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당뇨병 개요
1.1. 당뇨병의 정의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하는 질병이다.""
1.2. 당뇨병의 원인과 종류
당뇨병의 원인과 종류는 다음과 같다"
제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선천적으로 인슐린을 전혀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이는 주로 어린이나 40세 미만의 성인에게 나타나며, 정상적인 생활을 위해서는 반드시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
제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세포에서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못해 발생한다.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질 식단,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1.3. 당뇨병의 증상
당뇨병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다뇨, 다음, 다식이 있다"".
다뇨는 혈당 증가로 인해 신세뇨관에서 포도당의 재흡수가 되지 않아 소변량이 늘어나는 현상이다"".
다음은 다뇨증에 따른 심한 탈수로 갈증이 발생하는 증상이다"".
다식은 당분 부족으로 인한 조직 파괴와 소모가 허기증을 유발하여 과다한 섭식이 나타나는 증상이다"".
1.4. 당뇨병의 합병증
당뇨병의 합병증은 크게 급성 합병증과 만성 합병증으로 구분된다.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으로는 고혈당성 혼수와 당뇨병성 산혈증이 있다. 고혈당성 혼수는 혈액 내에서 당이 너무 많이 생겨 발생하는 상태로, 갈증, 빈뇨, 피부건조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당뇨병성 산혈증은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당뇨병이 심하게 조절되지 않는 상태로, 항상 피곤함, 건조하고 불그스레한 피부, 구토 등의 증상이 있다.
한편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으로는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족부질환 등이 있다. 심근경색증은 고혈압, 빠른 혈류, 흡연 등으로 인해 동맥경화가 진행되면서 발생하며, 동맥경화증은 동맥 내벽에 지방질 등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이다. 당뇨병성 신증은 당뇨병이 오래되면 신장을 구성하는 사구체가 손상되어 단백뇨가 나타나고 신기능이 저하되는 상태이다. 당뇨병성 망막증은 모세혈관에 병변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만성 합병증이며, 당뇨병성 족부질환은 체중부하가 많은 발 부위에 잘 나타나는 합병증이다.
이처럼 당뇨병은 다양한 급성 및 만성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혈당 관리, 운동, 식이요법 등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2. 당뇨병 관리
2.1. 약물요법
2.1.1. 투약 방법
당뇨병은 크게 제 1형(인슐린 의존성) 당뇨병과 제 2형(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이 있으며, 제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슐린 주사에 의해서만 혈당 조절이 가능하다.
제 2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분비되기는 하지만 그 양이 충분하지 않거나 분비되는 인슐린이 정상적으로 사용되지 못해서 생기는 경우이므로 주사 이외에 경구로 투약도 가능하다"
2.1.2. 약물 종류
당뇨병 치료를 위한 약물 요법에는 크게 인슐린과 경구 혈당강하제가 있다""
인슐린은 제1형 당뇨병 환자와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심한 고혈당이나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인슐린은 작용 시간에 따라 초속효성 인슐린, 속효성 인슐린, 중간형 인슐린, 지속형 인슐린으로 구분된다""
초속효성 인슐린은 투여 후 15분 내로 작용이 시작되어 3시간 정도 유지되므로 식사 직전이나 직후에 투여한다"" 속효성 인슐린은 투여 후 1-3시간 내로 작용이 시작되어 2-4시간 지속된다"" 중간형 인슐린은 1-3시간 내로 작용이 시작되어 12-16시간 지속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