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문법정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영어문법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장의 구조
1.1. 8품사
1.1.1. 명사
1.1.2. 동사
1.1.3. 형용사
1.1.4. 부사
1.1.5. 접속사
1.1.6. 대명사
1.1.7. 전치사
1.1.8. 감탄사
1.2. 문장의 구성요소
1.2.1. 주어
1.2.2. 동사
1.2.3. 목적어
1.2.4. 보어
1.2.5. 수식어
1.3. 구와 절
1.3.1. 구
1.3.2. 절

2. 동사의 종류
2.1. 자동사
2.2. 타동사
2.3. 수여동사
2.4. 불완전타동사

3. 동사의 시제
3.1. 기본 시제
3.2. 완료 시제
3.3. 진행 시제
3.4. 완료진행시제

4. 조 동 사
4.1. may, might
4.2. can
4.3. must
4.4. will, would
4.5. should
4.6. ougth to
4.7. dare
4.8. need
4.9. used to

5. 태
5.1. 능동태
5.2. 수동태

6. 법
6.1. 직설법
6.2. 명령법
6.3. 가정법

7. 부 정 사
7.1. to부정사
7.2. 원형부정사
7.3. 부정사의 부정
7.4.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7.5. 부정사의 시제
7.6. 부정사의 태
7.7. 관용 표현

8. 동명사
8.1. 동명사의 용법
8.2. 전치사 to + ~ing
8.3. 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
8.4. 동명사의 시제
8.5. 동명사의 태
8.6. 동명사의 부정
8.7. 동명사의 관용 표현

9. 분 사
9.1.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9.2. 분사의 용법
9.3. 분사구문

10. 접속사
10.1. 등위접속사
10.2. 부사절 접속사
10.3. 관계대명사

11. 명 사
11.1. 명사의 종류
11.2. 부정관사

12. 정관사
12.1. the와 무관사
12.2. 고유명사와 정관사

13. 대명사
13.1. 인칭대명사
13.2. 지시대명사
13.3. 부정대명사

14. 형용사와 부사
14.1. 형용사
14.2. 부사
14.3. 전치사

15. 관계대명사와 접속사
15.1. 관계대명사
15.2. 접속사

16. 병치와 짝짓기
16.1. 병치
16.2. 짝짓기

17. 비교급과 최상급
17.1. 비교급과 최상급의 형태
17.2. 비교급과 최상급의 선택
17.3. 비교급과 최상급의 강조
17.4. so that / such that 구문

본문내용

1. 문장의 구조
1.1. 8품사
1.1.1. 명사

명사는 문장에서 실체나 개념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품사로, 크게 보통명사, 고유명사, 집합명사, 추상명사, 물질명사로 구분된다.

보통명사는 사람, 동물, 물건, 장소 등 구체적인 실체를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boy", "horse", "book", "house" 등이 이에 해당한다. 보통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가능하며, 정관사와 부정관사를 취할 수 있다.

고유명사는 특정한 사람, 동물, 장소, 기관 등을 나타내는 고유한 이름을 가진 명사이다. 예를 들어 "Tom", "New York", "Sunday", "Seoul" 등이 이에 해당한다. 고유명사는 일반적으로 정관사와 함께 사용되며, 단수 취급된다.

집합명사는 여러 개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family", "class", "nation", "army", "fleet", "team" 등이 이에 해당한다. 집합명사는 단수 또는 복수로 취급될 수 있는데, 단수로 취급될 경우 집단 전체를, 복수로 취급될 경우 구성원 개별을 나타낸다.

추상명사는 추상적인 개념, 성질, 행동 등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peace", "kindness", "love", "action", "poverty" 등이 이에 해당한다. 추상명사는 일반적으로 단수 취급된다.

물질명사는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물질이나 물건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paper", "glass", "wood", "air", "water", "salt" 등이 이에 해당한다. 물질명사는 일반적으로 셀 수 없는 명사로 취급되며, 단수 취급된다.

이와 같이 명사는 문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종류에 따라 문법적 특성이 다르게 적용된다. 명사의 적절한 사용은 문장의 정확성과 가독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1.2. 동사

동사는 문장의 술어로서 행위, 상태, 존재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동사는 크게 자동사와 타동사로 나뉜다.""

자동사(intransitive verb)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로, 주어 스스로 행위나 상태를 나타낸다. 대표적인 자동사로는 do, lie, sit, come, go, sleep, die 등이 있다. 반면 타동사(transitive verb)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로, 주어가 목적어에 대한 행위를 나타낸다. 대표적인 타동사로는 hit, see, make, give, take 등이 있다.""

