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6월항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6월 민주항쟁
1.1. 배경
1.2. 전개과정
1.3. 이한열과 최루탄
2. 6월 민주항쟁 이후
2.1. 성과와 요인
2.2. 교훈
2.3. 결과와 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6월 민주항쟁
1.1. 배경
1980년 간접 선거에 의해 전두환이 대통령으로 당선되고, 제5공화국이 들어섰으나, 민주주의를 거스르는 정치를 하였다. 1987년 직접 선거를 원하는 시민들이 시위를 하기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대학생 박종철이 고문을 당해 죽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전두환 정권은 자신들의 죄악을 감추고, 국민의 저항을 막기 위해 엄청난 폭압통치를 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민중들은 민주주의를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정권도 언제까지 폭압정치를 유지할 수는 없었다. 전두환 정권은 형식적 민주주의 제도를 내세워 민중들의 분노를 가라앉히려 하였고 이에 내각제 개헌을 준비하였다. 한편 박정희에서 전두환으로 이어진 수십년간의 군사독재 때문에 억눌려 살아온 민중들은 직선제 개헌과 독재 타도를 주장하며 투쟁하기 시작하였다.
1.2. 전개과정
1987년 6월 10일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가 공식 주도한 국민대회는 서울을 비롯한 전국 22개 주요 도시에서 약 24만 명의 학생과 시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날 경찰은 6만여 명의 병력을 투입했지만, 전국 각지로 분산된 경찰 방어력은 자신의 커다란 한계를 보여줄 뿐이었다"" 게다가 시위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산발적인 야간시위와 철야농성으로 이어면서, 지속적 투쟁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특히 서울 명동성당 점거농성은 6월 15일까지 계속되었는데, 이는 항쟁의 지속과 전국적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국민운동본부는 산발적 시위투쟁을 다시 결집시키기 위해 6월 18일을 '최루탄 추방의 날'로 선포하고 최루탄 추방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였다"" 이날 전국 16개 도시 247곳에서 일제히 시작된 이 대회에는 150여만 명의 민중이 참여하였다""
6월 24일 전두환과 김영삼의 여야 영수회담이 결렬되자, 6월 26일 국민운동본부는 '국민평화대행진'을 강행하였다"" 그리고 이 날의 평화대행진은 사실상 6월항쟁의 절정을 이루게 된다"" 전국 34개 도시와 4개 군에서 130여만 명의 시민과 학생들이 경찰의 원천봉쇄 방침에도 불구하고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이날 경찰은 전국적으로 10만여 명의 ...
참고 자료
최원석,「1987 6월 항쟁의 보루, 부산」(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학술토론회 자료집, 2019), 35-46쪽
민주화 운동 기념사업회 오픈 아카이브
https://archives.kdemo.or.kr/main
박종철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15201&cid=55787&categoryId=56663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95971&cid=46624&categoryId=46624
6월 항쟁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606&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Date.nhn
강만길, “고쳐쓴 한국현대사”, 창작과비평, 2002
강만길, “20세기 우리역사”, 창작과비평, 1999
박세길, “다시쓰는 한국현대사3”, 돌베게, 199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현대사연구소, “현국현대사의 재인식4”, 오름, 1998
민족문화백과사전
DBPIA www.dbpia.co.kr
정진상, “6월항쟁과 한국의 변혁운동”, 역사비평, 1997
이병창, “6월 항쟁의 이념”, 지역사회연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