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학실습 QI 활동 보고서: 욕창 예방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주제 선정의 이유
1.2.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2. 본론
2.1. 문헌고찰
2.2. 주제에 대한 이론적 내용
2.2.1. 문제의 개요
2.2.2. 자료의 수집
2.2.3. 자료 분석 도구를 이용한 분석내용
2.2.4. 질향상 활동계획(QI)
3. 중환자실 입실 환자 욕창 예방간호를 통한 욕창 발생률 감소
3.1. 주제선정 배경 및 목표
3.2. 핵심 지표
3.3. 팀 구성 및 회의
3.4. 자료수집 및 분석
3.5. 개선활동 및 개혁
3.6. 결과 분석
3.7. 총평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 선정의 이유
욕창은 신체 한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으로 순환장애가 일어나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욕창은 일반병실보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에게 자주 발생한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대부분 의식수준의 저하, 사지마비, 인공호흡기 사용 등으로 기동력이 저하되어 있으며 대소변, 실금, 능동적인 체위변경의 어려움, 영양상태 불량 등으로 욕창 위험요인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 욕창은 환자에게 고통과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욕창치료로 인해 재원일수가 길어지고 합병증 발생이 증가하며, 심한 경우 사망까지 초래한다. 따라서 보고서 작성의 필요성을 느낀다.
1.2.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욕창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병실보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에게 욕창이 더 자주 발생한다. 이는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이 의식 저하, 사지마비, 인공호흡기 사용 등으로 기동력이 저하되어 욕창 위험요인에 많이 노출되기 때문이다.
욕창은 환자에게 고통과 불편감을 주며, 치료로 인해 재원일수가 늘어나고 합병증이 증가할 수 있다.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입실 환자를 대상으로 욕창 예방간호를 실시하여 욕창 발생률을 감소시키고자 함이다. 구체적으로 중환자실 내 욕창발생 보고율을 0.4% 이하로 낮추고, 중환자실 간호사의 욕창간호 지식평가 점수를 80% 이상, 욕창간호 수행평가 점수를 평균 40점 이상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본론
2.1. 문헌고찰
욕창은 신체 한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으로 순환장애가 일어나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욕창은 일반병실보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에게 자주 발생한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대부분 의식수준의 저하, 사지마비, 인공호흡기 사용 등으로 기동력이 저하 되어 있으며 대소변, 실금, 능동적인 체위변경의 어려움, 영양상태 불량 등으로 욕창 위험요인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 욕창은 환자에게 고통과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욕창치료로 인해 재원일수가 길어지고 합병증 발생이 증가하며, 심한 경우 사망까지 초래한다.
욕창의 발생은 주로 압력, 비틀림력, 마찰력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신체 일부에 정상 혈액 순환보다 높은 압력이 장시간 지속적으로 가해질 경우 발생한다. 또한 피부습기, 신경손상, 체온상승, 영양불량, 흡연, 혈액순환 장애 등 다양한 요인들이 욕창 발생의 위험을 높인다. 욕창은 피부표면에서 심부로 손상이 진행되어 가는 형태와 심부조직이 먼저 손상되어 피부표면으로 드러나는 형태로 구분된다. 욕창은 주로 천골, 미골, 좌골결절, 대전자, 발꿈치 등과 같이 뼈가 돌출된 부위에서 호발하며, 골반부위 특히 꼬리뼈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중환자들의 경우 의식수준의 저하, 부동, 영양상태 불량 등의 요인으로 인해 욕창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30~50%에서 욕창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외의 경우 12...
참고 자료
강민지(2019), 욕창이 재원일수, 의료비용 및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조보경(2019), 병원 입원환자의 욕창 영향 요인, 한림대학교 간호대학원
현명선(2017), 중환자실 간호사의 욕창간호에 대한 지식과 중요도 인식 및 수행 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관리학 임상실습 지침서, 이종률외 1명, 청운출판사 (2018)
기본간호학, 장성옥 외 4명, 군자출판사 (2015)
간호관리학, 임영희 저, 수문사 (2017)
병원간호사회 www.khna.or.kr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www.hira.or.kr, 욕창발생 감소를 위한 적용방안 (2013)
Compton et al., 2008; Suridi, Sandara, Sugama, Thigpen, & Subuh, 2008.
Lahmann, Kottner, Dassene, & Tannen, 2011.
양영희, 김원숙, 1988; 이종경, 2003; Akbari Arab, Rashidian, & Golestan,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