동사는 자동사와 타동사 외에도 수여동사(ditransitive verb)와 불완전타동사(intransitive-transitive verb)로 구분될 수 있다. 수여동사는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를 모두 취하는 동사로 give, send, offer 등이 있다. 불완전타동사는 목적어의 유무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의 성격을 함께 지닌 동사로 sit, stand, lie 등이 있다.""

동사는 또한 행위의 완성도에 따라 완전자동사와 불완전자동사, 완전타동사와 불완전타동사로 구분된다. 완전자동사는 보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불완전자동사는 보어를 필요로 한다. 완전타동사는 보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불완전타동사는 보어를 필요로 한다.""

이처럼 동사는 그 성질과 쓰임새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며, 문장 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동사의 정확한 사용은 문장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데 중요하다.""


1.1.3. 형용사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여 그 명사의 성질, 특징, 상태 등을 나타내는 품사이다. 형용사는 주로 명사 앞에서 한정적으로 쓰이며, 서술적으로도 쓰일 수 있다.

형용사의 용법은 크게 한정적 용법과 서술적 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한정적 용법에서는 단독으로 또는 여러 개의 형용사가 병렬적으로 명사를 수식하며, 서술적 용법에서는 주격보어나 목적격보어로 쓰인다.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는 명사 앞에 단독으로 오거나 여러 개의 형용사가 병렬적으로 올 수 있다. 이때 형용사는 명사를 한정하여 그 성질, 특징, 상태 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good student", "an intelligent and hardworking student"와 같이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한다.

한편 형용사는 서술적 용법으로도 쓰일 수 있다. 이 경우 명사를 수식하지 않고 문장의 주격보어나 목적격보어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The student is intelligent."에서 "intelligent"는 주격보어로 쓰였고, "I consider him intelligent."에서 "intelligent"는 목적격보어로 쓰였다.

형용사의 어미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대부분의 형용사는 "-ly" 어미가 붙어 부사가 되지만, 일부 형용사들은 부사형이 다른 어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fast", "early", "late" 등은 부사로 쓰일 때 어미가 달라진다.

형용사는 문장에서 여러 가지로 쓰이며, 명사를 수식하거나 문장의 보어 자리에 쓰여 문장의 의미를 풍부하게 만든다. 이처럼 형용사는 영어에서 매우 중요한 품사라고 할 수 있다.


1.1.4. 부사

부사는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를 수식하여 그 의미를 한정하거나 보충하는 역할을 합니다. 부사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첫째,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에는 "quickly, slowly, carefully, happily, well, badly"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사는 동작의 방식이나 정도를 나타냅니다.""

둘째, 형용사를 수식하는 부사에는 "very, extremely, somewhat, quite, rather" 등이 있습니다. 이 부사들은 형용사가 나타내는 성질이나 상태의 정도를 강조합니다.""

셋째, 다른 부사를 수식하는 부사에는 "almost, nearly, just, hardly, scarcely"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사는 또 다른 부사의 정도를 수식합니다.""

넷째,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에는 "fortunately, unfortunately, obviously, certainly, probably, perhaps"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사는 문장 전체의 내용이나 화자의 태도, 의견 등을 표현합니다.""

다섯째, 부사의 시간적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에는 "now, then, soon, early, late, often, always, never, occasionally, sometimes"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사는 동작의 시간적 국면을 나타냅니다.""

여섯째, 부사의 장소적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에는 "here, there, above, below, outside, inside, forward, backward"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사는 동작이나 상태의 장소를 나타냅니다.""

일곱째, 부사의 원인, 이유, 결과 등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에는 "therefore, thus, consequently, accordingly, because, since, so"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사는 동작이나 상태의 원인, 이유, 결과 등을 나타냅니다.""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부사가 존재하며, 문장에서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등을 수식하여 의미를 한정하고 보충하는 역할을 합니다.""


1.1.5. 접속사

접속사는 문장이나 절을 연결하여 문장을 조리있게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품사이다. 접속사는 크게 등위접속사와 부사절 접속사로 나뉜다.

등위접속사는 두 개의 주절을 대등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등위접속사로는 and, but, or, so, yet, for 등이 있다. 이들 접속사는 주절 뒤에 대등한 절을 이끌며, 두 개의 정동사가 등장하게 된다.

