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부정맥 활동지속성장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부정맥의 종류와 특징
1.1. 부정맥의 종류
1.2. Paroxysmal ventricular tachycardia의 특징
2. 처방된 약물의 투여 목적과 기전
2.1. Verapamil
2.2. Cordarone
2.3. Coumadin
3. Cardioversion
3.1. 정의 및 목적
3.2. 시술 전후 간호
4. 간호진단
4.1. 심박출량 감소와 관련된 간호진단
4.2. 활동지속성장애와 관련된 간호진단
5. 간호중재
5.1. 심박출량 감소의 위험 관리
5.2. 활동지속성장애 관리
5.3. 불안 관리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부정맥의 종류와 특징
1.1. 부정맥의 종류
부정맥의 종류에는 3가지가 있다. 맥박수가 100회 이상으로 지나치게 빠른 것을 빈맥, 맥박수가 60회 이하로 느린 것을 서맥, 맥박수는 분당 60-100번으로 정상이지만 불규칙하게 뛰는 불규칙 맥이 있다""
1.2. Paroxysmal ventricular tachycardia의 특징
Paroxysmal ventricular tachycardia는 심전도 상 전향성 우회로의 전도에 따른 심실조기흥분과 정상 방실결절을 경유한 전도가 fusion되어 delta파형으로 나타나며, 0.12초 미만의 short PR간격을 보인다. 즉, 심전도에서 심방세동 전환 전에 관찰되는 빈맥의 형태이다. 이는 불규칙적으로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빠른 심실박동으로, 심실근의 비정상적인 흥분전파에 의해 일어나는 부정맥의 일종이다. 정상 동방결절의 흥분이 방실결절을 통해 전도되는 과정에서 우회로가 발견되어 이 우회로를 통해 조기 흥분이 일어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심전도 상 QRS파가 좁고 짧은 간격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일반적인 심실빈맥과는 구분된다.
2. 처방된 약물의 투여 목적과 기전
2.1. Verapamil
Verapamil은 심방세동을 동성리듬으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심실박동수를 조절하는 약물이다. 칼슘채널 차단제인 Verapamil은 혈관과 심장근육이 수축하는 데 필요한 칼슘의 이동을 막아주어 혈관을 확장시키고 심장박동 속도와 심장박동력을 줄여준다.
구체적으로 Verapamil은 심방세동 환자에서 심실 박동수를 조절하여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심방세동 시 심실은 불규칙하게 빠르게 수축하게 되어 심박출량이 감소하고 심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Verapamil은 이러한 심실 빈맥을 억제하여 심박출량을 개선시켜 심부전의 악화를 예방한다.
또한 Verapamil은 부정맥 치료에 있어 amiodarone과 더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다. Verapamil은 부정맥의 재발 방지와 증상 완화, 위험 감소에 효과적이며, 특히 상심실성 빈맥 환자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약물이다.
한편 Verapamil은 부작용으로 서맥, 저혈압, 심부전 악화, 심장블록 등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심부전 환자에서는 심박출량 감소 등으로 인해 Verapamil 투여 시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Verapamil 투여 시에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부작용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2.2. Cordarone
Cordarone(코다론정)은 심방성부정맥, 심실성부정맥, 기타 다른 부정맥용제로 치료되지 않는 재발성중증부정맥 또는 협심증 등 기초심질환을 수반하는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다.
Cordarone은 부정맥 치료제로 Class III 칼륨채널 차단제에 속한다. 부정맥의 발생을 억제하고 정상적인 심장박동으로 전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심방세동, 심실빈맥, 상심실성 빈맥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부정맥 치료에 사용된다. 특히 다른 부정맥 치료제로 조절되지 않는 중증 재발성 부정맥이나 협심증을 동반한 부정맥 환자에게 처방된다.
Cordarone의 주요 작용기전은 심장 내 이온 채널을 차단하여 심근세포의 재분극과 탈분극을 지연시켜 불규칙한 심박동을 정상화시키는 것이다. 심실의 불응기를 연장시켜 심실부정맥을 억제하고, 방실전도를 지연시켜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 환자에서 심실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교감신경 활성을 억제하여 심장의 자동능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Cordarone은 주로 경구 투여로 사용되지만 급성기에는 정맥 주사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 시 천천히...
참고 자료
온라인의약도서관 의약품 안전정보 http://drug.mfds.go.kr/html/index.js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박은영(2016)
성인간호학Ⅰ 정담미디어 이영휘(2017) 1039쪽
성인간호학 제7판. 2019년,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 영. 박효미. 박영례. 엄미란, 현문사
Jobst, S., Leppla, L., & Köberich, S. (2020). A self-management support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Pilot and feasibility studies, 6(1), 1-18.
김군순, 성인간호학1, 수문사(2017) P.784-803 P.697-854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심방세동” http://www.snuh.org/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mw.go.kr/Main.do
약물 검색 : http://terms.naver.com/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