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건강사정 및 실습
1.1. 면담기술과 건강력
면담기술과 건강력은 환자-간호사 관계를 형성하고 건강문제를 사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먼저 면담을 준비할 때 간호사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환자가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조용하고 개인적인 공간을 선택하고, 적절한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며 대상자와 눈높이를 맞추어 마주보고 앉아야 한다. 이를 통해 환자가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신의 건강문제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면담 과정에서는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을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개방형 질문은 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경험과 증상에 대해 자유롭게 표현하게 하는 반면, 폐쇄형 질문은 구체적인 정보를 얻는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개방형 질문으로는 "병원을 찾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증상이 어떻게 느껴지나요?"와 같은 것이 있고, 폐쇄형 질문으로는 "성함이 '나건강'맞나요?", "과거에 입원이나 수술하신 적이 있나요?"와 같은 것이 있다. 이처럼 질문의 형태를 적절히 활용하여 환자의 증상과 건강문제를 사정할 수 있다.
또한 면담 과정에서는 PQRSTU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PQRSTU는 증상을 사정하는 방법으로, P(Precipitating or palliative)는 유발 또는 완화요인, Q(Quality or quantity)는 질이나 양, R(Region or radiation)은 부위나 방사, S(Severity)는 심각성 척도, T(Timing or temporal)는 발병시간이나 지속시간, U(Understanding)는 문제에 대한 대상자의 이해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처럼 면담기술과 건강력 사정은 환자-간호사 관계 형성과 효과적인 건강문제 사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는 이러한 기술을 익혀 환자와의 신뢰관계를 구축하고, 환자의 건강문제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1.2. 일반적 상태 사정
일반적 상태 사정은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과 기능을 포괄적으로 평가하여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검진 대상자 000은 만 44세의 여성 보육교사로, 신체외양, 신체구조, 기동, 행위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하고 계측하여 정상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상자의 신체외양은 피부색이 살구빛에 약간의 노란 기운이 있는 전형적인 동양인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의식수준 또한 정상인 "alert" 상태였다. 신체구조 측면에서는 자세가 곧고 대칭적이며 영양상태도 매우 양호한 편이었다.
기동능력 역시 일자로 똑바르게 걸으며 관절운동범위도 평균 수준이었다. 행위적인 측면에서도 온화한 표정과 안정된 정서, 또렷한 언어구사력, 깨끗한 개인위생 상태 등이 관찰되었다.
활력징후 검사 결과, 체온 36.7°C, 맥박 88회/분, 호흡 15회/분, 혈압 110/76mmHg로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종합하면 대상자 000은 신체적으로 건강한 상태이며, 전반적인 일상생활 기능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 상태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1.3. 영양상태 사정
영양상태 사정은 대상자의 전반적인 영양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