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시인 고은 작가 탐구 보고서2024.10.171. 작가 백석 1.1. 일제강점기, 백석의 생애 백석은 1912년 평안북도 정주군에서 3남 1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가난했지만 교육에 열성적이던 아버지 덕분에 13살이 되던 1924년에 오산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다. 오산학교는 일본 제국주의 시대에도 불구하고 우리말로 수업을 하던 학교였으며, 백석의 5년 선배인 시인 김소월이 재학하고 있었다. 백석은 김소월의 습작노트를 보면서 많은 자극을 받았다고 한다. 학창 시절부터 영어 회화에 능했던 백석은 학업을 마치고 방에 눌러앉아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9개월 ...2024.10.17
-
전태일 평전2024.10.091. 전태일 평전 소개 1.1. 책 소개 1978년 조영래 변호사에 의해 쓰여 져서 1983년 처음 발간된 《전태일 평전》은 1970년대 비인간적인 노동 조건에 힘들어하던 당시 노동자를 대변하여 노동자도 인간임을 보여주기 위해 자기희생도 감수한 전태일의 일생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책에서는 일생동안 노동착취를 받으며 노동문제에 힘쓴 전태일이 목숨까지 바치면서 그가 바꾸고 싶었던 것은 무엇이었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전태일이라는 사람의 인생에 대해 다루고 있다. 1.2. 저자 소개 조영래 변호사는 '전태일 평전'의 저자이...2024.10.09
-
조영래 변호사2024.10.091. 전태일의 생애와 조영래 변호사 1.1. 전태일의 어린 시절과 가정 환경 전태일은 1948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정 환경은 매우 불우했다. 부모님이 운영하던 작은 비누공장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가세가 기울어 가난했기 때문이다. 전태일은 초등학교 2학년 때부터 가난의 어려움을 겪었는데, 일찍부터 가출을 하여 구두닦이나 신문팔이 등 온갖 일을 전전하며 생계를 이어갔다. 가난으로 인해 초등교육도 제대로 마치지 못한 채 현실과 맞서 싸워야만 했던 것이다. 그나마 잠시 행복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은 외가에서 재봉틀을 배우며 공민...2024.10.09
-
진보당사건2024.08.281. 서론 2011년 이슈화 된 사건이 있었는데 바로 진보당 사건이다. 이승만 대통령 당시 간첩으로 몰려 사형을 당했던 조봉암이 2011년 1월 재심에서 무죄판결을 받은 것이다. 그렇다면 조봉암은 왜 그 당시에 간첩으로 몰렸던 것일까? 그가 죽음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일들이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그의 죽음에 직접적으로 미친 진보당 사건을 알아보아야한다. 우리는 이번 발표에서 조봉암과 진보당사건에 대해 알아보고 이 사건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2. 조봉암 2.1. 생애 조봉암은 1899년 음력 9월 25...2024.08.28
-
6월 항쟁의 배경과 전개 과정2024.10.131. 한국 민주화 운동과 6월 항쟁 1.1. 6월 항쟁의 배경 1.1.1. 5공화국과 호헌조치 전두환 군부정권은 12.12사태와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하여 5공화국 정권을 수립하였다. 이에 반발 작용으로 발생한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시민 학살로 진압한 전두환은 4공화국 유신 헌법을 보다 반민주적이고 권위주의적으로 개정하여 통치를 계승, 강화하였다. 정권을 획득하고 유지하는 과정에서 전두환은 언론 통폐합, 삼청교육대 운영 등 반인권 반민주적 수단을 동원해 권위주의 통치를 강화하였다. 이렇듯 정당성이 결여된 채 통치를 이어가던 5...2024.10.13
-
전쟁기념관 견학 보고서2025.03.121. 전쟁기념관 견학 보고서 1.1. 서론 1.1.1. 서울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소개 서울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은 일제강점기부터 현재 우리나라까지의 근현대사를 다루고 있다. 2012년에 개관했기 때문에 자료가 다른 박물관에 비해 많지 않고 아는 사람도 적은 편이다. 하지만 고대 유물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다른 박물관들보다는 가까운 과거를 돌아볼 수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성립과 발전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8층의 건물 중 1층에서 5층까지가 전시실로 사용된다. 1층에는 특별전과 아이들이 체험을 할 수 있는 전시...2025.03.12
-
이청준 눈길 시로 재창조2024.10.231. 이청준과 「당신들의 천국」 1.1. 작가 소개 이청준(李淸俊 1939∼ )은 전라남도 장흥(長興)에서 출생한 소설가이다. 1965년 2월『사상계』에서 ?퇴원?으로 등단한 이청준의 문학 세계는 크게 두 가지 계열로 나뉜다. 하나는 권력과 그로부터의 탈출을 그리는 ?소문의 벽?(1971), ?당신들의 천국?(1974), ?잔인한 도시?(1978) 등이며, 다른 하나는 서구 중심적 근대화에 의해 파괴된 전통미의 세계를 되찾으려는 ?매잡이?(1968), ?줄?(1966), 남도사람 연작 소설 등이다. 이청준의 유년시절은 불운하다....2024.10.23
-
대한민국 노동권의 발전 과정2024.10.201. 한국노동운동의 발전과정 1.1. 일제하의 노동조합운동 1.2. 해방 이후부터 5.16 혁명까지 1960년 3월의 제4대 정. 부통령 선거는 집권당인 자유당의 부정선거였다. 선거당일인 3월 15일 투표용지를 받지 못한 마산 시민들의 데모가 도화선이 되어 4월 19일 전국 학생들이 궐기하여 데모를 벌이면서 이에 시민들이 합세하자 4월 29일 이승만 대통령을 대통령직에서 하야(下野) 하므로 자유당 정권은 붕괴되고 말았다. 4.19의 학생의거는 10여년 계속되어온 독재체제를 전복시키고 자유를 되찾은 혁명이었으며 이 혁명은 학생들이...2024.10.20
-
한국 민주화2024.09.181. 서론 1945년 조선의 독립 이후, 민주 공화정을 내세운 대한민국이 국내에 들어서게 되었다. 하지만 불안정한 체제 속에서 도입된 민주주의는 국가의 폭력에 의해 짓밟혔고, 그 과정에서 수많은 이들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국민들은 2·28 대구민주화운동부터 비롯된 투쟁을 통해 국가의 폭력과 맞섰다. 마침내 전두환 정부가 6.29 민주화 선언을 발표함으로써 독재 정부는 막을 내렸다. 하지만 2016년, '일명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언론에 의해 드러나게 되면서, 정부의 국정 논란에 분노한 국민들은 촛...2024.09.18
-
헌법 제정과 개정2024.09.251. 헌법 제정의 의의와 특징 1.1. 헌법 제정의 의의 헌법 제정은 사회공동체를 정치적 통일체인 국가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법적인 기본질서를 마련하는 행위이다. 즉, 실질적으로는 최초로 국가 체제를 구축하는 법 창조행위를 의미한다. 형식적으로는 헌법 제정권자가 실정법규범의 공백상태에서 새로운 법 규범의 확립을 위하여 성문 헌법전을 제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헌법 제정은 국가의 근간이 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법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가는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통치구조를 규정하여 국가권력의 정당성과...2024.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