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육정책분석 자유학기제 이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문제
1.3. 용어의 정의
1.4. 연구의 범위
2. 이론적 배경
2.1. 자유학기제
2.1.1. 배경
2.1.2. 영역 및 내용
2.1.3. 선행연구
2.2. 다차원 정책 분석
2.2.1. 개념
2.2.2. 분석모형
2.2.3. 선행연구
3. 연구방법
3.1. 자유학기제 분석 모형 및 기준
3.2.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규범적 차원
4.1.1. 가치의 시대적 적합성
4.1.2. 자유학기제 목표와 내용의 체계성
4.2. 구조적 차원
4.2.1. 학교 내부
4.2.2. 학교 외부
4.3. 구성적 차원
4.3.1. 교사 차원
4.3.2. 학생 차원
4.3.3. 학부모 차원
4.3.4. 중앙부처 차원
4.3.5. 시도교육청 차원
4.4. 기술적 차원
4.4.1. 계획
4.4.2. 운영
4.4.3. 평가
5. 요약 및 결론
5.1. 요약
5.2. 결론
5.3. 제언
5.3.1. 정책 개선
5.3.2. 후속연구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정책이란 정부가 '하고자 하는 또는 하지 않고자 결정하는 것'(Dye, 2005)으로서, 공식적 의사결정을 거쳐 산출된, 행정명령, 법률, 계획, 예산,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규칙 등으로 표현된다(이성우, 2013). 자유학기제는 학생중심 교육과정을 중시하는 시대적인 상황의 반영과 정부의 국정 철학, 이해 당사자의 요구 등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고, 정부의 제도적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속에서 살펴보면, 자유학기제 정책은 시대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며 교육의 방향성과 중핵적인 실천 내용을 담고 있다.
자유학기제는 현행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참여 중심의 다양한 수업방식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과도한 학업부담으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꿈과 끼를 키우고 소질과 적성을 찾으며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입시 위주의 교실을 '학생' 중심으로 변화시키면서 입시에만 매달려온 학생 스스로가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자기 주도적 공부와 함께 창의성을 지닌 인재로 육성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현실의 교육은 입시 중심의 학업스트레스를 주는 교육환경만을 제공하였다. 2015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부끄럽게도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세계 다른 나라 청소년들에 비해 '학력 스트레스'가 가장 높고, '행복도'는 가장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위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학업스트레스지수'는 유엔아동기금(UNICEF) 조사 대상국가인 29개국 중 가장 높은 50.5%로 나타났다. 반면에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지수는 6년 째(2010년∼2015년) OECD 국가 중 최하위에 링크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자유학기제 정책은 등장하였다. 자유학기제는 교육과정 운영, 수업방식 등 학교 교육방법 전반의 변화를 견인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앞으로 자유학기제가 자유학년제로 확대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중학교 교육 전반의 혁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정책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현재 자유학기제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연구 문제
자유학기제 정책 분석 연구의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는 자유학기제가 시대적으로 적합한 가치를 추구하고 있는지, 그리고 자유학기제의 목표와 내용이 체계적으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자유학기제가 추구하는 진로교육의 가치가 시대적 요구에 적합한지, 그리고 진로교육을 비롯한 자유학기제의 다양한 목표와 구체적인 운영 내용이 체계적으로 연계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는 학교 내부와 학교 외부에서 자유학기제를 바라보는 관점이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자유학기제 운영에 있어 단위학교의 인적·물적 자원 활용 현황과 더불어 중앙 및 지방교육행정기관, 지역사회와의 협력 관계가 어떠한지 확인하고자 한다.
