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고츠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비고츠키의 생애
3.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교육사상
3.1. 사회문화적 접근
3.2. 근접발달영역과 비계설정
3.3. 내면화
4. 비고츠키 사상의 현대 교육에 대한 시사점
4.1.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
4.2. 교사의 역할
5. 유아교육기관의 비고츠키 이론 활용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불과 37세의 나이에 요절한 레프 비고츠키는 '심리학계의 모차르트'로 불릴만큼 짧은 생애 동안 많은 족적을 남겼다. 특히 비고츠키는 인간의 인지발달이 사회·문화·역사적인 환경에서 학습을 통하여 발달한다는 이론을 정립하였다. 교수-학습과 발달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을 '근접발달영역'이라고 하며 이는 실제적 발달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거리이다. 그가 주창한 근접발달영역은 교수-학습과 발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실제적 발달 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거리이다. 실제적 발달 수준은 '발달과업'에 도달하는데 있어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으로 현재의 정신 기능 발달수준을 말한다. 이러한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접근과 근접발달영역, 내면화 개념에 주목하여 Vygotsky 발달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인터넷으로 방문한 유아교육기관에서 Vygotsky 발달이론의 활용에 대하여 서술해보고자 한다.
2. 비고츠키의 생애
레프 비고츠키는 1896년 북부 백러시아의 오르샤라는 도시에서 태어났다. 은행가인 아버지와 교사 자격증이 있는 어머니 밑에서 팔 형제 중 둘째로 태어난 비고츠키는 매우 영특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러시아의 주요 대학들의 전체 학생 중 유태인에서 3%의 입학단을 허용했던 상황에서 금메달을 따고 모스크바 대학생이 되었다. 이 대학에서 법률을 공부함과 동시에 문학, 철학, 예술, 심리학을 공부하여 1971년 두 대학을 동시에 졸업했다.
1918년 대학을 졸업한 비고츠키는 호멜로 돌아가 교직에 종사하여 학문을 계속하였고, 1924년 다시 모스크바로 가서 본격적인 연구활동을 개시했다. 그는 Kohler, Koffka, Piaget, Gesell, Freud의 이론을 소련에 보급시켰고, 많은 연구들을 통해 마르크스주의 심리학을 창출해내고 신체 장애아나 심리적 문제를 가진 어린이들을 돕고자 했다. 1934년 37세의 짧은 기간 동안 모스크바 심리 연구소에서 교육, 편집 등 기본 업무 뿐 만 아니라 심리학, 교육학 분야의 기관들을 설립하였다.
그러나 그 해 그는 폐결핵의 질병을 얻어 「사고와 언어」라는 책의 원고를 숨을 거두는 순간까지 받아 적게 할 정도로 짧은 인생동안 많은 일을 하였다. 발달심리학 및 인지심리학에 있어 개척자인 비고츠키의 연구는 1936년부터 스탈린의 학문 탄압과 문화 혁명 노선에 따라 기계론의 일종으로 여겨졌다. 이에 따라 그의 저작문은 1956년까지 출판이 금지되었다. 그의 연구는 후학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인해 1960년대 초반부터 다시 기반을 잡게 되었으며, 이후 공산권의 학교교육에 ...
참고 자료
전인옥·이경옥 공저(2020). 유아교육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조형숙·김현주·김명하·김명정 공저(2019). 유아교육개론. 서울: 학지사.
지옥정·김수영·정정희·고미애·조혜진(2018). 유아교육개론. 서울: 창지사.
우리말샘, 비계설정, 네이버국어사전, 2020.11.25,
https://ko.dict.naver.com/#/entry/koko/62902436a7d340c286e71b63d6b63d61
곽금주, 『발달심리학 아동기를 중심으로』, (서울: 학지사, 2016), p. 136.
김애경, “인지발달에 관한 Piaget 이론의 고찰과 Vygotsky 와의 관점에 대한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국제문화학회, 1998), p. 179
강이철, “Vygotsky의 교육관:교사론, 학생론, 방법론” (석사학위논문, 경북대,2005) p.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