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궁이완에 따른 산후출혈과 관련된 쇼크의 위험, 산후출혈과 관련된 불안, 비효과적 호흡 양상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3가지 간호진단으로 간호과정 작성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산후 출혈 관련 문헌고찰 및 최신 동향
1.1. 산후 출혈이란
1.2. 산후 출혈의 영향요인
1.3. 산후 출혈과 관련된 최신동향 분석
2. 산후 출혈 관련 건강 문제 및 간호과정
2.1. 산후 출혈과 관련된 건강 문제 사례
2.2. 간호계획 및 중재
2.3. 산후 출혈 중재에 대한 최신동향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산후 출혈 관련 문헌고찰 및 최신 동향
1.1. 산후 출혈이란
산후 출혈이란 질식 분만 후 24시간 이내 출혈량이 500ml 이상, 제왕절개 후 1,000ml 이상의 혈액 손실을 의미하며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일차성 산후출혈과 24시간~12주 이내에 발생하는 이차성 산후출혈로 구분한다.
산후출혈의 원인에는 대표적으로 자궁 또는 산도의 손상, 자궁수축 부전, 잔류태반, 혈액 응고 장애 등이 있다. 이 외에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색전증이 있거나 임신 전 혈액 응고 장애를 겪고 있는 임산부라면 지혈의 어려움으로 산후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산후출혈이 발생한 경우,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 등을 파악한 후 정확한 출혈 원인을 찾기 위해 검진한다. 발생 원인을 처치한 후에도 출혈이 계속된다면 자궁 내에 풍선이나 지혈 거즈를 넣는 시술인 자궁 내 풍선 압박술 또는 자궁동맥 색전술 등을 활용한다.
1.2. 산후 출혈의 영향요인
태반 잔류가 산후 출혈의 주요한 영향요인이다. 태반 조직이 자궁 내에 잔류하면 분만 후 자궁에 혈액 공급이 중단되기 때문에 태반 조직이 괴사되고 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태반조기박리나 전치태반도 과다한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진통 시간이 길수록 산후출혈 가능성이 커진다. 진통 과정에서 자궁이 지속적으로 수축되며, 장시간의 진통은 자궁이 피로해져 수축력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생아의 체중이 4kg 이상일 경우 산후출혈 가능성이 크다. 신생아 체중이 클수록 분만 과정에서 태반이나 자궁 손상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임신성 고혈압 질환이 있는 경우, 자궁 수축력이 저하되고 출혈성 경향이 있어 산후출혈의 위험이 높다.
정상 자연분만이 아닌 유도분만이나 제왕절개 분만의 경우, 자궁경부의 열상 가능성이 커져 출혈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급속 분만 시 자궁경부열상이 발생하면 지혈이 원활하지 않아 출혈량이 증가할 수 있다. 자궁경부가 천천히 열리면 지혈이 원활하지만, 급속 분만 시 혈관이 찢어지면서 출혈량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출혈 경향이 높을 수 있다.
비만(BMI > 40kg/m2)한 경우 자궁의 수축력이 저하되고 출혈이 더 잘 발생할 수 있다.
다출산 여성의 경우, 자궁이 이완되어 있어 산후출혈 발생 가능성이 높다.
난임 시술을 통한 임신의 경우 태반 착상 및 성장 이상으로 인해 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산모가 색전증이나 임신 전부터 혈액 응고 장애가 있었다면 지혈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출혈이 지속될 수 있다.
...
참고 자료
이수진 외, 산후출혈,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26권 제4호, 2022년 9월
이순용, ‘산후출혈 막는 자궁동맥 색전술, 성공률 95%에 달해.’, 이데일리, 2021-08-17
https://www.cnuhh.com/board/B0011.cs?act=read&articleId=11463&searchKeyword=&searchCondition=&searchEndDt=&m=&searchStartDt=&pageIndex=84&pageUnit=0
산후출혈, 자궁 떼야 할까요? ep.8 | 여성건강 채널No.1_우리동네 산부인과 2021. 9. 14.
https://www.youtube.com/watch?v=QBakeO28Z08
산후 출혈의 위험과 관리 (산부인과 구유진 교수) 2020.11.28.
https://www.youtube.com/watch?v=5k33YCU66QE
Anesth Pain Med 2013; 8: 209-215 산후출혈의 진단과 관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마취 통증 의학 교실 박성욱
이재범, ‘산후출혈’ 자궁적출술 않고 영상장비 이용해 치료, 충청투데이, 2014-10-22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2110
서울아산병원, 산후출혈 막는 자궁동맥 색전술, 10년간 성공률 95%
https://www.amc.seoul.kr/asan/information/journal/journalDetail.do?journalId=12556
10년간 연평균 49.8명 출산하다가 사망...“산후 출혈 사망 원인”, 한국경제 TV, 2020-10-10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010100012&t=NN
여성건강간호학Ⅱ 제4판, 현문사, 박영주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현문사, 원종순 외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여성건강간호학Ⅰ 제5판, 박영주 외, 2020, 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Ⅱ 제5판, 박영주 외, 2020, 현문사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성미혜 · 홍영혜, 2018, 수문사
기본간호학Ⅰ 제4판, 양선희 외, 2020,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