셋째,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 중앙부처, 시도교육청 등 자유학기제 관련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자유학기제에 대해 어떠한 인식과 태도를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교사들의 수업 운영 경험과 어려움, 학생들의 진로 인식 및 자유학기제 활동 만족도, 학부모의 자유학기제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항, 중앙정부와 지방교육청의 정책적 지원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넷째, 기술적 차원에서는 자유학기제의 계획, 운영, 평가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자유학기제 도입 이후 학교 현장에서 실제 교육과정이 어떻게 구성되고 운영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평가 결과는 어떠한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유학기제 정책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책 개선 과제와 더불어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1.3. 용어의 정의
자유학기제란 중학교에서 한 학기 또는 두 학기 동안 학생 참여형 수업 및 과정 중심 평가를 통해 다양한 학생들이 스스로의 잠재력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등을 키우는 교육 실현을 위해 도입된 정책이다. 2013년 9월부터 42개의 연구학교의 시범운영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서 실시, 2018년 희망하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자유학년제를 시범운영하고 있다.
나. 자유학년제
자유학년제란 자유학기제를 한 학기 더 확대한 것이다. 기존 한 학기에서 1년으로 연장한 것이다. 한 학기 동안 새로운 것에 도전해보고 경험하고자 할 때 기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아 2018년부터 자유학년제를 도입할 것을 권고하였다. 자유학년에 참가하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교과 내신 성적은 고입 전형에 미반영 된다.
다. 다차원 정책분석
다차원 정책 분석은 Bruce S. Cooper, Lance D. Fusarelli와 E. Vance Randall의 저서 「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Theories and Applications」(2004)에 나온 분석모형이다. Cooper, Fusarelli, Randall은 교육 정책 분석 이론인 체제이론, 신제도주의이론, 신다원주의 옹호연합 및 이익집단 이론, 비판이론, 포스트모더니즘, 페미니즘 이론, 이데올로기적 관점을 토대로 네 가지 관점인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의 정책 분석 모형인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를 제시하였다.
1.4. 연구의 범위
자유학기제 정책 분석에 있어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의 주된 논거와 배경이 되는 정책 도입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자유학기제는 2012년 박근혜 정부의 대선 공약에서 처음 제안되었고, 이후 2013년 5월 28일 시범 운영 계획안이 발표되면서 정책화되기 시작했다. 이후 2014년 희망학교로 확대 운영되었고, 2015년 6월 22일 자유학기제 시행 근거 법제화를 거쳐 2016년 3월부터 전면적인 시행에 돌입하였다. 따라서 자유학기제의 도입 과정과 시행 기반을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자유학기제의 주요 내용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자유학기제는 학생 참여형 수업 및 과정 중심의 평가를 도입하여 중간·기말고사 없이 운영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고 진로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유학기제의 주요 영역인 진로탐색 활동, 주제선택 활동, 예술·체육 활동, 동아리 활동 등을 살펴볼 것이다.
셋째, 자유학기제 정책에 대한 성과와 과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자유학기제 운영 초기 학생·교사·학부모 대상 만족도 조사 결과,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던 반면, 이에 대한 비판적 견해 또한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자유학기제의 성과와 한계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자유학기제 정책을 분석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자유학기제
2.1.1. 배경
자유학기제는 2012년 박근혜 대통령후보의 교육공약에 포함되면서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박근혜 후보는 "행복교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공약에서 자유학기제 도입을 발표하였다. 취임 후 2013년 2월 자유학기제를 국정과제로 선택하고, 서울시교육청에 운영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후 2013년 4월 자유학기제 추진체제 구축 계획(안)을 마련하였다.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단계에서 단위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한 개 학기 동안 시행되는 교과과정의 혁신이다. 입시 위주의 교실을 '학생' 중심으로 변화시키면서 입시에만 매달려온 학생 스스로가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자기 주도적 공부와 함께 창의성을 지닌 인재로 육성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자유학기제 도입의 배경에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학업 스트레스와 행복도 저하라는 시대적 상황이 자리잡고 있다. 2015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세계 다른 나라 청소년들에 비해 '학력 스트레스'가 가장 높고, '행복도'는 가장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7년간(2009년~2015년) 자살한 청소년의 수가 1,000여 명에 이르고 있다는 교육부의 발표를 고려할 때, 이는 가정파괴는 물론 사회적 위기이며, 국가적 손실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도입된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고 소질과 적성을 찾아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정책이다.
