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조정 및 협력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팀의 이해
1.1. 보건의료팀 구성원 및 역할
1.1.1. 간호사
1.1.2. 의사
1.1.3. 약사
1.1.4. 물리치료사
1.1.5. 영양사
1.1.6. 임상병리사
1.1.7. 방사선사
1.1.8. 간호조무사
1.2. 보건의료팀 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
2. 보건의료팀 업무 협력 사례
2.1. 지역사회 의료기관의 보건의료팀 협력 사례
2.2. 요양병원의 보건의료팀 협력 사례
3. 보건의료팀 내 협력 및 업무 조정의 문제와 해결방안
3.1.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의 갈등 사례
3.1.1. 문제상황 분석
3.1.2. 의사소통 방안
3.1.3. 갈등관리 방안
3.2. 보건의료팀 업무 협력 시 고려사항
4. 노인 간호 현장의 보건의료팀 협력
4.1. 노인 간호 현장의 협력 사례
4.2. 협력 미흡 시 발생 문제와 원인 분석
4.3. 협력 증진을 위한 방안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팀의 이해
1.1. 보건의료팀 구성원 및 역할
1.1.1. 간호사
간호사는 의료법 제2조에서 규정한 바와 같이 환자의 간호 요구에 대한 관찰, 자료수집, 간호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를 수행한다. 또한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의 지도하에 시행하는 진료의 보조 업무와 간호 요구자에 대한 상담, 교육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의 기획과 수행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지역사회 간호사의 경우 일차의료제공자, 직접간호제공자, 교육자, 대변자와 옹호자, 상담자, 연구자, 관리자, 의뢰자, 알선자, 변화촉진자, 협력자, 정보수집자, 보존자, 조정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간호사는 의료법에 규정된 여러 가지 업무를 통해 환자의 건강증진과 질병관리를 담당하는 보건의료팀의 핵심 구성원이라고 할 수 있다."
1.1.2. 의사
의사는 청진기 등 간단한 의료기구를 사용하여 환자를 진찰하며, 환자의 증상에 따라 다양한 검사와 진단을 통해 치료방법과 순서를 결정한다. 또한 환자의 진단을 위해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등 의료기사에게 임상검사와 X-ray 검사 등을 지시하고,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진단하며 치료법과 약물 등을 처방한다. 그리고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병원이나 진료소에 직접 나오지 못하는 환자를 위해 왕진도 한다. 이처럼 의사는 환자의 진찰, 검사, 진단, 치료 및 예방 등 다양한 의료 업무를 수행하며, 보건의료팀 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1.1.3. 약사
약사는 의사의 처방전으로 지시된 약을 조제한다. 또한 환자에게 조제된 약에 대한 복용방법, 부작용 및 보관 주의사항 등에 대해 설명한다.
약사는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의 적절성, 부작용 및 상호작용 가능성 등을 검토하고, 환자에게 약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복합적인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 환자의 경우, 약물 부작용과 상호작용의 위험이 높으므로 약사의 약물관리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약사는 보건의료팀 내에서 약물전문가로서 의사와 협력하여 환자의 약물치료를 관리한다.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약물을 조제하고 투약하는 과정에서 약물상호작용이나 부작용 등을 모니터링하여 환자의 안전한 약물치료를 돕는다. 또한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가 약물을 올바르게 복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약사는 보건의료팀 내에서 전문적인 약물 지식을 바탕으로 의사, 간호사 등 다른 의료진들과 협력하여 환자의 치료 효과를 높이고 약물 관련 부작용을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1.1.4. 물리치료사
물리치료사는 의사의 진단, 처방에 따라 환자에게 알맞는 운동, 열, 광선, 전기 등의 물리적 방법을 적용하여 신체기능 장애, 통증완화, 회복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근골격계, 신경계, 피부계 등의 검사를 실시하고 치료적 운동, 도수치료, 보조 및 보호기구와 장비의 사용, 물리적인 전기치료기구의 사용 등을 통해 신체기능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환자의 상태나 신체적인 기능을 평가하고 의사와 치료방향에 대해 협의하여 최선의 치료법을 결정한다. 이처럼 물리치료사는 의사의 치료계획에 따라 환자의 신체기능 회복과 장애 개선을 위한 전문적인 물리적 치료를 제공함으로써 보건의료팀의 일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1.5. 영양사
영양사는 건강증진과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개인 또는 단체에 균형 잡힌 음식물을 공급하기 위해 식단을 계획하고 조리 및 공급을 한다. 병원이나 요양기관, 학교, 산업체 등 다양한 상황에서 영양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영양사는 환자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식단을 제공하여 질병 치료와 회복을 지원한다. 특히 당뇨, 고혈압, 신장질환 등의 만성질환자나 노인 환자의 영양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양사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환자의 필요열량, 영양소 요구량을 고려하여 균형 잡힌 식단을 계획하고, 조리하여 제공한다. 또한 환자의 선호도와 식이제한을 고려하여 환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식단을 구성한다.
뿐만 아니라 영양사는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질병 관리와 예방에 도움이 되는 영양교육을 실시한다. 영양 관리에 대한 상담과 교육을 통해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환자의 질병 예방 및 재발 방지에 기여한다.
영양사는 보건의료팀의 일원으로서 의사, 간호사, 약사 등 다른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환자 중심의 통합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환자의 영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다른 직종의 의견...
참고 자료
국가법령정보센터, 의료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D%98%EB%A3%8C%EB%B2%95/%EC%A0%9C2%EC%A1%B0
워크넷, https://www.work.go.kr/jobMain.do
이재혁, 2022.06.,“지역사회 돌봄, 보건의료‧사회복지 전문가가 동시에 케어플랜 설계해야”, 메디컬투데이,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85713067099,2023.3.11.
신미자 외, 2022, 간호관리학, 수문사, p.508~515
이미지, 이윤미, 신소영 and 조정현. (2022). 국내 보건의료 전문가의 협력적 실무 경험. 중환자간호학회지, 15(1), 47-57.
정면숙 외(2018). 간호학개론 (제3판). 현문사. p140-141. 270-271
장금성 외(2017).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제3판 수정판). p187-189
장금성 외(2020). 최신 간호관리학(제5판). 현문사. p482-500, 533-535
오영제. (2022.04.28.). 제주대병원, 영유아 사망사고 발생..."'투약 오류' 유족께 죄송". 헤드라인 제주.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3957
전명훈, 영양제 맞으려던 임신부 낙태수술 산부인과 의사 경찰수사, 베트남 여성에 본인확인 없이 마취한 뒤 수술, 데일리메디.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ca_id=2202&wr_id=847653
손은선 ,김아영 ,이영옥 ,김재송 ,송효숙 ,김성은 ,이아연 ,석현주 ,황계자 ,and 박순배 . "주사제 관련 투약 오류 및 고찰 ." 병원약사회지 20.2 (2003): 1-10.
이은경. "투약 교육프로그램이 투약간호, 투약오류 및 투약지식에 미치는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원, 2006. 인천
김순옥, 나은선, 박현순, 신은영, 황은희(2022). 노인간호학. 서울: 신광출판사.
신미자, 김성진, 김지미, 김현경, 남정자, 이종율, 전민경, 황혜영 외(222). 간호관리학. 파주: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