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식도정맥류 출혈위험성 간호진단 케이스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정
1.1. 주관적 자료
1.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2.1. 문맥압 증가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2.2. 암모니아수치 상승과 관련된 급 혼돈
3. 간호목표
3.1. 장기목표
3.2. 단기목표
4. 간호계획
4.1. 진단적 계획
4.2. 치료적 계획
4.3. 교육적 계획
5. 간호수행
5.1. 진단적 수행
5.2. 치료적 수행
5.3. 교육적 수행
6. 간호평가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정
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저번처럼 기침할 때 침이랑 피가 같이 섞여서 나왔어요."라고 말하며 최근 토혈 및 혈변 증상이 있었다고 호소하였다. 또한 "전에 입원했을 때보다 피가 많이 나오긴 했어요." 라고 하여 과거에도 유사한 증상이 있었음을 진술하였다. 대상자는 "요근래 술을 많이 마셔서 그런가..?" 라고 하며 술 섭취와 증상 악화를 연관 지어 생각하는 모습을 보였다."
1.2. 객관적 자료
식도정맥류(Esophageal Varices)는 간경변증과 관련된 대표적인 합병증 중 하나이다. 객관적 자료에 따르면, 대상자는 간경변증 환자로 진단되었으며 내시경 검사 결과 E.Varix, F3CbLm RCS(+)로 관찰되었다"" 이는 식도정맥류가 심한 단계에 있음을 의미하며, 출혈의 위험이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활력징후를 살펴보면 수축기 혈압이 90/60 mmHg로 저하되어 있고, 심박수가 121회/분으로 빠른 상태이다. 이는 출혈에 따른 보상기전으로 볼 수 있으며, 혈역학적 불안정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검사 결과에서는 프로트롬빈 시간(PT)이 14.3초로 연장되고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도 41초로 증가되어 있어 응고기능이 저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혈소판 수치도 140(10³)/μl로 감소되어 있어 출혈 위험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복부 초음파 및 GI dynamic MDCT 검사 결과, 간경변증과 비장비대, 식도 및 주위 식도정맥류가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간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환자는 내원 5시간 전 토혈과 혈변 증상이 각각 1회씩 있었다고 보고하였으며, 신체 곳곳에서 점상출혈(Petechia)이 관찰되었다."" 이는 응고기능 저하로 인한 피부 및 점막의 취약성을 반영하는 소견이다.
종합해볼 때, 대상자는 심각한 간경변증으로 인해 식도정맥류가 진행된 상태이며, 출혈 위험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활력징후 저하, 응고기능 저하, 출혈 증상 등을 고려할 때 즉각적인 치료 개입이 필요한 응급 상황으로 볼 수 있다.
2. 간호진단
2.1. 문맥압 증가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문맥압 증가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은 간경변증 환자에게서 주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간경변증은 장기간의 간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정상적인 간 조직이 섬유화되어 단단한 결절로 변화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문맥의 혈류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문맥압이 상승하게 된다. 문맥압의 증가는 식도와 위의 정맥류 형성을 유발하게 되며, 이 정맥류가 파열되면 심각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식도정맥류 출혈은 간경변증 환자의 주요한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간경변증 환자는 간 기능 저하로 인해 응고 인자들의 생성이 감소하고 혈소판 기능이 장애되어 있어 출혈에 취약한 상태이다. 또한 간에서 분해되어야 할 독성 물질들이 체내에 축적되면서 혈관벽이 손상되어 출혈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간경변증 환자에서 문맥압 증가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은 매우 중요한 간호진단이 된다. 이러한 출혈 위험성은 대상자의 활력징후 변화, 피부 및 점막의 출혈 징후, 혈액 검사 결과 등을 통해 사정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 검사를 통해 식도나 위 정맥류의 크기와 중증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출혈 위험성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예방은 간경변증 환자의 예후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활력징후 모니터링, 출혈 예방을 위한 약물 투여,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술 등의 치료적 중재와 더불어 대상자와 보호자 교육을 통해 출혈 위험 요인을 최소화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2. 암모니아수치 상승과 관련된 급 혼돈
암모니아수치 상승과 관련된 급 혼돈이란 간 기능 저하로 인해 독성 물질인 암모니아가 혈액 내 축적되어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는 상태이다. 이는 주의력, 인지, 정신운동성 활동, 의식수준, 수면 각성 주기의 전반적인 변화와 장애가 갑자기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성 뇌증은 간 기능이 저하되면서 발생하는 대사성 뇌증의 한 유형으로, 암모니아 수치 상승이 주된 병인이다. 간세포의 손상으로 인해 암모니아를 비독성 물질로 전환하여 배설하는 능력이 저하되면 혈액 내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증가한 암모니아는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여 중추신경계에 도달하고, 신경세포의 기능장애를 유발하게 된다.
간성 뇌증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은 혼란, 기억력 저...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2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고일선 외 (2021),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 2020, 학지사메디컬
최순희 외 (2019), 간호과정의 실제, 현문사
박은영 외 (202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식도 및 위정맥류의 예방과 치료, 장재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소화기연구소
위식도정맥류 출혈의 예방과 치료, 정승원 외 9명,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 5개
내시경적 식도 및 위정맥류 치료법, 이태희,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식도정맥류 출혈의 예방, 이창형,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고자경 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 1, 2. 퍼시픽북스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금주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Herdman 외 공저(201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강갑년. "외국문헌초록 / 간성혼수의 예후 급 그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2.1 (1959): 61-61.
박원대(Won Dae Park),박승국(Soong Kook Park),and 곽춘식(Choon Sik Kwak). "간성뇌증환자에서 혈장 및 뇌척수액내 아미노산의 변동." 대한내과학회지 32.4 (1987): 474-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