2.1.2. 영역 및 내용
자유학기제의 영역 및 내용은 크게 네 가지로 구성된다. 자유학기제의 주요 특징은 토론, 프로젝트학습, 문제해결 중심의 학생참여 활동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첫째, 진로탐색 활동이다. 진로검사, 초청강연, 직업탐방 및 체험 등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주제선택 활동으로 헌법, 경제· 금융, 고전토론, 수학, STEAM(과학·기술·공학·예술·수학)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다. 셋째, 예술·체육 활동이다. 연극, 뮤지컬, 오케스트라, 디자인, 축구 등 다양한 예술·체육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소질과 재능을 발견하고 계발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동아리 활동이다. 문예 토론, 과학실험, 천체 관측 등의 동아리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자기주도적 참여를 유도한다.
이와 같이 자유학기제의 다양한 영역과 내용은 기존의 주입식, 암기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참여형 수업과 활동 중심의 교육과정을 지향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꿈과 끼를 발견하고 계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행복한 학교생활과 더불어 진로개발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 자유학기제의 목적이다.
2.1.3. 선행연구
선행연구에 따르면, 그동안의 자유학기제에 관한 연구는 법과 정책 관련 제도 등에 대한 보완 사항을 모색하는 연구, 외국사례 분석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학생참여와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개혁을 추진하고자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하는 연구들도 있었다.
또한 자유학기활동으로 진로탐색, 주제선택, 예술·체육, 동아리활동이 융통성 있게 선택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관련 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거나 전반적인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하정희 외(2018) '자유학기제에서 지역연계 체험활동과 인프라 구축 방안의 특성 분석'에서는 지역연계 체험활동 설계 운영방안, 지연 인프라 구축, 운영방안을 분석하였으며, 고세영(2018) '자유학기제 담당 교사의 수업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를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통해 교육 방법 및 수업 운영을 분석하였다.
한편 이보라(2017) '자유학기제에 따른 미술교과교육의 운영 현황과 과제'와 과학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7) '교과연계 진로교육 교수학습매뉴얼-국어, 영어, 수학, 사회'에서는 각 교과별로 교과 연계형 교육 현황과 매뉴얼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지형(2017) '자유학기제에 대한 만족과 태도변화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질적 연구를 통해 자유학기제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태도를 분석하였고, 홍창남, 김혜영(2016)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에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처럼 기존 연구들은 정양순 외(2018), 하정희 외(2018)의 분석틀 활용과 강윤희, 안선희(2015)의 CIPP평가모형 적용 외에는 특별한 분석틀을 사용해 자유학기제를 분석한 논문이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통해 정부에서 추진한 자유학기제를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2.2. 다차원 정책 분석
2.2.1. 개념
다차원 정책 분석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Cooper, Fusarelli, Randall(2004)이 제시한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은 광범위한 이론적 배경을 종합한 것이다. 이들은 주요 교육 정책 분석 이론인 체제이론, 신제도주의 이론, 신다원주의 옹호연합 및 이익집단 이론, 비판이론, 포스트모더니즘, 페미...
참고 자료
강명희·강민정·윤성혜(2017). 자유학기제에서의 협력적 체험학습 성과에 대한 학업적 자기조절, 몰입, 협력적 자기조절의 예측력 규명. 교육방법연구, 29(1), 25-47.
강버들(2015). 자유학기제 정책연구학교의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 연구. 水産海洋敎育硏究, 27(5), 13-25.
강윤희·안선희(2015). CIPP평가모형에 근거한 2014년 서울형 자유학기제 평가: 중학교 진로교육과 진학지도를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은주(2017).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다차원 정책 분석.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고세영(2018). 자유학기제 담당 교사의 수업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부(2015). 학생의 꿈과 끼를 살려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안).
교육부(2016). 자유학기제 추진계획 국무회의 보고 - 학부모·교사·학생 여론조사 의견을 반영하여 안정적 현장착근 지원.
권귀염(2018).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 유아교사의 역할.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8(4), 24-35.
