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p분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11.02
8,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Stp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비비고 마케팅 전략
1.1. 기업 개요
1.2. 마케팅 환경 분석
1.2.1. 수요 분석
1.2.1.1. 소비자 행동과 특성
1.2.1.2. 시장 특성
1.2.2. 경쟁사 분석
1.2.3. 기업 환경
1.2.3.1. 기업의 내적 환경
1.3. 마케팅 목표
1.4. 마케팅 전략 분석
1.4.1. 시장 세분화
1.4.2. 목표시장 선정
1.4.3. 포지셔닝
1.5. 마케팅 믹스 및 성과
1.5.1. 마케팅 믹스 분석
1.5.1.1. 제품
1.5.1.2. 가격
1.5.1.3. 유통경로
1.5.1.4. 촉진
1.5.2. 경영성과의 측정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비비고 마케팅 전략
1.1. 기업 개요

Bibigo는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인 비빔밥에서 착안하여 만들어진 이름으로, '비빔'과 'go'를 합쳐 만든 합성어이다. '비빔'이란 비빔밥 속 밥과 나물들이 잘 어우러져 하나의 음식으로 만들어지는 것처럼 서로 다른 것들이 만나 함께 나누고 채워주며 조화롭게 이루어가자는 철학이 들어있다. 이처럼 비비고는 브랜드 이름에서도 드러나듯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한식의 문화와 맛을 전세계적으로 알리기 위해 설립되었다. Healthy&Fresh라는 슬로건을 내걸어 신선한 야채와 나물을 샐러드 형태의 비빔밥에 담아낸 제품을 가지고 있으며, 그 밖에도 만두, 김치, 간편 국물요리 등 가정 간편식 제품을 대표하고 있다. Bibigo는 CJ그룹의 CJ제일제당이 출자한 회사로써 60년동안 쌓아온 한국과 한식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탄생시켰다. CJ제일제당은 한식, 중식, 양식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브랜드를 개발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한국 대표 외식 브랜드로 자리잡고 있었지만, 특히 한식에서 우여곡절이 많았다. 한식 세계화를 꿈꾸며 런칭한 '카페 소반'이 세계 시장에서 씁쓸한 실패를 맛보게 되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였다. 마침내 CJ제일제당은 비비고를 설립하게 되었으며 현재 비비고는 다양한 한식 간편조리식으로 전 세계에서 사랑받고 있다.


1.2. 마케팅 환경 분석
1.2.1. 수요 분석
1.2.1.1. 소비자 행동과 특성

최근 전 세계 식품 트렌드를 한 마디로 집약하자면 '건강'과 '간편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사람들의 일상과 습관이 변해갔는데, 그 중에서도 눈에 띄게 두각을 보인 것이 식습관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초점을 맞추면서 웰빙 식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특히 면역체계를 돕는 기능성 성분을 가진 식품들이나 식물성 대체 식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또한 바이러스 감염을 피하기 위해 자주 마트를 가지 않아도 식재료가 썩지 않는 가공식품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했다.
미국의 주요 소비집단이라고 불리는 밀레니얼 세대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다는 점이다.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정보로 다양한 서비스와 상품을 스마트하게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 골드만삭스에 의하면, 밀레니얼 세대 중 57%가 온라인으로 가격을 비교하고 친구들이 남긴 상품 리뷰를 찾아보며 구매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험을 중시하는 밀레니얼 세대는 쇼핑에서도 다양한 고객 경험을 원하고 있다. 마트에서 물건을 보고 사는 것보다는 소비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오프라인 이벤트 등을 더욱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며 기억에 남는 색다른 경험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1.2.1.2. 시장 특성

미국의 냉동식품 시장은 세계 최대 규모의 시장이다. 미국 냉동식품 매출액은 2018년 기준 약 570억 달러를 기록할 만큼 광대한 시장이다. 이렇게 미국 냉동식품 시장이 발달하게 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미국 내 소규모 가족과 1인가구가 증가하면서 냉동식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맞벌이 부부나 1인가구가 늘어나면서 바쁜 일상 속에서도 편리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냉동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것이다. 냉동식품은 오랫동안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한 만큼만 소분해서 먹을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주요 소비층인 밀레니얼 세대가 냉동식품 선호도가 높다는 점이다. 밀레니얼 세대는 주로 맞벌이 부부거나 1인가구이며, 이들의 라이프스타일과 냉동식품의 편리성이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내며 냉동식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비교 구매하는 등 스마트한 소비 행태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이처럼 미국 냉동식품 시장은 가족 구조의 변화와 주요 소비층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특성은 비비고가 미국 진출 시 주목해야 할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2.2. 경쟁사 분석

비비고는 미국 시장에서 만두 제품군에서 가장 뚜렷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비비고 만두는 미국의 선두 만두 브랜드였던 '링링'을 제치고 1위에 올랐으며 매출 또한 크게 늘어나고 있다.

