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세균성 수막염의 정의
세균성 수막염은 뇌막의 염증인 수막염으로,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바이러스성 수막염보다 더 심각하고 때로는 치명적일 수 있다. 신생아와 영아는 세균성 수막염의 위험이 가장 크며, 이들이 수막염에 걸리면 급성 합병증과 장기적인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다.
1.2. 세균성 수막염의 원인과 병태생리
세균성 수막염의 원인과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세균성 수막염은 중이염, 부비동염, 인두염, 봉와직염, 폐렴, 폐혈성 관절염과 같은 다른 감염, 뇌 외상, 신경수술로 인해 이차적으로 생길 수 있다. 특히 Neisseria meningitis와 Streptococcus pneumoniae가 주로 아동의 수막염을 유발한다. 그 외에도 면역억제, 뇌실 복강내 단락술, 와우관 이식 등이 수막염의 위험인자로 작용하며, 결핵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다행히 여러 종류의 예방접종으로 인해 수막염의 발생률이 감소되었다.
수막염은 뇌막의 염증으로, 세균 또는 바이러스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세균성 수막염은 바이러스성 수막염보다 더 심각하고 경우에 따라 치명적이다. 특히 신생아와 영아는 세균성 수막염의 위험이 가장 크다. 수막염이 걸린 영아와 아동은 급성 합병증과 장기간 이환 상태가 될 수 있다.
2. 세균성 수막염의 임상증상
2.1. 연령별 임상증상
세균성 수막염은 생후 3개월 이하, 3개월~2세, 3세 이상의 연령에 따라 다양한 임상증상을 나타낸다.
생후 3개월 이하의 영아의 경우 "비특이적 증상과 특이적 증상"이 나타나는데, 무기력함, 신경질, 민감함, 안절부절못함과 같은 행동 변화와 발열, 저체온증, 수유 거부 등의 증상이 관찰된다.""
3개월~2세 사이의 유아는 "발열, 구토, 불안정"한 증상이 나타나며, "경부 강직, 천문 팽창"과 같은 뇌막 자극 증상이 나타난다.""
3세 이상의 아동은 초기에 "경련, 두통, 구토, 흥분, 불안정함"이 관찰되고, "반궁긴장(opisthotonic) 자세, 브루진스키, 케르니그 징후"와 같은 신체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두통, 근육통, 관절통, 권태감"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2.2. 신경학적 증상
세균성 수막염 환아의 신경학적 증상에는 두통, 뇌압 상승, 경부강직, Kernig 징후, Brudzinski 징후 등이 있다." 영아의 경우 각성상태 저하, 안절부절함, 민감함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큰 아동은 의식변화, 근육통, 관절통 등을 호소한다. 특히 수막구균 수막염은 점상 출혈성 발진이 자반증이나 괴사성 반점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러한 신경학적 증상은 뇌 조직의 염증과 부종으로 인한 두개내압 상승에 기인한다. 따라서 신속한 항생제 치료와 함께 두개내압 조절, 뇌부종 관리 등의 보존적 치료가 중요하다.
3. 세균성 수막염의 진단과 치료
3.1. 진단적 검사
진단적 검사는 세균성 수막염을 확진하고 원인균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균성 수막염의 진단은 과거력, 임상증상, 검사실 검사 소견에 기초한다. 우선 전혈구계산(CBC)을 시행하여 백혈구 수치를 확인하며, 세균 감염을 시사하는 백혈구 증가증이 관찰된다. 또한 혈액 배양 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확인한다. 요추천자를 시행하여 뇌척수액(CSF) 검사를 실시하는데, CSF 내 백혈구 수치 증가, 단백질 증가, gluc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