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자궁탈출증과 질식 자궁절제술의 개요
자궁탈출증은 자궁이 하강되어 자궁경부가 질 입구로 내려온 상태를 말한다. 자궁이 정상 위치에서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자궁의 일부 혹은 전체가 질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다. 이는 자궁을 지지해 주는 인대의 손상 혹은 늘어짐, 골반 지지구조물의 약화로 인해 발생한다.
자궁탈출증의 주요 원인은 고령의 여성, 폐경이후의 여성, 자연분만을 많이 한 경우나 진통시간이 길었거나 난산을 겪었던 경우, 평소에 무거운 물건이나 오래 서있거나 장시간 쪼그려서 생활하는 등 복압을 증가시키는 일을 겪었거나 과거 골반장기 탈출증을 앓았던 경우이다.
자궁탈출증의 흔한 증상으로는 경미한 압박감, 질을 통한 생식기 하수감, 경한 요통, 하복부의 중압감 등이 있으며, 이는 자궁인대에 가해지는 견인과 정맥울혈로 인해 나타난다.
치료방법으로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방법이 있다. 비수술적 치료로는 골반저근육운동과 같은 물리요법과 페서리 삽입 등이 있다. 수술적 방법으로는 질식 자궁절제술과 함께 전질벽 혹은 후질벽 협축술을 시행한다. 증상이 없는 탈출증은 치료를 할 필요가 없다.
질식 자궁절제술은 질구를 통해 자궁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질구가 너무 좁거나 자궁이 종양으로 커져 있거나 난소의 병변이 있을 때는 적용하지 않으며, 복식 자궁절제술보다 시간이 덜 걸리고 조직 손상을 적게 주며 빨리 이상할 수 있고, 수술 후 불편감과 출혈이 적다. 자궁탈출증, 질이완, 직장탈, 탈장 등의 질환에 적용 가능하다.
1.2. 생식기 건강문제를 가진 여성의 간호과정 필요성
생식기 건강문제를 가진 여성의 간호과정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생식기 건강문제를 가진 여성들은 단순히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인 문제까지 경험하게 된다. 자궁탈출증이나 자궁근종과 같은 생식기 질환은 배뇨 곤란, 성교통 등의 증상을 유발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여성으로서의 정체성 및 역할에 혼란을 겪을 수 있어 심리적 고통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생식기 건강문제는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생식기 건강문제를 가진 여성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요구를 사정하고 그에 맞는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우선 질병의 특성, 증상, 치료과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의 이해를 높이고 불안을 감소시켜야 한다. 또한 수술 전후 간호, 배변 및 배뇨 관리, 통증 관리 등 신체적 중재를 실시하여 회복을 도와야 한다.
더불어 여성성과 자아존중감 유지, 가족 및 사회적 지지 확보 등 심리사회적 간호중재를 병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생식기 건강문제를 가진 여성의 전인적인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생식기 건강문제를 가진 여성의 간호과정은 신체적, 심리사회적 요구를 사정하고 통합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2. 본론
2.1. 자궁탈출증(Uterine Prolapse)
2.1.1. 정의
자궁탈출증(Uterine Prolapse)이란 자궁이 하강되어 자궁경부가 질 입구로 내려온 상태로 힘을 주고 있을 때 자궁경부가 처녀막링(hymenal ring)에서 2cm 아래로 나온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자궁이 자궁이 정상 위치에서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자궁의 일부 혹은 전체가 질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으며 직장류, 방광류, 탈장 등 다른 골반장기탈출증이 동반될 수 있다.
2.1.2. 원인
자궁탈출증(Uterine Prolapse)의 원인은 자궁을 지지해 주는 인대의 손상 혹은 늘어짐, 골반 지지구조물의 약화로 인하여 발생한다. 고령의 여성, 폐경이후의 여성, 자연분만을 많이 한 경우나 진통시간이 길었거나 난산을 겪었던 경우 또한 평소에 무거운 물건이나 오래 서있거나 장시간 쪼그려서 생활하는 등 복압을 증가시키는 일을 겪었거나 과거 골반장기 탈출증을 앓았던 경우에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자궁을 지지해주는 인대의 손상이나 늘어짐, 골반 지지구조물의 약화가 주요 원인이 되며, 복압을 증가시키는 생활습관과 과거 질병력이 이러한 원인들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2.1.3. 증상 및 진단
자궁탈출증(Uterine Prolapse)의 증상 및 진단은 다음과 같다.
자궁탈출증의 증상은 자궁전위의 형태와 사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경미한 압박감, 질을 통한 생식기 하수감, 경한 요통, 하복부의 중압감 등이 있다. 이는 자궁인대에 가해지는 견인과 정맥울혈로 인하여 나타나며 증상은 아침보다는 오후에 더 심해진다. 자궁탈출증 환자의 경우 요도가 꺾이면서 요실금 증상이 나타나거나 소변을 못 보는 경우도 있다.
진단은 내진을 통해 탈출된 장기와 결손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요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배뇨 후 잔뇨량을 측정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자궁탈출증의 정도와 관련 증상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2.1.4. 치료
자궁탈출증(Uterine Prolapse)의 치료는 다음과 같다.
비수술적 치료로는 골반저근육운동과 같은 물리요법과 페서리 삽입 등이 있다. 페서리(pessary)는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