 의자왕 선정 이유

의자왕을 재평가되어야 하는 인물로 선정한 이유는 의자왕의 시대에 고구려와 여제동맹을 결성하여 신라를 거세게 밀어붙였고, 강력한 중앙 집권 국가가 아닌 귀족 중심 사회였던 백제에서 왕권을 강화하려고 힘썼기 때문이다. 물론 말년에 초반과 다른 인물이 되어 망국의 군주가 되었기도 하지만 또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에 망국의 군주였던 의자왕에 대한 기록이 안 좋게 기록되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저자에게는 흥미로워서 의자왕에 대해 다시 알아보고 평가하기 위해 선정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1.2. 7세기 삼국의 상황

7세기 삼국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 이 시기에 한반도에서는 신라가 전성기를 맞이하였고, 신라와 백제는 힘을 합쳐 고구려를 한강에서 몰아냈다. 신라의 진흥왕 시기에 고구려를 공격해 함경도까지 진출하면서 신라 역사상 최대 영토를 가지게 되었지만, 이후에 고구려, 백제를 상대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어 중국에게 계속 도움을 요청하는 계기가 되었다.

고구려는 중국 통일 왕조인 수나라에 맞서 고구려-수 전쟁을 벌이며 크게 승리하였지만, 다시 당나라가 등장하고 돌궐이 당나라에 의해 멸망하자 천리장성 축조 등 중국에 신경을 더 기울이게 되었다. 영류왕이 시해되고 연개소문이 실세로 통치하면서 고구려와 당은 긴장관계에 빠져들게 되었다.

백제는 서동요의 주인공 무왕이 통치하던 시기에 신라에 한강을 빼앗긴 이후 열세에 있었지만, 신라를 계속 압박하면서도 중국과는 척을지지 않으면서도 이용하는 등 자연스럽게 신라,당 vs 고구려,백제 구도가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신라는 나라가 시달리자 한강 유역을 통해 중국과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여 갔고, 고구려는 연개소문에 의해 중국에 대한 강경한 자세를 취했으며, 백제는 신라에게 한강 유역을 빼앗긴 뒤로 삼국 중에서 가장 열세에 있었지만 신라를 계속 압박하면서 중국과도 관계를 이용하려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1.3. 의자왕 생애와 통치

의자왕은 백제 제30대 무왕의 장자로 태어났다. 어머니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서동설화의 미륵사 사리봉안기의 기록을 통해 선화공주 혹은 사택적덕의 딸로 추정된다. 의자왕은 632년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정확한 출생년도는 전해지지 않고 있지만, 아들의 나이로 추정해봤을 때 30대 중반이 넘어서야 태자로 책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641년 무왕이 죽자 즉위하였고, 역사적 기록을 볼 때 40대 중반이 넘은 나이에 즉위했을 것으로 보인다.

왕이 된 이듬해 어머니가 죽자 아우 왕자의 자식인 교기를 비롯해 40여 명을 섬으로 추방한 것으로 보아 세자 때부터 권력에 대한 다툼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즉위한지 얼마 되지 않은 642년 7월 자신이 군사를 거느리고 신라의 40여 성을 빼앗고, 다음 달인 8월에는 윤충이 신라의 수도인 경주로 가는 요충지인 대야성을 함락시켜 훗날 신라의 태종 무열왕이 되는 김춘추의 사위인 성주 김품석을 죽이게 된다. 이는 김춘추가 고구려, 당나라, 왜를 직접 돌아다니면서 외교를 하면서 당나라와 연합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의자왕은 즉위 후 펼친 외교를 보면 백제의 전통적인 우방국인 왜와도 지속적으로 교류한 흔적이 일본서기 등에 남아있어 왜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여긴 것으로 판단된다. 대중외교로는 처음에는 계속해서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면서 관계를 다졌지만 나중에는 고구려와 중국 사이에서 양면적인 외교노선에서 친고구려 정책으로 돌아서게 된다. 의자왕은 고구려가 백제를 막아주는 방파제가 될 수 있다는 현실적인 필요성에 의해 친고구려 정책을 취하게 되고 이를 이용해 신라를 고립시켜 신라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 했을 것이다.

또한 의자왕은 집권 초기에 유교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의자'라는 이름 자체가 유교적 색체가 짙은 이름이며 신하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면서, 여러 영토를 순찰하고 죄수들을 석방하는 등 유교적 정치를 바탕으로 민심을 수습하였다.

643년에 고구려는 대야성 전투의 패배를 갚기 위해 군사를 요청한 신라의 김춘추를 내치고 백제와 전면 화친을 맺는다. 그리고 백제는 고구려와 함께 신라가 당나라와 통하는 요충지인 당항성을 공격을 시도하는데 당의 개입으로 실패하지만 이때부터 고구려와 백제는 적대 관계를 청산하고 여제동맹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도 의자왕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관계를 유지하려고 하는 등 국제관계에 신경을 썼다.

이후 655년에는 고구려와 함께 신라의 30여성을 함락하는 등 주도권을 가지고 신라를 압박했다. 이때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의 압박을 심하게 받아 멸망 직전의 상황까지 몰리게 된다. 이 이후로도 의자왕 시대에는 신라와는 끊임없이 전쟁을 지속하게 된다. 의자왕 재위기간에 백제는 신라를 낙동강 동쪽으로 몰아내고 소백산 넘어서까지 영토를 넓히게 된다.

의자왕은 신라를 대차게 압박한 이유는 원래 백제와 신라가 합해 고구려를 한강 유역에서 몰아내었지만 신라가 배신하여 한강 유역을 상실하게 되어 이 부분에서 엄청난 반감을 일으켜 압박한 것으로 ...


참고 자료

https://m.blog.naver.com/lkokvse78/221631227651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1) -6세기말 7세기초 동북아시아의 국제 정세, 남북 세력과 동서세력의 대립
http://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menu_cate=history&id=&board_seq=47139&page=12&board_code= 의자왕에 대한 평가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3357 의자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C%9D%98%EC%9E%90%EC%99%95 Encyves 위키
홍창우, 2022, “삼국사기의 궁예 가계 및 출생 관련 정보에 대한 후대의 수용 방식 문제”,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제 199집
김주성, 2019, “궁예와 고려 태조의 농미정책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보 제47호
『삼국사기』 권50, 列傳10, 甄萱
궁예 (弓裔), n.d, 한국미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6789
매거진 환경, ‘선조왕릉의 카카오맵 별점은 왜 1.4인가 [이명지의 IT뷰어]’ 中
선조실록 93권, 선조 30년 10월 20일 정축 1번째기사
선조실록 29권, 선조 25년 8월 2일 기축
선조실록 27권, 선조 25년 6월 24일 임자 1번째기사
선조 36년 6월 26일 신해 2번째기사
‘호성공신 별교서’ 中
이한우『선조 조선의 난세를 넘다』, 해냄, 2007, p.8. ;『함규진 선조 나는 이렇게 본다』, 보리 한국사, 2012, p.19.
이수광,『지봉유설』권15,「인물부인재」
정만록. 이호응 역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기록유산 Encyves’ 中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