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진단보고서
1.1. 일반적인 정보
성명(성별)은 김 ○○(男)이며, 생년월일은 2002년 04월 23일(만 13세 3개월)입니다. 장애유형은 지적장애로 인한 조음장애이며, 치료사가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기간은 2015년 7월 2일 ~ 작성일자입니다.
1.2. 배경정보 및 행동관찰
어머니의 보고에 의하면 가족관계는 어머니, 아버지, 동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 양육자는 어머니라고 한다. 아동은 출산 시 몸무게는 2.94kg 으로, 제왕절개로 태어났다고 한다. 어머니의 출산 전·중·후에 약물복용이나 질병은 없었다고 한다. 아동은 12개월경에 주변의 권유로 설 소대 수술을 한 경험이 있으며, 만성비염이 있다고 한다. 아동의 신체 발달을 살펴보면 앉기, 걷기 등의 신체발달은 또래들과 유사하게 발달 하였으며, 운동 협응 능력에서 소 근육이 미흡한 편이라고 한다. 현재 아동은 침 흘림이 많은 편이라고 하며, 구강구조가 둔한 편이라고 한다. 아동의 언어발달을 살펴보면 아동은 옹알이나 초어 등의 언어발달은 또래아동과 유사하게 발달하였다고 한다. 아동의 교육력을 살펴보면, 5~6세경에 ○○대학병원에서 언어발달이 1년 ~ 1년 5개월 정도가 지체되었다고 평가받았고, 초등학교 1학년 때는 지적장애3급을 진단 받아 ○○언어치료실에서 3~4년 동안 언어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한다. 현재 아동의 문제점으로는 침 흘림이 많아 또래관계에 있어서 문제점을 보이고 있으며, 조음구강기능이 저하되어있어 말의 명료도가 떨어진다고 한다. 어머니께서 본 센터에 바라시는 점은 아동의 전반적인 명료도가 높아지고, 그 중에서도 /ㅅ/의 명료도가 높아졌으면 좋겠다고 한다. 아동은 센터에 들어와 실내화로 갈아 신은 후 준비실로 가서 치료사를 찾았다. 아동은 치료사를 보고 웃으며 다가가는 행동을 보였고, 치료실에 입실하였다. 아동은 치료사와 일상대화 시 구강 개방이 적절히 되지 않았으며 침이 고인 듯 하여, 전반적인 발화 명료도가 낮게 들렸다. 치료사가 설압자와 시럽을 제시하자 아동은 자신이 설압자에 시럽을 많이 바르는 행동을 보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설압자를 제시하며 "○○아, 이번에 위쪽으로 갈꺼야."라고 하며 혀 운동을 실시할 때 아동은 혀의 거상 운동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치료사가 아동에게 진동교구를 제시하며 "짠."이라고 하자 아동은 웃으며 진동교구를 들고 치료사의 얼굴에 가져다 대는 행동을 보였다. 치료사와 아동이 빨대를 이용하여 병뚜껑을 부는 축구게임을 진행 할 때 아동은 입에서 침이 고여 있다가 흐르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아동은 종성 /ㅁ/가 포함되어 있는 단어를 자발적으로 조음할 때 생략이 많이 나타났으며 활동을 진행할 때 차례 지키기와 규칙 지키기가 잘 수행 되었고, 활동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치료사와 인사를 한 뒤 아동은 강화물을 주머니에 넣고 치료실을 퇴실하였다.