김기현(2013). 자유학기제 도입과 청소년체험활동 연계방안 연구. 수시과제 (13-R19),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
김나라(2014).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아일랜드·덴마크·스웨덴·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7(3), 25-28.
김달효(2015). 사례연구를 통해 본 자유학기제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문화연구, 21(1), 179-202.
김보연(2019). 다차원 교육정책 분석 모형에 비추어 본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성격과 발전방향 탐색.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상철(2018). 한국의 인성교육정책 변동과정 분석: 다차원 교육정책분석 모형을 적용한 대안교육 정책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영준·도명애(2017). 자유학기제를 통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어머니 교수 기반의 직무체험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중학생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발달장애연구, 21(4), 57-81.
김용명(2018). 자유학기제에서 지역연계 체험활동과 인프라 구축방안의 특성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논문지, 18(6), 359-368.
김은영(2017). A 교육지원청 컨설팅장학 운영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Cooper 등의 4차원 모형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5(2), 5-27.
김은영·김경애·김보경·양희준·이상은·최상덕·김아미·성열관·차성현·양슬기 (2016). 자유학기제의 중장기 추진 전략과 방안: 초-중-고 운영 확대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2016-11). 한국교육개발원.
김은정(2013).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용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5(30), 105-121.
김지선·김도기·김제현·채송화·최지원·최재원·김세영(2019). 자유학기정책 집행 과정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7(1), 83-111.
김진숙(2013). 아일랜드 연계학년제와 한국 자유학기제 비교. 비교 교육 연구, 23(6), 163-183.
김현경(2018). 중학교 자유학기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문화 감수성 함양 효과. 다문화교육연구, 11(3), 147-168.
남궁지영·박경호·김혜자·김양분·이규민·임현정·송승원·최유리·김진아·박미리·김정아(2016). 한국 교육 종단 연구. (연구보고 2017-70). 한국교육개발원.
남미숙(2013). 자유학기제 운영모델 탐색. 한국진로교육학회 학술대회지, 1(1), 53-70.
남미영·정제영(2018).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한 교육 분야 양성평등정책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5(3), 53-75.
김봉환(2017). 자유학기제가 중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자기 주도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생 성적과 학교 유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광순(2017). 중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자유학기제 참여 학생들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기정(2017). 자유학기제를 위한 체험활동 기반 수학 수업 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미(2016).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학교구성원들의 만족도 조사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을미(2018).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안: 창작뮤지컬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백은미(2018). 자유학기제 운영실태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은모·정효정(2013). 자유학기제 도입과 청소년 체험활동 연계방안 연구. 진로교육연구, 13(26), 49-63.
손희권(2013).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헌법적 쟁점 분석. 교육법학연구, 25(1), 30.
송미진·정대영(2015). 다차원 모형에 입각한 한국 특수교육정책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15(1), 269-290.
송윤숙(2015). 인천교육청 장학사 인터뷰, 자유학기제는 2015개정 교육 과정 신호탄.
신철균·황은희·김은영(2015).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아시아 교육연구, 16(3), 27-55.
신철균(2015).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6(1), 27-55.
신은주(2017). 중학생의 진로탐색활동 태도가 진로탐색활동 만족도를 매개하여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재한(2017). 자유학기제 운영 길라잡이: 자유학기제 연간 매뉴얼. 교육 과학사.
안희진·김병찬(2016).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학생들의 일반학기 학교생활 모습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4(4), 129-154.
양성관(2009). 대학입학사정관제의 특징 및 개선방안 분석-Cooper 등의 4차원 정책분석모형을 사용하여. 교육정치학연구, 16(3), 125-148.
여지영·채선미(2016).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 698-709.
이기원(2014). 다차원 교육정책분석 모형을 적용한 대안교육 정책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호(2016).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나정(2014). 유아무상교육·보육정책 분석: Cooper 등의 다차원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유아교육학논집, 18(1), 49-71.
이달곤(2011). 다차원 분석모형에 기초한 지방자치단체 자율통합 정책과정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1(1), 187-217.