반면 부사절 접속사는 주절을 수식하는 종속절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부사절 접속사에는 when, while, after, before, since, because, if, unless, though, although 등이 있다. 이들 접속사는 주절의 앞이나 뒤에 부사절을 이끌게 된다.

또한 관계대명사 who, which, that, whose 등도 절을 연결하는 접속사의 역할을 한다. 관계대명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절을 이끌면서 주절과 종속절을 연결한다.

이처럼 접속사는 다양한 방식으로 문장 내 절과 절을 연결하여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조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1.6. 대명사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는 말로,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부정대명사 등으로 구분된다. 인칭대명사는 1인칭(I, we), 2인칭(you), 3인칭(he, she, it, they)으로 구분되며, 격(주격, 목적격, 소유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지시대명사는 이것, 저것, 그것 등을 나타내며, 부정대명사는 누구도, 아무것도 등과 같이 불특정한 대상을 나타낸다.

대명사는 주어, 목적어, 보어 등 문장의 여러 성분으로 쓰일 수 있다. 주격 대명사는 주어로 쓰이고, 목적격 대명사는 목적어로 쓰인다. 소유격 대명사는 명사를 한정하는 관형어로 쓰이며, 소유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는 독립적인 명사의 역할을 한다. 재귀대명사는 주어와 동일한 대상을 가리키는 경우에 쓰인다.

대명사의 수와 성은 선행하는 명사와 일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The students are coming, they will be here soon."에서 they는 students의 복수형을 대신한다. 또한 he, she, it 등의 3인칭 단수 대명사는 선행 명사의 성별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

대명사는 문장에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고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지시대명사와 부정대명사는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어 문장의 의미를 풍부하게 한다. 따라서 대명사는 영어 문법과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1.7. 전치사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또는 동명사 앞에 배치되어 그것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기능어이다. 전치사는 시간, 장소, 완료, 기간, 수단, 이유 등 다양한 의미 관계를 나타낸다.

전치사의 종류와 용법은 다음과 같다""

시간 관련 전치사: at(시점), on(특정한 날), in(기간)이 있다. at 8 o'clock, on Monday, in June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완료 관련 전치사: by(~까지는), until(~까지 줄곧)이 있다. I will finish the work by 5 o'clock, She will wait for you until 5 o'clock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기간 관련 전치사: for, during(~동안)이 있다. I have lived here for 10 years, She was ill during the winter months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장소 관련 전치사: at(~에서), in(~의 안에서), on(~의 위에, ~에 접하여)이 있다. I am at school, The book is in the box, She is sitting on the chair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전치사 중 ing로 끝나는 전치사들도 있다. concerning(~에 관한), regarding(~에 관한), barring(~가 없다면), including(~를 포함해서), excluding(~을 제외하고), considering(~을 고려하면)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전치사는 문장에서 명사, 대명사, 동명사 앞에 위치하여 그것들과 밀접한 의미 관계를 맺는다. 따라서 전치사의 올바른 사용은 문장의 정확성과 의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1.1.8. 감탄사

감탄사는 기쁨, 슬픔, 놀람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말이다. 감탄사는 어떤 상황 속에서 느끼는 화자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여, 문장에 강력한 어조와 생동감을 더해준다.

대표적인 감탄사로는 "Oh!", "Bravo!" 등이 있다. "Oh!"는 놀라움이나 기쁨, 슬픔 등의 감정을 나타내고, "Bravo!"는 탁월한 수행에 대한 찬사를 표현한다. 이처럼 감탄사는 화자의 내적 상태를 직접적으로 드러내어 청자에게 강력한 인상을 남긴다.

감탄사는 문장의 중간 혹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구두점(느낌표 등)과 함께 사용되어 감정의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감탄사는 단독으로 사용되어 독립문을 구성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Wow! That's amazing!"과 같이 말이다.

한편, 영어에는 언어적 배경이나 문화에 따라 다양한 감탄사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Gosh!", "Goodness!", "Oops!" 등은 미국식 영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감탄사이다. 이처럼 감탄사는 언어와 문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중요한 언어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요약하면, 감탄사는 화자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여 문장에 생동감과 강조를 더하는 중요한 품사이다. 다양한 감탄사가 언어와 문화에 따라 발달해왔으며, 이는 언어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2. 문장의 구성요소
1.2.1. 주어

주어는 문장의 주체가 되는 부분으로, 문장의 다른 요소들이 주어를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주어는 명사, 대명사, 동명사, to부정사, 명사절 등의 명사 상당어귀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명사가 주어로 쓰이는 경우, 고유명사, 추상명사, 집합명사, 보통명사 등 다양한 유형의 명사가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Jane is a teacher", "Courage is needed to overcome this challenge", "The committee has decided on the new policy" 등의 문장에서 각각 Jane, Courage, The committee가 주어로 사용되었습니다.