1.3. 검사도구 및 결과
한국 표준 수용 어휘력 검사 (REVT: Reception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는 만 2세 6개월부터 만16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수용 어휘력과 표현 어휘력이 또래와 비교하여 어느 단계에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수용어휘력은 원점수 108점, 언어발달연령 11세로 측정되었고 24개월 지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어휘력은 원점수 145점, 언어발달연령 15세로 아동의 현재 생활연령보다 23개월 높게 산출되었다""
한국어 표준 그림 조음음운 검사 (KS-PAPT: The Korean Standard Picture of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Test)를 실시한 결과, 아동의 자음 정확도는 84.43%로 나타났다. 특히 어중종성에서 /ㄱ,ㄹ/을, 어말종성에서 /ㄷ,ㄹ,ㄴ/을 주로 생략하는 오조음 패턴이 관찰되었다""
조음기관 구조?기능 선별검사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 SMST)를 통해 대상자의 조음기관 구조와 기능을 평가한 결과, 구조, 조음 규칙성?정확성, 기능이 ?2SD 이상에 속하였고 음성은 정상범주에 속하였다. 조음선별카드와 조음교대운동 검사에서도 발화 속도가 느리고 정상범주에 속하지 못하였다""
우리말 조음-음운 평가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 U-TAP)를 실시한 결과, 낱말수준에서 자음정확도는 86.04%, 모음정확도는 90%로 나타났다. 특히 종성생략이 42.1%로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종성 비음 생략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1.4. 진단결과
아동의 진단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은 구강구조 상, 상악에 비하여 하악이 작은 편이며, 2급 부정교합인 상악전돌을 보인다. 설소대 수술을 두 차례 하였고 현재 혀의 거상운동이 잘 수행되지 않으며, 모음에 있어서는 이중모음이 나올 때 오조음을 보이는 빈도가 높다.
아동의 언어를 보았을 때, 문장의 길이가 짧고 또래에 비해 수용언어가 지체 되어 나온다. 아동은 능동적인 면보다는 수동적인 언어와 행동을 나타내고 있다.
아동은 말을 할 때 침을 많이 흘리고 호흡이 짧아 긴 발화를 잘 수행하지 못한다. 아동이 긴 발화를 할 수 있도록 호흡조절과 조음기관 감각을 예민하게 느낄 수 있도록 자극을 많이 제공할 필요가 있다.
2. Case Study
2.1. 대상자 소개
백ㅇㅇ님은 58세 남성으로 cervical myelopathy 진단 하에 서울 아산병원 재활의학과에서 재활 치료 받고 계셨으나 연고지 문제로 OO대 병원 971W에 입원한 환자이다. 5/15 입원 시 V/S은 SBP/DBP 150/80 - HR 58회 - RR 18회 - BT 36.4°C - SpO₂ 97%이었다. 5/15 주호소는 Tetraplegia C3(A)이셨으며 현재는 C4(C)이다. 9/7 주호소는 양 상지와 양 하지의 통증이시며 배뇨곤란 있다. 경추 손상으로 인해서 생기셨으며 처음에는 양 사지와 하지를 움직이지 못하셨으나 아산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으시며 오른쪽 어깨 힘이 조금 생겨서 어깨 힘도 우측 팔 조금씩 움직이는 정도까지 호전되셨다. 흡연력은 38년 동안 하루에 0.5갑씩 피셨으나 2022년부터 금연하고 계시며, 음주력은 38년 동안 1.5병씩 월 12회 드셨으나 2022년부터 금주하고 계시다. 9/7 검사 상 특이사항은 Hb 13.3-MPV 12.4-ESR 14와 소변검사에서 Nitrite, Leukocyte 검출과 WBC many, Bacteria many 검출됐다.
2.2. 간호과정 적용
2.2.1. 일반적 사항
대상자는 성명이 김ㅇㅇ, 생년월일이 2002년 04월 23일로 만 13세 3개월에 해당하는 남자 아동이다. 이 아동은 지적장애로 인한 조음장애를 진단받았으며, 12개월경에 설소대 수술을 한 경험이 있고 만성비염이 있다.
아동의 신체 발달을 살펴보면 앉기, 걷기 등의 신체발달은 또래들과 유사하게 발달하였으나 운동 협응 능력에서 소근육이 미흡한 편이라고 한다. 현재 아동은 침 흘림이 많은 편이며, 구강구조가 둔한 편이라고 한다.
아동의 언어발달을 살펴보면 옹알이나 초어 등의 언어발달은 또래아동과 유사하게 발달하였으나, 5~6세경에 언어발달이 1년 ~ 1년 5개월 정도 지체되었다고 평가받았고, 초등학교 1학년 때는 지적장애 3급을 진단받아 언어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
현재 아동의 문제점으로는 침 흘림이 많아 또래관계에 있어서 문제점을 보이고 있으며, 조음구강기능이 저하되어있어 말의 명료도가 떨어진다고 한다.대상자의 가족관계는 어머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