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흡연,호흡곤란,가족천식, 천명음, 호흡보조근사용,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35년흡연,호흡곤란,가족천식, 천명음, 호흡보조근사용,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1.1. 정의
1.2. 원인과 위험요인
1.2.1. 흡연
1.2.2. 작업환경 및 대기오염
1.2.3. 감염
1.2.4. 유전
1.2.5. 노화
1.2.6. 천식
1.3. 증상
1.4. 진단검사
1.4.1. 병력
1.4.2. 진찰소견
1.4.3. 폐 기능 검사
1.4.4. 동맥혈 가스분석
1.4.5. 기타 검사
1.5. 치료
1.5.1. 비수술 요법
1.5.2. 수술 요법
1.6. 간호중재
1.6.1. 가스교환 증진
1.6.2. 호흡기능 향상
1.6.3. 기도개방 유지
1.6.4. 영양섭취
1.6.5. 불안 해소
1.6.6. 활동 지속성 유지
1.6.7. 호흡기감염 예방
1.6.8. 대상자 교육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1.1. 정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과 동반되어 가역적이지 않으며 점차 진행하는 기류제한을 보이는 호흡기 질환이다.""


1.2. 원인과 위험요인
1.2.1. 흡연

흡연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에서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매일 1갑씩 8년간 담배를 피운 환자는 징후와 증상이 없어도 폐쇄성 폐 변화를 가지고 있다. 매일 1갑씩 20년 이상 담배를 피운 환자는 COPD가 있으며, 이는 폐 기능검사(PFTs)에서 확인할 수 있다. 흡연의 유해한 영향은 흡인된 연기가 폐의 정상 단백분해효소(elastase protease)를 자극하여 과잉 방출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단백분해효소는 폐포의 주요한 구성 요소인 elastin을 파괴한다. 또한 섬모 작용을 방해하여 기관의 기관지의 점액, 세포의 조직파편, 체액 등을 청소하는 섬모의 기능을 억제한다."


1.2.2. 작업환경 및 대기오염

작업환경 및 대기오염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작업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먼지와, 자극제, 연기, 대기오염과 가정 내의 난방과 음식 조리로 발생하는 물질들이 COPD 발생의 위험요인이 된다"" 특히 화학물질, 광물성 먼지, 유기성 먼지 등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염증반응과 폐기능 저하가 나타나 COPD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대기오염 물질 중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미세먼지 등이 COPD 발병과 악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대기오염이 심각한 지역에 거주할수록 COPD 유병률이 높게 나타나며, 이러한 환경요인이 COPD 발병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1.2.3. 감염

감염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주요 원인 및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은 기도의 정상 방어 기전을 파괴하고 세기관지와 폐포를 손상시킨다. 정체된 분비물은 세균 증식의 좋은 매개체가 되어 COPD 증상을 악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동기에 심한 호흡기 감염이 반복되면 성인이 되어 폐 기능이 감소되고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이 반복될수록 정상적인 방어 기전이 저하되어 기관지와 폐포가 점점 더 손상된다. COPD 환자에게 있어 감염은 질병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며, 원인체의 50 ~ 75%가 박테리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COPD 환자의 경우 분비물이 많고 인공 기도 삽입 등 침습적 치료를 받는 경우 호흡기 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 특히 고령의 COPD 환자에서 감염 위험이 훨씬 더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COPD 환자의 관리에 있어 호흡기 감염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하도록 하고, 폐렴 백신 및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권장하는 등 적극적인 감염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원인 균주를 파악하여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COPD 증상 관리에 도움이 된다.


1.2.4. 유전

"α₁-antitrypsin(AAT) 결핍증은 폐기종을 유발하는 유전성 위험인자이다. 특별한 효소인 AAT는 간에서 만들어지고, 정상적으로 폐에 존재한다. AAT의 작용은 흡입된 오염물질과 단백분해효소가 폐포조직을 파괴하는 것을 억제한다. AAT가 결핍되면 담배연기나 다른 자극물에 노출되지 않아도 아주 젊은 나이에 COPD에 이환된다."


1.2.5. 노화

노화는 폐의 구조, 흉곽, 호흡근에 변화를 초래하며 폐기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이다. 폐의 탄성이 점점 저하되며 폐의 지지조직이 점점 감소되고 폐포 내 격막의 상실 등으로 기능을 하는 폐포의 수가 감소된다. 폐포벽이 파괴되어 폐포막과 폐모세혈관이 소실되고 가스교환이 점점 감소되어 동맥 내 산소분압이 감소한다. 골다공증과 늑연골의 석회화 현상으로 흉곽이 강직되고 경직되어 늑골의 운동성이 적어진다. 폐의 신장성은 저하되고 기능적 잔기량이 증가하여 흉곽이 술통형으로 변한다."


1.2.6. 천식

천식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태생리와 폐기능 장애가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천식-폐쇄성 폐질환 중복 증후군(asthma-COPD overlapping syndrome)'이라고 하며, 만성폐쇄성폐질환 발생의 한 원인이 된다.""천식은 기도에 발생하는 만성염증성 질환으로, 특정한 자극에 노출되었을 때 기도가 과도하게 반응하여 좁아지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반복적인 천명음,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천식의 원인은 유전적, 환경적, 알레르기 반응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며, 주요 원인 인자로는 바이러스 감염, 알레르겐, 운동, 스트레스, 공기 오염, 흡연 등이 있다. 천식은 COPD와 마찬가지로 만성적인 기도 염증이 특징이지만, COPD와는 달리 대부분 가역적인 기류 제한을 보이며 천식 발작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1.3. 증상

COPD 환자는 전형적인 외모와 호흡 변화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외모의 변화로는 사지의 근육이 가늘어지고 목 근육이 증대되며, 느리게 움직이고 약간 허리를 구부린 자세를 보인다. 또한 팔을 앞쪽으로 붙들고 있는 모습이 관찰되며, 일반적인 자가 관리가 소홀해지고 활동장애가 나타난다. 호흡 변화로는 빠르고 얕은 호흡, 역리호흡(paradoxical respiration)을 하거나 복부나 목의 보조근육을 사용하며, 호흡...


참고 자료

은영 외 다수, 『성인간호학』, 수문사, 2004
김명자, 『최신기본간호학』, 현문사, 2001
전시자 외 다수,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09년 1월 20일
이향련 외 다수, 『성인간호학 I』, 수문사, 2008년 1월 25일
원종순 외 다수,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2년 2월 15일
최철자 외 다수, 『성인간호학실습지침서』, 수문사, 2005
v-SIM
https://thepoint.lww.com/Book/Show/664701?focus=vs#/CoursePointContent/Show/fab387fa-2056-4414-b290-3b7f00b7424f?forceView=False&viewMode=Student&productAssetId=295e1332-348c-4a0e-96ac-3b5900df1329&behavior=Display&ts=1618541574573
임정혜 외 1명 (2021). 2021학년도 성인간호실습III 지침서,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2019년. 유은자 외 공저
[네이버 지식백과] 벤튜리마스크 [venturi mask, Venturimaske]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박기흠. (2001). 종설 : 만성 기관지염. 가정의학회지, 22(11), 1547-1558.
대한내과학회.(2019) : 일차 의료용 근거기반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권고 요약본, p.23-31.
황옥남 외,⌜성인간호학 상권⌟,현문사,2019,p.585~59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