대명사가 주어로 쓰이는 경우, 인칭대명사(I, you, he, she, it, we, they), 지시대명사(this, that, these, those), 부정대명사(someone, anyone, everything) 등 다양한 유형의 대명사가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 like this book", "Anyone can do it", "Everything was prepared for the event" 등의 문장에서 각각 I, Anyone, Everything이 주어로 사용되었습니다.

동명사와 to부정사도 주어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inging is my hobby", "To be honest, I don't agree with the plan"과 같은 문장에서 Singing과 To be honest가 주어로 사용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명사절도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명사절은 접속사 that, whether, if 등이 이끄는 완전한 절 형태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at she passed the exam is wonderful", "Whether I can attend the meeting is uncertain" 등의 문장에서 명사절이 주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는 문장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문장을 이루는 다양한 품사와 구조가 주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1.2.2. 동사

동사는 문장의 핵심적인 요소로, 주어에 의해 나타나는 동작, 상태, 또는 존재를 표현한다. 동사는 자동사와 타동사로 구분된다.""

자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로, 주어만으로 문장이 성립된다. 예를 들어 "The girl ran."에서 "ran"은 자동사이다. 자동사는 다시 완전자동사와 불완전자동사로 나뉜다. 완전자동사는 보어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불완전자동사는 보어를 필요로 한다.""

타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로, 주어와 목적어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The girl caught the ball."에서 "caught"는 타동사이다. 타동사 또한 완전타동사와 불완전타동사로 구분된다. 완전타동사는 보어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불완전타동사는 보어를 필요로 한다.""

수여동사는 4형식 문장에서 사용되는 타동사로,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를 모두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John gave Mary a book."에서 "gave"는 수여동사이다.""

불완전타동사는 5형식 문장에서 사용되며, 목적어와 목적보어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I consider her a good student."에서 "consider"는 불완전타동사이다.""

이처럼 동사의 유형에 따라 문장의 구조가 달라지므로, 문장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구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동사의 특성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2.3. 목적어

목적어는 문장의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로, 동사가 행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명사구나 대명사를 말한다. 목적어는 동사의 종류에 따라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경우도 있고, 동사의 성격에 따라 생략 가능한 경우도 있다.

타동사는 반드시 목적어를 요구하며, 자동사는 목적어 없이도 문장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e reads a book."에서 "a book"이 목적어이며, "The flower blooms."에서는 목적어가 없다. 또한 수여동사(give, send, bring 등)는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를 모두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e gave a book to her."에서 "a book"이 직접목적어이고 "to her"가 간접목적어이다.

불완전타동사는 목적어와 함께 보어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They made him a teacher."에서 "him"은 목적어, "a teacher"는 보어이다.

목적어는 동사의 작용이 미치는 대상이므로, 동사의 성격과 문장의 구조에 따라 필수적이거나 선택적일 수 있다. 또한 단일 목적어 뿐 아니라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를 모두 취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목적어는 문장의 핵심적인 요소로,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2.4. 보어

보어(Complement)란 동사의 의미를 보충하거나 완성하는 문장 성분을 말한다. 즉, 문장의 주체인 주어와 서술어인 동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동사의 의미를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보어라고 한다. 보어에는 크게 주격보어와 목적격보어가 있다.

주격보어는 주어와 같은 성질의 보어로, 주어를 보충하거나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그 고양이는 참 예쁘다."에서 '예쁘다'가 주격보어이다. 주어인 '고양이'의 성질을 보충하고 있다.

목적격보어는 목적어를 보충하거나 설명하는 보어로, 대개 동사 뒤에 온다. 예를 들어 "그들은 그녀를 의사라고 불렀다."에서 '의사'가 목적격보어이다. 목적어 '그녀'의 신분을 밝히고 있다.

보어는 문장의 의미를 보다 구체화하고 풍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주격보어와 목적격보어는 문장의 주체인 주어와 목적어를 보충하여 동사의 의미를 완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어는 문장의 논리성과 정확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문장 성분이라고 할 수 있다.""


