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성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성대학교 학생의 성공을 위한 필요 사항
1.1. 인성교육 실시
1.1.1. 새로운 방법의 인성교육 필요
1.1.2. 과별 담당 교수와의 인성교육 도입
1.2. 행정시스템 변화 지양
1.3. 학술정보관 도서 예약시스템 개선
1.4. 교육훈련 지원금 확대
1.5. 무인 셀프면접기 적극적 홍보
1.6. 4학년을 위한 취업 관련 교과 개설
2. 소비자 행동을 고려한 한성대학교 홍보 방안
2.1. 상황분석
2.2. 한성대학교 홍보 전략 현황
2.3. 홍보 전략 방향
2.3.1. Target 분석
2.3.2. 현재 홍보 전략의 개선점
2.4. 새로운 홍보 방안
3. 삼성전자의 변신 방향
3.1. 서론: 삼성은 어떤 기업인가?
3.2. 본론: 삼성의 변신 방향
3.3. 본론: 변신 방향의 근거
3.3.1. 5G 도입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3.3.2. 5G 상용화 경쟁
3.3.3. 전략적 M&A 사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성대학교 학생의 성공을 위한 필요 사항
1.1. 인성교육 실시
1.1.1. 새로운 방법의 인성교육 필요
새로운 방법의 인성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대학생들의 인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홍대 루저녀, 경희대 패륜녀, 최근의 발길질녀 사건까지 20대 대학생들이 주인공이 되는 인성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한성대학교 내에서도 새치기 문제와 학교 내 쓰레기 투하 등 인성 관련 문제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는 20대 대학생들이 아직 인성이 완전히 자리 잡히지 않은 시기이기 때문이다. 특히 신입생들의 경우 대학생활과 고등학교 생활의 괴리감을 느끼며, 성인이 되었다는 생각에서 일탈을 꿈꾸는 경우가 있다.
현재 한성대학교에서는 '대학과 지성' 교과목을 개설하여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인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수백 명의 학생들이 낙산관에 모여 강의를 듣기 때문에 개인별 피드백이 어렵고, 관심이 없는 학생들에게는 단순히 2시간의 휴식시간이 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새로운 방법의 인성교육이 필요하다. 수백 명이 모여 듣는 획일적인 정보주입식 교육이 아닌, 과별 담당 교수와 학생들이 함께 토론하며 교수가 학생들의 올바른 인성을 잡아주는 수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평생을 믿고 신뢰할 수 있는 교수님이 생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1.2. 과별 담당 교수와의 인성교육 도입
학교를 2~3년 다니다 보면 각 과별로 특성이 뚜렷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같은 주제를 제시했을 때 그것에 대한 접근방법과 해결방안이 각 과별로 신기할 정도로 상이하다. 그 만큼 과에서 교수님이 가르치는 내용이 중요하다는 반증이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각 과별 담당 교수님들과 함께하는 인성교육 시간이 있었으면 한다. 수백명의 인원이 한 장소에 모여 수업을 듣는 단순한 정보주입식의 교육이 아닌,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주제에 대해 학생과 교수가 서로 토론하며 교수가 학생들의 올바른 인성을 잡아주는 수업이 되었으면 한다. 또한 전공교수님과 함께하는 인성교육이 학생과 교수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평생을 믿고 신뢰할 수 있는 은사님이 생길 수도 있는 좋은 기회의 장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1.2. 행정시스템 변화 지양
행정시스템 변화 지양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10년 5월 21일 낙산의 메아리에 게시된 글을 통해, 한성대학교의 행정시스템 변화에 따른 문제점이 잘 드러난다. 경영학부 졸업시험제도가 갑작스럽게 폐지되고 토익점수로 대체되면서, 졸업을 앞둔 학생에게 토익점수 획득을 위한 시간이 부족하다는 내용이었다. 해당 학생은 화가 났음을 표현했고, 이에 대해 비난의 글이 많이 올라왔다. 작성자 또한 해당 학생의 태도가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지만, 자신이 그 입장이었다면 동일하게 황당하고 화가 났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처럼 행정시스템의 변화에 따른 부작용이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입장에서 볼 때 이는 매우 불편한 상황이 된다. 따라서 행정시스템의 변화는 언제나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충분한 논의와 사전 통보가 필요하다. 단순히 행정편의성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졸업제도와 같은 중요한 사항이 변경될 경우, 졸업예정자들에게 적절한 유예기간을 주어야 한다. 또한 학사행정 전반에 걸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반영해야 할 것이다.
