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효소의 특성과 작용
1.1. 효소의 정의 및 종류
효소는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을 촉진시켜주는 단백질 촉매이다. 효소는 기질이라 불리는 특정한 반응물과 결합하여 활성화에너지를 낮춰줌으로써 화학반응을 빨리 진행시킨다. 이러한 효소는 6가지의 주요 종류로 구분된다.
첫째, 산화-환원 효소는 기질로부터 수소나 전자를 다른 물질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전이 효소는 아미노기나 메틸기와 같은 작용기를 한 분자에서 다른 분자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 셋째, 가수분해 효소는 물을 첨가시켜 고분자 기질을 저분자로 분해한다. 넷째, 분해·부가 효소는 분자에 작용기를 첨가하거나 제거한다. 다섯째, 이성질화 효소는 기질의 분자식을 변화시키지 않고 분자 구조를 변형시킨다. 마지막으로 연결 효소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두 분자를 연결시켜준다. 이처럼 생명체에 필수적인 효소는 각자의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1.2. 효소의 구조와 기능
효소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효소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특정한 입체 구조를 가지고 있다. 효소의 입체 구조는 화학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효소의 표면에는 기질이 결합할 수 있는 활성 부위가 존재하는데, 이 활성 부위는 특정한 입체 구조로 되어 있다. 활성 부위에 기질이 결합하면 효소와 기질이 만나 효소-기질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 복합체가 형성되면 화학 반응이 일어나 생성물이 만들어진다. 생성물이 만들어지면 효소는 복합체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반응에 참여할 수 있다.
효소의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효소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1차, 2차, 3차, 4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1차 구조는 아미노산 서열이고, 2차 구조는 아미노산 사슬이 꼬여 있는 구조이다. 3차 구조는 단백질 분자가 접힌 구조이며, 4차 구조는 여러 개의 단백질 분자가 결합한 구조이다. 둘째, 효소의 활성 부위는 특정한 입체 구조를 가지고 있어 기질과 잘 결합할 수 있다. 셋째, 효소에는 보조 인자인 보조 효소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보조 효소가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효소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효소는 화학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화학 반응이 일어나려면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한데, 효소는 이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반응을 빠르게 진행시킨다. 둘째, 효소는 기질 특이성을 가지고 있어 특정 기질에만 작용한다. 이는 효소의 활성 부위가 기질의 입체 구조와 잘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셋째, 효소는 반응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효소는 화학 반응의 속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반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1.3. 효소의 반응 특성
효소는 화학반응을 촉매하는 단백질로, 특유의 반응 특성을 지니고 있다. 효소의 반응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효소는 반응물인 기질에 대한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효소의 활성 부위와 기질의 입체구조가 잘 맞아야 효소-기질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효소는 특정 기질에 대해서만 작용한다. 이러한 효소의 특이성은 "열쇠와 자물쇠"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효소가 자물쇠라면 기질은 그에 맞는 열쇠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만 결합할 수 있다.
둘째, 효소는 반응 속도를 매우 빠르게 증가시킨다. 효소가 없을 때와 비교하면 화학반응 속도가 수천배 또는 수만배 빨라질 수 있다. 이는 효소가 반응물들을 적절한 방향으로 배향시키고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화학반응은 효소에 의해 매개된다.
셋째, 효소는 반응 조건에 따라 활성이 달라진다. 온도, pH, 기질 및 효소 농도 등의 변화에 따라 효소의 활성도가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온도가 높아지면 반응 속도가 빨라지지만 일정 온도를 넘어서면 오히려 활성이 떨어지며, pH가 최적 범위를 벗어나면 효소의 입체 구조가 변형되어 활성을 잃게 된다.
넷째, 효소는 가역적 반응을 촉매할 수 있다. 효소가 촉매하는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를 동시에 높여주기 때문에 평형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이는 생물체 내에서 물질대사 과정의 정상적인 진행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