1.2.5. 수식어

수식어란 문장의 주요 성분인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를 수식하는 역할을 하는 부수적인 성분을 말한다. 수식어에는 관형어(형용사,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등)와 부사어(부사, 전치사구, 동명사구, 부정사구 등)가 있다.

관형어는 명사를 수식하며, 명사의 의미를 제한하거나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관형어에는 한정적 용법(the young girl, a small house)과 서술적 용법(She was very young. The girl was intelligent.)이 있다. 명사를 수식하는 관형어는 명사 앞에 위치하지만, 서술적 용법의 관형어는 명사 뒤에 오기도 한다.

부사어는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을 수식하여 그 의미를 한정한다. 부사어에는 부사(quickly, carefully), 전치사구(in the morning, with great effort), 동명사구(by working hard, without saying a word), 부정사구(to study hard, in order to pass the exam) 등이 있다. 부사어는 동사, 형용사, 부사 앞에 위치하여 그 의미를 제한하거나 수식한다.

문장 성분을 수식하는 수식어는 문장의 이해와 의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식어를 통해 문장의 의미가 구체화되고 세부화되어 명확해진다. 또한 문장의 흐름과 논리성을 높여주어 문장의 완성도를 높인다.""


1.3. 구와 절
1.3.1. 구

구는 문장의 기본 단위로, 문장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이 문장 내에서 어떻게 배열되고 결합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구에는 명사구, 동사구, 형용사구, 부사구, 전치사구 등이 있다.

명사구는 명사와 관사, 형용사 등의 수식어로 이루어진다. 명사구는 문장의 주어, 목적어, 보어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he big house"는 명사구이다.

동사구는 동사와 목적어, 보어 등으로 이루어지며 술어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read a book"은 동사구이다.

형용사구는 형용사와 그 수식어로 이루어지며, 명사를 수식한다. 예를 들어 "very intelligent"는 형용사구이다.

부사구는 부사와 그 수식어로 이루어지며,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을 수식한다. 예를 들어 "very carefully"는 부사구이다.

전치사구는 전치사와 목적어로 이루어지며, 명사구나 대명사를 수식한다. 예를 들어 "in the room"은 전치사구이다.

이와 같이 구는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전치사 등의 품사가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1.3.2. 절

절(clause)은 하나 이상의 주어와 동사가 있는 문장의 부분이다. 절은 주절(독립절)과 종속절(부속절)로 구분된다.

주절은 독립적으로 완전한 문장이 되는 부분이며, 종속절은 주절에 종속되어 완전한 문장이 되지 않는 부분이다. 종속절은 다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나뉜다.

명사절은 주어, 목적어, 보어 등의 명사 기능을 하는 절이다. 주어명사절은 that절, wh-절, whether/if절 등으로 시작된다. 목적어명사절은 동사나 전치사 뒤에 오며, 보어명사절은 be동사나 형용사 뒤에 온다.

형용사절은 선행사를 수식하는 관계절로,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로 시작된다. 관계대명사에는 who, which, that, whose가 있고, 관계부사에는 when, where, why, how 등이 있다.

부사절은 주절을 수식하는 부사의 역할을 하는 절이다. 접속사로는 시간(when, whenever, while, as, since, until, after, before), 원인/이유(because, since, as, for), 조건(if, unless, provided (that), on condition (that)), 양보(although, though, even though, while), 목적(so that, in order that), 결과(so, such that) 등이 있다.

종속절 앞에 접속사가 있으면 주절을 이끄는 것이 보통이지만, 경우에 따라 주절이 종속절 앞에 오기도 한다. 이런 경우 주절의 주어와 동사의 순서가 도치되는데, 이는 부사절이나 관계절의 내용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절은 문장의 구조를 이루는 핵심적인 요소로, 주절과 종속절의 관계 및 유형에 따라 문장의 의미와 구문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2. 동사의 종류
2.1. 자동사

자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이다. 자동사는 완전자동사와 불완전자동사로 나뉜다.

완전자동사는 보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사이다. 예를 들어 "do"는 "(무엇이) 충분하다, 좋다"의 의미로, "Anything will do."와 같은 문장에서 사용된다.

불완전자동사는 보어를 필요로 하는 자동사이다. 예를 들어 "matter"와 "count"는 "(무엇이) 중요하다"의 의미로, "It doesn't matter to me."와 "His opinions does not count."와 같은...


참고 자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