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관절질환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관절 관련 질환 및 수술
1.1. 고관절의 해부생리
1.2. 고관절 전치환술(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THRA)
1.2.1. 정의 및 목적
1.2.2. 수술 방법
1.3. 고관절 골절
1.3.1. 고관절 골절의 정의 및 분류
1.3.2. 고관절 골절의 원인
1.3.3. 고관절 골절의 병태생리
1.3.4. 고관절 골절의 증상
1.3.5. 고관절 골절의 검사
1.3.6. 고관절 골절의 치료
1.3.7. 고관절 골절의 합병증 및 예후
1.3.8. 고관절 골절 대상자 간호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관절 관련 질환 및 수술
1.1. 고관절의 해부생리
인체의 관절 중 어깨관절에 이어 두 번째로 운동 범위가 크며 무릎관절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관절인 고관절은, 공처럼 생긴 대퇴골두(femoral head)와 이를 감싸고 있는 소켓 모양의 골반구의 비구(acetabulum)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골과 소켓의 표면은 매우 부드러운 연골로 다시 덮여 있고 이 연골은 스펀지처럼 작용하여 관절에 부하되는 압력 또는 체중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관절은 주로 체중 부하와 체중 전달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관절의 운동범위보다는 관절의 안정성이 더 중요한 볼-소케트형의 활막 관절이다.
1.2. 고관절 전치환술(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THRA)
1.2.1. 정의 및 목적
고관절 전치환술(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THRA)은 인체의 관절 중 어깨관절에 이어 두 번째로 운동 범위가 크며 무릎관절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관절인 고관절에 대한 외과적 재구축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고관절에 문제가 생겨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진 경우, 몸속 혹은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 인공관절을 고관절에 삽입하여 고관절의 기능을 원래대로 복원시켜 일상적인 생활이 가능하게 해주는 수술이다.
그 목적은 통증 완화, 관절의 기능 회복, 운동 범위 향상, 변형 교정 등에 있다. 특히 지속적으로 통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으며 보존적 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이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인공관절 수술을 통해 관절 통증을 해소하고 관절 운동 각도 증가와 운동 능력 향상, 일상생활과 가벼운 운동이 가능해져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1.2.2. 수술 방법
고관절 전치환술(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THRA)의 수술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개의 경우 고관절 치환술을 할 때 가장 흔히 하는 마취 방법은 전신 마취(수술동안 계속 자도록 하는 방법)와 척수 마취(깨어 있지만 몸에 감각이 없게 하는 방법)가 있다. 수술은 환자 상태에 따라서 틀리지만, 대개 3시간 정도 걸린다.
수술 과정에서는 손상된 연골과 뼈를 제거하고 적절한 고관절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인공 관절을 삽입한다. 고관절에 치환되는 인공 관절은 재질과 모양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다. 인공관절은 볼(대퇴부)과 소켓(비구부)의 두 가지로 구성되며 전치환술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시멘트를 이용한 치환술로, 스테인리스 합금이나 코발트 크롬 합금으로 만들어진 대퇴 삽입물과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 비구컵이 골시멘트에 의해 뼈에 고정되게 된다.
둘째,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치환술로, 인공관절 삽입물은 삽입물 표면에 구멍이 무수하게 뚫려있어 뼈가 이 구멍을 통해 자라 들어가거나 뼈의 해부학적 구조에 꽉 끼게 제작되어 대퇴골과 골반골에 단...
참고 자료
You-Sung Suh, MD, Byoung Min Kim, MD , Orthopaedic Surgical Treatment of
Hip Fractures , J Korean Hip Soc 21(2): 127-140, 2009
서유성, 김병민. 고관절 골절의 수술적 치료. J Korean Hip Soc 21(2) 127-400, 2009
홍해숙, 김경숙 외, 계축문학사, [인체해부학], 2010
이향련, 최철자 외, 수문사, [여섯째판 성인간호학Ⅱ], 2010
Elaine N. Marieb. (2014). 사람해부학 7th ed. pearson publisher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골절[fracture]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엉덩관절(hip joint)
Greg, M. (2017). Intertrochanteric Fractures. Healthline
Havard Health Publishing. (2020). Hip Fracture
NHS. (2019). Hip fracture
Radiopaedia. Intertrochanteric fracture. Dr Mohammad, Y.
양현미. (2013). 고관절 골절 수술을 받은 노인과 가족 주 돌봄자를 위한 퇴원교육 자료 개발.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김종임 외. (2018). EBN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Ⅱ. 수문사.양현미. (2013). 고관절 골절 수술을 받은 노인과 가족 주 돌봄자를 위한 퇴원교육 자료 개발.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경희의료원KHMC, 고관절 수술 후 주의사항 및 운동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