이병환·임영희·권민석(2015). 교육공동체 의견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의 안정적인 정착 방안 탐색. 교육종합연구, 13(1), 103-126.
이병환(2015). 교육공동체 의견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 교육종합연구, 13(2), 103-126.
이병환(2015). 연구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활성화 방안. 교육문화연구, 21(1), 51-74.
이보라(2017). 자유학기제에 따른 미술교과교육의 운영 현황과 과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연(2013). 진로 중심 자유학기제 도입의 타당성과 향후과제. 진로교육연구, 26(3), 1-22.
이지연·최애란(2019). 자유학기제 과학과 수업에서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4), 245-271.
이형권(2018).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현대시 교육방안 연구: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4), 245-271.
임종헌(2016). 자유학기의 연계학기 운영 사례 분석 : 양가성과 전형성의 발견. 한국교육, 44(3), 147-171.
임지연·김한별·한도희(2016). 지역사회 청소년 체험활동의 자유학기제 연계 운영 방안 연구: 청소년(수련)시설과 학교의 협업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16-R10).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
장소영(2014). 중학생용 진로교육과정기준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양순·이예슬·박대권(2018).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통한 자유학기제 정책형성 및 자유학년제로의 정책변동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5(1), 143-172.
정춘옥·피혜정·백원석·한지혜·김성주·조지연·양성윤(2013). ‘자유학기제' 인프라 구축이 우선이다. 우리교육, 13(01), 238-247.
조선아(2016). 자유학기제에 대한 학부모의 짧은 단상. 스포츠과학, 13(2), 101-105.
조지형(2017). 자유학기제에 대한 만족과 태도변화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미석·손유미·김도협(2012). 주요국의 진로교육정책: 교육과 고용구조의 연계를 중심으로. (기본연구 2012-2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최상덕·이상은·김갑성·김민호·김재철·박소영·이지은·한지희·임종헌(2014). 2014년도 2학기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종합 보고서. (수탁연구 2015-09). 한국교육개발원.
최상덕(2014). 자유학기제 학부모 지원단 운영매뉴얼. (연구보고 2015-
136), 한국교육개발원.
홍지혜(2015). 자유학기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청소년 진로탐색 미술 교육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oombs, F. S. (1980). The bases of noncompliance with a policy. Policy Studies Journal, 8(6), 885-892.
Cooper, B. S., Fusarelli, L. D., & Randall, E. V. (2004). 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Theories and applications. New York: Pearson.
Hall, P. A. (1993). Policy paradigms, social learning, and the state: the case of economic policymaking in Britain. Comparative Politics, 25(3), 275-296.
Kennedy, K. J. (1992).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s a policy option for the 1990s: An Australian perspective. Journal of Curriculum and Supervision, 7(2), 180-195.
March, J. G., & Olsen, J. P. (1989). Rediscovering institutions: The organizational basis of politics. New York: The Free Press.
Marshall, C., & Anderson, G. L. (1994). 10. Rethinking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Feminist and cultural studies perspectives on the politics of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Policy, 9(5), 169-182.
Popekwitz, T. J., & Fendler, L. (1999). Critical theories in Education: Changing terrains of knowledge and politics. New York: Routledge, 87-116.
Sabatier, P. A. (1991). Political science and public policy. PS: Political Science & Politics, 24(2), 144-147.
Scheurich, J. J. (1994). Policy archaeology: A new policy studies methodology. Journal of Education Policy, 9(4), 297-316.
교육부
(2013.6.05).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 계획 발표
(2016.6.29.).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계획
(2017.11.6.) 중학교 자유학기제 확대 발전 계획
김달효(2015). 사례연구를 통해 본 자유학기제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문화연구. 21(5) pp.179~202
정윤경(2016). “자유학기제”의 개혁적 의미와 과제. 교육철학연구. 38(4) pp.105~129
신철균(2015). 자유학기제 운영 개선방안 연구 : 일반학기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RR 2015-24.
홍지오(2020).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공동체 형성과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