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례를 통해서 배우는 갈등 해결의 지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갈등 사례와 해결 방안
1.1. 태풍 '차바'로 인한 정부와 주민의 갈등
1.1.1. 태풍 차바의 발생과 피해
1.1.2. 중구청과 주민들의 주장
1.1.3. 양자 간 갈등의 심화
1.1.4. 정부의 대응과 앞으로 해나가야 할 과제
1.2. 간호학 개론 수업 토론 발표 갈등
1.2.1. 갈등 사례
1.2.2. 갈등의 핵심적인 해결 방안
1.3. 학과 행사 기획 의견 충돌 갈등
1.3.1. 갈등 사례
1.3.2. 갈등의 핵심적인 해결 방안
1.4. 호흡기 감염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갈등
1.4.1. 갈등 사례
1.4.2. 갈등의 핵심적인 해결 방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갈등 사례와 해결 방안
1.1. 태풍 '차바'로 인한 정부와 주민의 갈등
1.1.1. 태풍 차바의 발생과 피해
2016년 9월 28일 오전 3시, 제 18호 태풍 차바가 모습을 드러냈다. 일본 삿포로 남남동쪽 약 110km 부근 해상에서 올라온 태풍 차바는 10월 5일 오전부터 한반도의 태풍 영향권에 들었고, 이는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많은 비바람을 동반해 피해를 주었다. 이는 10월에 한국에 영향을 미친 태풍들 중 가장 강력하다고 전하기도 할 만큼 그 위력이 엄청났다. 그 중에서도 오전 10시 경에는 울산과 부산 쪽으로 수해가 집중되었다. 그 중에서도 울산광역시는 가장 피해가 심한 지역이었다. 울산의 젖줄이라 불리는 태화강에는 홍수경보가 내려졌다. 태화강 일대는 전에 없던 범람으로 인해 인근지역의 주민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실시간으로 전국 뉴스에 전해질 만큼 집과 차들이 물에 떠내려가고, 학교와 공장 등이 물속에 갇혀 고립되기도 하였으며 인명피해가 일어나기도 했다. 물질적, 정신적으로 큰 피해를 입은 곳이 속속들이 발견되었다.
1.1.2. 중구청과 주민들의 주장
태풍 차바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태화시장, 우정시장 부근이다. 하지만 그 외에도 중구 내 태화시장 인근의 학산동, 학성동, 반구1동 등의 일부 주민들도 피해를 보았다. 그 피해의 중점 원인은 태화강 범람으로 인한 피해였다. 특히 일대 주민들은 당시 홍수가 예상되는 상황이었음에도 중구청이 옥성 육갑문을 늦게 닫아 피해가 더욱 커졌다고 주장했다.
육갑문은 울산의 중구와 남구를 사이에 두고 도심을 가로지르는 태화강을 잇는 곳이다. 태화강 둔치에 마련되어진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체육공원 등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방과 강변도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하지만 태화강의 하류 주변은 강 수위보다 낮은 저지대가 대부분이다. 비가 많이 오는 날이거나 강의 수위가 높아지면 태화강 중상류의 댐에서 물이 넘치게 된다. 그렇게 되면 태화강의 수위가 급속히 올라 홍수피해의 우려를 항상 염두하고 신속히 육갑문을 닫아야 한다. 그래야만 태화강물이 도심으로 흘러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구 일대 주민들은 태풍 차바가 울산에 도달했을 때 중구청이 옥성육갑문을 늦게 닫으면서 피해가 더욱 커졌다고 주장했다. 중구 주민들은 이미 전날부터 태화강 만조시간과 집중호우가 겹칠 것이라는 일기예보가 나오는 것을 보았다고 했다. 하지만 중구청이 이에 대처하지 않고 육갑문을 늦게 닫았다며 항의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한 주민은 태화강물이 넘치는 것을 목격한 5일 오전 10시 43분경에 중구청에 전화해 '육갑문을 닫아달라'며 요청했지만 전화 통화를 한 지 1시간이나 지나서야 문이 닫혔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강물이 마을까지 흘러들어와 피해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이에 울산 중구청 측에서는 태풍으로 태화강 수위가 올라가면 육갑문 인근의 학성배수장과 옥교배수장 근무자가 낙동강홍수통제소와 대암댐 등으로부터 수위위험통보를 전달받은 후에 육갑문을 닫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당일 그 시간에 해당 기관으로부터 내용을 전혀 전달받지 못 했다고 했다. 오히려 전달받은 것은 오후 1시였다고 말했다. 오히려 당시 태화강 수위 위험통보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도 근무자가 자체 판단해 오전 11시에서 12시 사이에 육갑문 폐쇄작업을 서둘렀기 때문에 더 큰 침수를 방지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구청 측의 해명에도 학산동 주민들은 중구의회가 나서서 육갑문이 늦게 닫힌 이유와 그로 인...
참고 자료
김도희, 사례를 통해서 배우는 갈등해결의 지혜, 대영문화사, 2020
이삼순, 2020년도 의사소통의 실제, 현문사, 2020
정면숙,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 현문사, 2022
김도희(2020), 사례를 통해서 배우는 갈등해결의 지혜, 대영문화사
이명희. (2014). 간호의 갈등 해결: 이론과 실천. 학지사.
정진호. (2013). 갈등 해결의 전략: 효과적인 갈등 관리를 위한 실용 지침. 학지사.
박미선, 김영미. (2016). 간호대학생의 갈등 경험과 해결 방식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이은정, 정영숙. (2014). 간호사의 갈등 경험과 해결 방식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