1.3. 학술정보관 도서 예약시스템 개선
학술정보관 도서 예약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학술정보관 도서 예약시스템은 반납 예정일이 빨리 다가온 도서가 먼저 대출되는 불합리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먼저 예약한 학생이 도서를 대출하지 못하고 뒤에 예약한 학생이 도서를 먼저 대출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예약자 간 형평성에 어긋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학술정보관은 도서 1권에 대한 예약이 아닌, 같은 종류의 책 전체에 대한 예약으로 시스템을 변경하여 먼저 예약한 학생이 가장 먼저 도서를 대출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1.4. 교육훈련 지원금 확대
교육훈련 지원금 확대는 한성대학교 학생들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한성대학교는 재학생들에게 4년 동안 총 100만 원의 교육훈련 지원금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다른 대학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한성대만의 자랑거리이다.
그러나 졸업한 선배들과 현재 4학년 재학생들의 입을 모아 "교육훈련 지원금 100만 원? 조금만 더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라는 의견이 있다. 3학년 1학기를 재학 중인 필자 역시도 이미 60만 원 상당의 교육훈련 지원금을 사용하였으며, 이번 학기에만 30만 원이 넘는 금액을 사용하였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취업에 대한 걱정과 스펙 쌓기가 필요해져 다니는 학원의 수도, 공부하는 자격증의 수도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학원비와 자격증 관련 비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등록금은 매년 인상되는 반면 학생들의 복지를 위한 교육훈련지원금은 동결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한성대학교 학생들의 실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교 측에서 실정에 맞게 교육훈련지원금을 확대하여 투자해 주어야 할 것이다.
1.5. 무인 셀프면접기 적극적 홍보
무인 셀프면접기의 적극적 홍보는 한성대학교 학생들의 성공을 위해 ...
참고 자료
김진백․이남석(2016). 삼성전자의 성장: 기술추격, 마케팅, 국제화 관점의 분석. 상품학연구. 34(6):
89-103.
이양복. (2017). 국내 경영컨설팅 기업의 글로벌 역량 확보 방안 : M&A를 통한 성장 사례 중심으로. , 20(4), 63-83.
http://bit.ly/30exUWu / -https://blog.naver.com/tech-plus/221790174947
https://www.fnnews.com/news/201904140930442529
왕혁진 ( Yichen Wang ) , 백서윤 ( Seoyun Paik ). 2019. 중국 다국적기업의 해외인수합병 사례 연구지리의 볼보 인수-. 동북아경제연구, 31(3) : 25-56
Sull, D., C. Park and S. Kim(2003). Samsung and Daewoo: Two tales of one city. Harvard Business School Case. N9-804-055.
Interbrand(2015). Best Global Brands 2015. Interbrand.com(http://www.interbrand.com)
Kim, L.(1997). Imitation to innovation: The dynamics of Korea's technological learning.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im, L.(1998). Crisis construc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building in catching-up at Hyundai Motor. Organization Science, 9(4): 506-521.
Cho, D. S., D. J. Kim and D. K. Rhee(1998). Latecomer strategies: evidence from the semiconductorindustry in Japan and Korea. Organization Science, 9(4): 489-505.
Lee, K. and C. Lim(2001). Technological regimes, catching-up and leapfrogging: Findings from the Korean industries. Research Policy, 30(3): 459-483
Mathews, J.(2006). Dragon multinationals: Emerging players in 21st century globalization. Asia Pacific Journal of Management, 23(1): 5-27.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25/2020062505165.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