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법, 감염병 예방관리 중에 연관된 법적 윤리적 쟁점이 된 사례 분석

  • 1
  • 2
  • 3
  • 4
  • 5
  • 6
  • 7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의료법, 감염병 예방관리 중에 연관된 법적 윤리적 쟁점이 된 사례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재난과 감염병
1.1. 재난의 정의와 유형
1.2.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의 발생과 피해
1.3. MERS에 대한 윤리적, 법적 책임

2. 국내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현황
2.1. 감염관리 관련 법과 정책
2.2. 국내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실태
2.3. 감염관리의 문제점

3. 감염관리 개선방안
3.1. 감염관리 인력 확보 및 전문성 제고
3.2. 감염관리 물품 및 시설 확충
3.3.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준수 제고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재난과 감염병
1.1. 재난의 정의와 유형

재난은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나뉜다. 자연재난은 태풍, 홍수, 호우, 강풍, 풍랑, 해일, 대설, 한파, 낙뢰, 가뭄, 폭염, 지진, 황사, 조류 대발생, 조수, 화산활동, 소행성, 유성체 등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이다. 사회재난은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항공사고 및 해상사고, 화생방사고, 환경오염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와 국가기반체계 마비, 감염병 확산,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피해이다.


1.2.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의 발생과 피해

MERS는 2012년 6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견된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감염증으로서, 2013년 5월 국제바이러스 분류위원회에 의해 명명되었다. 주로 성인에게서 발생되며, 발열, 기침, 호흡곤란이 주 증상이다. 메르스는 우리나라에 확산되기 전까지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주요 발생국이었으며, 감염자와의 직,간접 접촉에 의한 감염이 주요 발병원인으로 지역사회 전파의 근거는 없다. 접촉에 의한 감염은 적절한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환자와 2M 이내 머문 의료인이나 같은 공간에 머문 환자, 방문객등 집접 접촉에 의한 경우가 많다.

2012년부터 2015년 7월 16일까지 전 세계적으로 1392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으며, 이 중 536명이 사망하여 38.5%의 치사율을 보였다. 우리나라는 2015년 7월 19일 186명의 확진자중 36명이 사망하였다. 메르스 감염이 발생한 병원별 확진환자 수는 첫 번째 환자가 발생한 평택성모병원이 36명이었고 이 병원에서 감염된 환자로부터 유행이 일어난 삼성서울병원의 발생 환자 수는 91명으로 가장 많았다. 발단 환자에 의한 2차 감염자와 이들 2차 감염자 중 3명에 의한 다른 병원의 3차 감염자와, 3차 감염자 중 1명에 의한 4차 감염자가 전체 환자의 87.6%를 차지하였다.


1.3. MERS에 대한 윤리적, 법적 책임

MERS의 발생과 확산은 단순히 감염병의 문제를 넘어 윤리적 및 법적 쟁점을 포함하고 있다. MERS는 평화롭던 일상에 갑작스럽게 닥친 재난 상황이었기에 이에 대한 사회 구성원 모두의 윤리적 성찰이 필요하다.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으나, MERS 대응과정에서 정보 공개 지연, 보건당국의 느린 대응 등으로 인해 국민의 불신을 야기하였다. 이로 인해 국민들의 병원 쇼핑, 외출, 병문안 등의 행동이 감염 확산을 가중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결국 국가의 감염병 대응 역량 부족과 더불어 윤리적 실패라고 볼 수 있다.

의료진들은 감염병 환자 돌봄이라는 직업적 소명을 가지고 있지만, MERS 유행 당시 음압병상 및 보호장비 부족으로 인해 감염되는 등 자신들의 안전도 보장받지 못하였다. 이는 의료진의 인명 보호와 환자 안전의 조화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법적, 윤리적 논의가 필요...


참고 자료

응급 및 재난간호, 현문사, 2015
국립재난안전연구원 http://www.ndmi.go.kr/promote/knowledge/nature.jsp
서울종합방재센터 https://119.seoul.go.kr/asims/main.do
http://www.korea.kr/news/contributePolicyView.do?newsId=148865832
"우리나라 결핵 실태 및 국가 결핵관리 현황", 조경숙, 보건사회연구, 2017
https://www.kihasa.re.kr/hswr/assets/pdf/1067/journal-37-4-179.pdf
"국제사회의 감염병 대응ODA 현황과 시사점", 이주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https://www.kiep.go.kr > galleryDownload
C. O’Boyle, M. Jackson, & S. J. Henly (2002). Staffing requirement for infection control program in US health care facilities: Delphi project.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0(6), 321-33.
Silva, and Jorge Otávio Maia Barreto (2021). Dissemination interventions to improve healthcare workers’ adherence with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guidelin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mplement Sci, 16(92).
감염병관리센터 (2018). 2018년 국내 의료기관 종별 감염관리 기반 및 활동 현황 조사 결과. 주간 건강과 질병, 12(3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