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한 폐 발달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미숙한 폐 발달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생아 괴사성 장염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1.1. 간호문제 목록 및 간호진단
1.2. 간호계획기록지
1.3. 진행기록지

2. 간호사례보고서
2.1. 간호 정보
2.2. 고위험 신생아의 신체사정
2.3. 환아의 건강문제
2.4. 치료
2.5. 특수치료방법의 사용
2.6. 진단검사

3. 미숙아
3.1. 정의
3.2. 증상
3.3. 원인
3.4. 진단
3.5. 간호중재
3.6. 합병증
3.7. 간호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생아 괴사성 장염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1.1. 간호문제 목록 및 간호진단

간호문제 목록과 간호진단은 다음과 같다.

간호문제 목록에는 저체온, 설사로 인한 피부 발진, 비효율적 호흡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문제는 저체온, 비효율적 호흡, 설사로 인한 피부 발진 순으로 나타난다.

간호진단으로는 체온조절기능의 미숙과 관련된 저체온, 미성숙한 폐의 발달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이 제시되어 있다.

체온조절기능의 미숙과 관련된 저체온은 영역11. 안전/보호, 분류6. 체온조절, 204. 저체온으로 분류되며, 미성숙한 폐의 발달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은 영역4. 활동/휴식, 분류4. 심혈관/호흡기계 반응, 60. 비효율적 호흡양상으로 분류된다.


1.2. 간호계획기록지

'1.2. 간호계획기록지'에는 간호진단별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중재와 그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기술되어 있다.

첫 번째 간호진단은 "체온조절기능의 미숙과 관련된 저체온"이다. 이에 따른 간호목표는 첫째, 대상자가 24시간 이내에 36.5℃ 이상의 정상 체온을 회복하고, 둘째, 대상자가 퇴원 시까지 저체온증을 보이지 않으며, 셋째, 대상자가 36.5~37.5℃의 정상체온을 유지하는 것이다.

간호계획은 ①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2시간마다 측정하여 건강상태 변화를 파악하고, ② 열 소실 방지를 위해 인큐베이터 내부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며, ③ 정맥 주사 수액을 가온하여 공급하고, ④ 대상자에게 모자와 따뜻한 담요를 적용하여 보온을 유지한다. 또한 ⑤ 보호자에게 미숙아의 체온조절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이러한 간호계획은 미숙아의 체온조절 중추가 미성숙하여 주위 환경 온도에 민감한 특성, 수액의 낮은 온도가 저체온증 유발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점, 그리고 신생아가 주로 머리를 통해 열을 소실한다는 이론적 근거에 기반한다.

두 번째 간호진단은 "미성숙한 폐의 발달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이다. 이에 따른 간호목표는 첫째, 대상자가 24시간 이내에 95% 이상의 정상 산소포화도 수치를 회복하고, 둘째, 대상자가 퇴원 시까지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하며, 셋째, 대상자가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하며 청색증이 관찰되지 않는 것이다.

간호계획은 ①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2시간마다 측정하여 호흡양상 변화를 파악하고, ② 호흡양상과 가래 유무를 사정하며, ③ 처방에 따라 산소를 투여하고, ④ 보호자에게 저산소증의 증상에 대해 교육하며, ⑤ 보호자에게 가정용 산소장비의 사용 방법과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이러한 간호계획은 활력징후가 대상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평가하는 기본적인 지표라는 점, 가래 유무에 따라 호흡양상 변화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 적절한 농도의 산소 공급이 저산소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 저산소증의 증상에 대한 이해와 가정용 산소장비 사용법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 등의 이론적 근거에 기반한다.