링링은 25년간 미국 만두 시장을 주도해왔던 중국 기업이다. 하지만 비비고가 현지화 전략을 통해 한국식 만두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미국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것에 비해, 링링은 중국식 만두의 특성만을 고수하여 오히려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게 되었다. 링링 만두는 만두피가 두껍고 고기의 함량이 높아 스팀으로만 요리가 가능했는데, 이는 미국 소비자들의 선호와 거리가...


참고 자료

최종우.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형태가 미국을 재구성한다”. . 2017년 2월 17일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list/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57265
최승근. “미국시장서 우뚝 선 한국 식품기업들, 비결은 ‘M&A와 현지투자’”. <데일리안>. 2020년 10월 27일 https://www.dailian.co.kr/news/view/930777/?sc=Naver
심현희. “제일제당. 풀무원, 미국서 만두 전쟁 2라운드” <서울신문>. 2020년 2월 14일.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214022008
박혜린. “농산물 재고 주목한 민금채, 지구인컴퍼니 ‘식물성 고기’로 글로벌 간다”. . 2020년 2월 7일.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162906
심희진. “풀무원 얇은피만두 ‘비건용’ 선보인다”. <매일경제>. 2019년 12월 9일.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12/1025651/
강민. “풀무원 두부, 미국서 1위…올 매출 1000억 돌파”. <식품음료신문>. 2019년 1월 14일 http://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182
이기호. “HMR시장 규모, 2조 1826억원… 성장지속” . 2018년 12월 24일.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420502&memberNo=31875496&vType=VERTICAL
김수연. “미국 식사대용식(HMR) 시장 현황” . 2015년 1월 15일.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3/globalBbsDataView.do?setIdx=254&dataIdx=137415
김동그라미. “미국의 늘어나는 1인 가구 소비자를 잡아라” . 2019년 6월 24일.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list/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75474
조재형. “‘미래 먹거리’ HMR사업 진출 잇따른다”. <아주경제>. 2020년 11월 2일. https://www.ajunews.com/view/20201101220404527
Jay Lee. “바이든 당선자와 미국의 식품 정책 변화 예측 - 제이리(Jay Lee)의 미국통신 (47)”. <식품음료신문>. 2020년 11월 16일.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89148
설은주. “미국 경제 회복세... 통계 작성후 3분기 최고 성장률 33.1% 달성”. <데일리 이코노미>. 2020년 10월 30일. http://enewstoday.kr/news/newsview.php?ncode=1065569232685018&dt=m
김재후. “CJ ‘비비고 만두’ 해외 매출, 국내 앞질렀다”. <한국경제>. 2019년 1월 9일.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010985701
사람들. “비비고 만두, 왜이리 잘 팔리는 건데? CJ제일제당 김숙진님”. <채널CJ>. 2019년 10월 24일. https://blog.cj.net/2874
김민지. “밥상 장악한 CJ제일제당 ‘비비고’, 독주 비결은 R&D”. <뉴스웨이>. 2020년 11월 27일. http://naver.me/FIr3cM5Y
민서연. “한우 꼬리곰탕, 닭갈비 볶음밥... 코로나에 판매 늘어난 간편식 ‘이젠 가격보다 품질’”. <조선비즈>. 2020년 5월 12일.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11/2020051102914.html
심화영. “비비고, 슈완스 유통망 타고 미국 3만개 점포서 팔린다”. <디지털 타임스>. 2020년 10월 22일.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0102202109932727003
뉴스룸. “CJ제일제당, 미 대형 식품업체 슈완스 전격인수”. <채널CJ>. 2018년 11월 15일. https://blog.cj.net/2577
길소연. “CJ비비고, 미 만두 시장 공략 속도... ‘Upshot’ 마케팅 대행 계약”. <더그루>. 2020년 11월 3일.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15745
박상규. “CJ비비고, 미국 한류행사 ‘KCON NY’ 참가... ‘K-푸드’ 알린다”. <더그루>. 2019년 7월 4일. http://naver.me/xOs6sXFi
이순호. “‘비비고’의 미국 여행은 현재 진행중”. <시사브리핑>. 2020년 2월 10일. http://www.n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36
류정민. “우승상금만 19억 CJ컵 개막, ‘비비고’ 노출효과 1700억”. . 2018년 10월 18일. https://www.news1.kr/articles/?3453036
윤희훈. “미국 시장 접수한 ‘비비고 만두’, 글로벌 매출 1조 눈 앞”. <조선비즈>. 2020년 10월 21일.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20/2020102002696.html
김보리. “연매출 ‘1조’로 속 꽉 찬 비비고 만두... ‘K푸드’ 마의 벽 깼다”. <서울경제>. 2020년 9월 21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1Z7XVDVW61
McKinsey.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이미영, 류주한. “현지인 식습관 간파한 ‘맞춤형 만두’ 미.중에 ‘글로컬리제이션’ 돌풍” 『동아비즈니스리뷰』252호 (2018년 7월 Issue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