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연쇄살인의 개관
1.1. 연쇄살인범의 개념
연쇄살인이라는 용어는 1974년~1979년까지 약 30여명의 여성을 살해한 테드번디가 저지른 잔혹한 범죄를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1970년대 미국에서 연쇄살인/ 다중살인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연쇄살인은 각각의 범죄가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하고 범죄의 원인 또한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범죄들간의 동질성을 파악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범죄유형이다. 1978년 초 FBI행동과학부에서 교도소에 수감된 연쇄살인범들을 인터뷰하여 이런 자료를 토대로 Hazelwood와 Douglas는 연쇄성적 살인을 체계적 범주와 비체계적 범주로 구분하였으며, 1980년대 후반에는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진단 및 통계편람(DSM)을 모델로 하여 살인 방화, 강간 및 성폭행을 세부유형으로 분류하는 "범죄분류메뉴얼"을 발간하여 범죄유형에 따른 용어를 정의하고 수사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축적하였다."이다.
1.2. 피해자 수와 공간적 특성에 의한 구분
피해자 수와 공간적 특성에 의한 구분은 연쇄살인범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우선 단순살인은 한 사건, 한 장소에서 1명의 피해자가 살해된 경우를 말한다. 이중살인은 한 사건, 한 장소에서 2명의 피해자가 살해된 경우이고, 삼중살인은 3명, 다중살인은 4명 이상의 피해자가 살해된 경우를 의미한다. 고전적 다중살인은 수초, 수분 혹은 며칠에 걸쳐 일정한 기간 동안에 한 장소에서 한 사람에 의해 일어나는 다수에 대한 살인 사건이다. 가족다중살인은 4명 이상의 가족이 한꺼번에 살해되는 경우이고, 다중살인/자살은 피해자 살인 후 가해자가 자살하는 경우를 말한다.
연속살인은 두 곳 이상의 장소에서 1건의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이며, 이때 범죄자는 심리적 냉각기를 거치지 않는다. 한편 연쇄살인은 세 곳 이상의 개별적인 장소에서 3건 이상의 개별적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로, 이때 범죄자는 살인사건을 행하는 동안 심리적 냉각기를 갖게 된다. 즉 연속살인과 연쇄살인을 구분하는 기준은 개별적인 사건에서 개별적인 피해자가 일련의 시간적 간격에 따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지, 그리고 심리적 냉각기의 존재 여부이다.
이처럼 연쇄살인범죄의 유형은 피해자 수와 공간적 특성을 기준으로 세부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연쇄살인범죄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1.3. 동기에 의한 구분
연쇄살인범의 동기는 크게 범죄적 이익을 위한 동기, 개인적 원인에 의한 동기, 성적 동기, 그리고 집단적 원인에 의한 동기로 구분된다"".
첫째, 범죄적 이익을 위한 동기는 금전적인 이익을 위해서 혹은 갱 간의 갈등이나 경쟁과 같은 한집단의 이익을 위해 살인을 저지르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몸값을 받아내기 위한 유괴 살인, 보험금을 노린 살인사건 등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 개인적 원인에 의한 동기는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여러 동기에 의해 살인이 발생되는 경우로, 원한, 치정, 극단적 가치관 등이 그 예이다"".
셋째, 성적 동기는 개인적 동기에 해당될 수 있는 범위지만 살인에 중요한 동기로 작용하기 때문에 독립된 하나의 범주로 구분된다"".
넷째, 집단적 원인에 의한 동기는 사이비종교 등에서 종교의식의 하나로 살인을 자행하는 경우, 집단의 이익을 위해 인질극을 벌이는 테러 등과 같이 집단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2. 연쇄살인범의 특성
2.1. 연쇄살인범의 아동기
연쇄살인범들은 하루아침에 살인범이 되는 것이 아니라 어린 시절부터 독특한 특성을 갖는다고 한다. 연쇄살인범들은 어린 시절의 학대경험으로 인하여 적절하게 방어기제를 발달시키거나 사용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이유로 학교나 사회, 직장에서 적응의 어려움을 겪고 자신이 속해있는 환경에서의 부적응으로 인하여 적절한 청소년기의 발달단계를 거치지 못하게 된다""
2.2. 공간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