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종한국어 초급 수업교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어서'의 교수-학습 방안
1.1.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결어미 '-어서'
1.2.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의 연결어미 '-어서' 설명
1.3. 연결어미 '-어서'의 다양한 용법과 의미
2. 초급 한국어 문법 교육: 명령형 격식체 '-으십시오/-십시오'
2.1. 초급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적 및 방향
2.2. '-으십시오/-십시오'의 의미와 사용
2.3. '-으십시오/-십시오'와 '-으세요/-세요'의 차이
2.4. '-으십시오/-십시오'의 활용 연습
3. 약속하기: 초급 한국어 말하기 교육 활동
3.1. 약속하기 대화의 특징과 문법
3.2. 약속하기 활동 구상 및 단계별 수업 진행
3.3. 약속하기 활동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어서'의 교수-학습 방안
1.1.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결어미 '-어서'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어서'는 초급 단계부터 교수-학습의 대상이 되는 필수적인 문법 항목이다. '-어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연결어미 중 하나로, 대립/대조, 원인/원인, 설명, 배경/상황 등의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쉽게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어서'의 기본적인 용법과 의미를 간단히 제시한다. 이때 한국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어서'의 복잡한 설명이나 예시는 제시하지 않고, 다양한 문장에 '-어서'를 활용하여 문법적 용법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간단한 문장으로 구성된 대화문을 통해 '-어서'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익힐 수 있다.
한편, '-어서'는 한국어 구어체에서 종결어미로도 기능하는 경우가 많아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조건, 의미 반영, 언어 환경 등에 따라 '-어서'가 종결어미로 기능하는 양상을 분석한 연구들은 이를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특히 드라마 대본 및 구어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해 성별, 연령, 대화자 간의 관계 등의 변수에 따른 '-어서'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듣기이해 문항에서의 활용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종합하면,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어서'는 초급 단계부터 필수적으로 다뤄지는 문법 항목으로, 그 기본적인 용법과 의미를 간단히 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어서'가 구어체에서 종결어미로 기능하는 양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고 있다.
1.2.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의 연결어미 '-어서' 설명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는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쉽게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어미 '-어서'에 대한 복잡한 설명이나 예시를 제시하지 않고, 간단한 문장으로 구성된 대화문을 통해 학습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초급 한국어 교재에서는 주로 '-어서'의 '대립/대조', '원인/원인', '설명', '배경/상황' 등의 의미기능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어서'가 구어에서 문장의 끝...
참고 자료
박나리. (2004). 한국어 교육문법에서의 종결어미 기술에 대한 한 제안. 이중언어학, (26), 91-116.
박기선. (2021). 비격식체 종결어미 ‘아요’와 ‘세요’의 사용 양상 연구. 외국어교육연구, 35(1), 249-269.
강현화, 사이버한국어초급1권, 온라인세종학당. 2020년 12월.
한국어배우기, 한국어문법 22, https://www.basickorean.com/2019/10/22-v-learn-korean-basic-korean-grammar.html, 2021년 8월 21일 접속.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표현교육론 한글 통합 교안』, pp116~121
한국외대 한국어문화교육원(2007),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1』,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p62~67
국립국어원(2013), 『세종한국어. 1』, 국립국어원출판부, pp121~129
조성문 외(2009), 『한국어 말하기 활동(기능과 화행 중심의)』, 제이앤씨출판부, pp4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