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산후출혈병태생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산후출혈
1.1. 정의
1.2. 원인 및 유발요인
1.2.1. 조기 산후출혈
1.2.2. 후기 산후출혈
1.3. 병태생리
1.4. 증상과 징후
1.5. 진단
1.6. 예방 및 치료
1.6.1. 자궁마사지
1.6.2. 자궁수축제 투여
1.6.3. 양손자궁압박법
1.6.4. 수액보충 및 수혈
1.6.5. 외과적 중재
1.6.6. 산소공급
1.6.7. 방광 팽만 여부 사정
1.6.8. 혈액검사 모니터링
1.6.9. 산모 불안감 완화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산후출혈
1.1. 정의
산후 출혈은 질식분만 후 산도를 통하여 5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나 제왕절개 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산후 출혈이란 분만 3기 중과 후에 산도를 통하여 500mL 이상의 출혈이 있으며, 전 혈량의 15% 이상을 소실하는 경우를 말한다. 산후 출혈은 조기(원발성) 산후출혈과 후기(속발성) 산후출혈로 구분된다. 조기 산후출혈은 분만 후 첫 24시간 이내에 발생하고, 후기 산후출혈은 산후 24시간에서 분만 후 6주 사이에 발생한다. 이와 같은 정의를 통해 산후 출혈의 범위와 시기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1.2. 원인 및 유발요인
1.2.1. 조기 산후출혈
조기 산후출혈은 분만 후 첫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로, 출혈량이 매우 많고 이환율이 높다""
조기 산후출혈의 주요 원인은 자궁이완이며, 이외에도 산도열상, 잔류태반, 산후혈종, 자궁파열, 태반부착 이상, 혈액응고장애 등이 있다""
자궁이완은 조기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자궁의 과다팽만이 주요 원인이다"" 거대아, 다태임신, 양수과다 등으로 인한 자궁의 과다팽만, 급속분만 혹은 자연분만, 출산 촉진을 위한 옥시토신 사용, 다산부, 마취제나 약물 사용, 융모양막염, 전자간증, 전치태반 등이 자궁이완의 원인 및 유발요인이다""
자궁이 물렁물렁하고 잘 수축되지 않는 경우, 복부 촉진 시 자궁저부 마사지(fundal massage)를 시행하여 이완된 근육을 수축시킬 수 있다"" 또한 옥시토신, 에르고타민, 프로스타글란딘과 같은 자궁수축제를 투여하여 보존적으로 출혈을 조절할 수 있다""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 자궁충전술, 동맥색전술, 자궁압박봉합술, 동맥결찰술 등의 수술적 중재가 필요할 수 있다""
1.2.2. 후기 산후출혈
후기 산후출혈은 출산 24시간 이후부터 산후 6주 사이에 발생하는 출혈을 말한다. 후기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자궁퇴축부전과 태반 조각의 잔류이다.
자궁퇴축부전은 태반부착부위의 자궁내막이 다른 부위에 비해 상당히 긴 재생시간이 요구되어 약 42일 동안 자궁내막의 상피가 단단하게 형성되지 않아 발생한다. 이로 인해 태반부착부위의 혈괴가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태반 조각의 잔류 역시 후기 산후출혈의 주요 원인이다. 태반의 일부가 소량이라도 자궁벽에 남아 있으면 자궁수축을 방해하여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산후 감염, 혈액응고장애, 자궁근종 등의 요인으로 인해 후기 산후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출산 후 지속적인 관찰과 자궁퇴축 및 출혈 양상에 대한 주기적인 사정이 필요하다.
1.3. 병태생리
태반 만출 후 지혈의 기전은 자궁근층이 수축함으로써 많은 수의 혈관 구멍을 기계적으로 압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산모의 혈액응고기전이 정상이더라도 이완성 자궁에서는 치명적인 산후출혈이 발생할 수 있고, 응고기전에 장애가 있는 산모라도 자궁근육이 활발히 수축한다면 출혈은 많지 않다"" 자궁이완(Uterine atony, 자궁무력증)이란, 자궁근의 긴장이 부족한 것을 말하며, 이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자궁의 과다 팽대, 얇은 자궁 근육, 자궁 근육의 피로, 체질, 급속 분만, 전신 마취, 자궁 감염 등이 있다""
1.4. 증상과 징후
산후출혈 환자의 주관적 증상으로는 다량의 출혈과 혈괴 배출로 인한 저혈량성 쇼크 증상이 나타난다"" 산모가 느끼는 첫 증상으로는 오심, 현기증, 두통, 발한, 혼돈, 심계항진 등이 있다"" 객관적 증상으로는 자궁저부가 부드럽고 물렁물렁한 것이 관찰되며, 검붉은 색의 질출혈과...
참고 자료
정문숙 외. 여성건강간호학. 서울 : 정담미디어. 2005
김기운, 이지숙, 이정아. Practical Emergency Medicine. 군자출판사. 2009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2006), 『여성건강간호학1』,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2010), 『여성건강간호학2』, 수문사
“간단한 자가검진”,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https://www.dcmc.co.kr/content/05info/06_01.asp?sh_d_body_self=%EC%83%9D%EC%8B%9D%EA%B8%B0%EA%B4%80&sh_d_num=3891, 2022.05.28.).
“일반혈액 검사”, 서울아산병원, (https://amc.seoul.kr/asan/depts/amccp/K/bbsDetail.do?menuId=495&contentId=111093, 2022.05.28.).
“잔류태반”, 삼성서울병원,(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bv/disease/info/view.do?CONT_ID=2814&CONT_SRC_ID=09a4727a8000f31e&CONT_SRC=CMS&CONT_CLS_CD=001020001, 2022.05.28.).
정향미 외,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파주:수문사, 2020.
최연순, 『여성건강간호학1』, 파주:수문사, 2020.
“회음 열상”, 서울아산병원,(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0&diseaseKindId=C000012, 2022.05.28.).
여성건강간호학Ⅱ 제4판, 박영주 외 공저, 현문사, 2017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제3판, 대한산부인과학회, 군자출판사
산과학 제5판, 대한산부인과학회, 2015, 군자출판사
산후출혈의 처치(Management of Postpartum Hemorrhage), 김암, 울산의대산부인과, 2007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대한산부인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