1.3. 진행기록지

'1.3. 진행기록지'에 따르면 간호사는 신생아의 저체온, 비효율적 호흡양상, 설사로 인한 피부 발진 등의 간호문제를 확인하고 관리하였다"" 먼저 신생아의 체온을 2시간마다 측정하고, 저체온 예방을 위해 인큐베이터 온도와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였다. 또한 수액을 가온하여 공급하고 따뜻한 모자와 담요를 적용하는 등의 간호중재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신생아의 호흡양상을 관찰하고, 산소요법과 무호흡 치료제를 투여하여 정상적인 호흡을 유도하였다"" 특히 기도 개방성을 유지하고자 신체 체위를 조정하였으며, 흡인을 통해 기도 내 분비물을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생아의 기저귀 발진 관리를 위해 보소미 연고 도포, 규칙적인 기저귀 교환, 위생관리 등을 시행하였다"" 또한 광선요법으로 인한 피부 건조를 예방하고자 로션을 도포하고, 압박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줄이기 위해 체위 변경과 폼 매트리스 사용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다""

종합적으로 간호사는 신생아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사정하고, 체계적인 간호계획에 따라 중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신생아의 체온과 호흡기능, 피부 상태 등을 안정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고 볼 수 있다""


2. 간호사례보고서
2.1. 간호 정보

환아의 정보를 살펴보면, 신생아 이름은 양**아기이며 성별은 여자입니다. 출생일은 2023년 11월 14일로 재태기간은 34주 4일이었습니다. 출생 시 체중은 2280g이었고, 출생 후 1분 및 5분 Apgar 점수는 각각 8점과 9점이었습니다. 수유 형태는 미숙아 분유 수유였습니다. 의학적 진단명은 other apnea of prematurity였습니다.

어머니는 31세이며, 아버지는 32세입니다. 어머니의 임신 횟수는 1회, 분만 횟수는 1회였으며 분만 방식은 질식 분만이었습니다. 임신 및 분만 중 합병증으로 조기 양막 파수(5시간 전)가 있었습니다.

환아는 미숙아로, 투명한 피부, 솜털이 별로 없으며 생식기가 미성숙한 외형적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뇌의 자율 조절 기전이 미비하여 허혈 상태에서도 뇌혈류가 성인과 같이 유지되지 못하고 전신 혈압 변동에 따라 변화합니다. 또한 뇌 세포가 완전히 성숙되지 않아 취약한 세포를 중심으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측뇌실 부위의 혈관 발달이 미비하여 뇌출혈과 허혈성 뇌 손상이 쉽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폐는 출생 초기에 폐표면활성제 부족으로 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미숙아...


참고 자료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p.390~392
원종순 회,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p.103~111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Ⅰ 제4판, 222~256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괴사성 장염 https://www.amc.seoul.kr/asan/depts/neo/K/bbsDetail.do?menuId=1758&contentId=105811
서울삼성병원, 신생아 괴사성 장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bv/disease/info/view.do?CONT_ID=2743&CONT_SRC_ID=09a4727a8000f299&CONT_SRC=CMS&CONT_CLS_CD=001020001
박호란 외.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상,하. 현문사
이은희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2021)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9)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 미숙아
Del’Angelo, N., de Góes, F. dos S. N., Dalri, M. C. B., Leite, A. M., Furtado, M. C. de C., & Scochi, C. G. S. (2010). Nursing diagnoses of premature infant under intermediary care. 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 63(5), 755–761. https://doi.org/dx.doi.org/S0034-71672010000500010 * 외국 논문 및 외국 사이트는 번역기 돌려서 참고했습니다.
김남영, 성태정, 신선희, 김성구, 이건희 and 윤혜선. (2005).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인공 환기요법 관련 폐렴의 임상양상과 기관내 삽관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12(1), 67-74.
최영륜. (2008). 의학강좌/미숙아 및 저체중 출생아의 관리. 대한의사협회지, 51(8), 745-754.
김기은(2012). 모아애착 증진을 위한 고위험신생아 퇴원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남 and 심은정. (2013).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에서 Curosurf®와 Surfacten®의 치료 효과 비교. Neonatal medicine, 20(2), 207-213.
성태정 ( Tae Jung Sung ). 2014. 종설 : 신생아 호흡 곤란증 치료의 최신지견. PERINATOLOGY (구 대한주산의학회잡지), 25(2) : 61-6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