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책 소개
1.1. 저자 소개
마이클 샌델은 미국의 정치 철학자이자 교수로, "정의란 무엇인가?"로 한국에 큰 영향을 미친 저자이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정치 철학을 가르치며, 현대 사회의 핵심 쟁점들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시도해왔다. 특히 그의 저서 "공정하다는 착각"은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는데, 이 책에서 그는 현대 사회에서 능력주의가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으며 오히려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공정성의 개념이 복잡하고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우리가 간과하고 넘어가는 요인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 마이클 샌델은 능력주의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보다 공정한 사회를 향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책의 주요 주장
저자 마이클 샌델은 능력주의 접근 방식이 공정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실패하고 사회적 불평등과 불만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능력주의는 개인적 업적만으로 사람을 평가하며, 이로 인해 소외된 이들이나 불리한 환경에서 태어난 이들은 자신들의 가치를 의심하게 된다. 그러나 저자는 모든 인간이 동등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저자는 능력주의가 성공에 대한 빚진 느낌이나 감사의 마음을 가질 까닭이 줄어들게 하여 승자의 오만함과 패자의 굴욕감을 발생시킨다고 비판한다"".
2. 공정성에 대한 비판
2.1. 능력주의의 한계
능력주의의 한계란, 개인의 재능과 노력만으로는 사회적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첫째, 기회의 공평성이 확보되지 않아 개인이 처한 환경적 여건에 따라 성과의 격차가 발생한다. 가정환경이나 학업 여건이 좋은 이들이 불리한 환경에 놓인 이들에 비해 유리한 입장에 서게 된다는 점이다. 특히 교육 기회의 불평등은 이러한 문제를 더욱 가중시키는데, 상위권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기회가 특정 계층에 집중되면서 사회적 지위 또한 세습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둘째, 개인의 선천적 재능이나 타고난 능력에 따른 성과의 격차가 발생한다. 모두가 평등한 환경에서 출발한다 하더라도 각자의 지적 능력이나 신체적 자질의 차이로 인해 성과의 차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는 개인의 노력만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셋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