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장애아동에 지능검사 시장이 확대되는 현상에 대해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능검사의 이해 및 활용
1.1. 지능개념의 발전
1.2. 지능검사의 개발과 역사
1.3. 지능검사의 활용과 교육적 의의
1.4. 지능검사 활용시 유의점
2. 지적장애의 이해
2.1. 지적장애의 정의
2.2. 지적장애의 분류체계
2.3. 지적장애의 원인 및 특징
2.4. 지적장애 학생의 학업성취 특성
3. 투사검사의 이해
3.1. 투사검사의 개념과 특성
3.2. 투사검사의 장단점
3.3. 대표적인 투사검사: TAT, 문장완성검사, HTP 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능검사의 이해 및 활용
1.1. 지능개념의 발전
전통적 지능이론에서 스피어만은 2요인설을 통해 지능을 일반요인과 특수요인으로 설명하였다. 일반요인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개인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능력 즉, 기억력, 암기력, 추론과 수, 언어 등의 일반적인 사용 능력 등을 의미하며 특수요인은 수학문제, 언어문제 등과 같은 특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2요인설에서는 언어능력과 수리구성, 추상적 추론 등으로 구분하고 모든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을 때 업무의 성공률이 높고 낮았을 때 업무 성공률이 낮을 것으로 가정한다.
나아가 써스톤은 군집요인설에서 지능을 언어 이해 요인과 공간 요인, 수리 요인과 지각 요인, 언어 유창성 요인과 기억요인, 추리 요인 등 7개의 기본 정신능력으로 구분하였고 길포드는 써스톤의 이론을 계승하여 3차원의 지능구조모형을 제안하였다. 지능구조모형에서는 정보를 조작해 어느 수준까지 산출 3차원으로 구조화되며 5개의 내용차원과 6개의 조작차원, 6개의 산출차원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상호 조합해 얻어지는 180개의 상이한 하위정신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180개의 하위정신능력 중 아직은 일부만에 밝혀졌으며 나머지는 앞으로 밝혀져야 하는 과제이다.
카텔과 혼은 지능을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 2개 요인으로 구분하였는데 유동적 지능은 유전적, 생리적 영향에 의해 발달되는 지능으로 청년기까지 발달하지만 성인기 이후에는 점차 쇠퇴하는 지능을 의미하며 속도와 기계적 암기, 일반적 추리력, 지각렬 등을 포함한다. 결정적 기능은 환경과 문화 경험의 영향에 의해 발달되는 지능으로 가정환경과 교육정도, 직업 등의 영향을 받으며 성인기 이후에도 계속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결정적 기능에는 언어이해와 문제해결력, 논리적 추리력과 상식 등이 포함된다.
최근의 지능이론 중 대표적인 이론은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이다. 다중지능이론은 지능이 높은 사람은 모든 영역에서 우수하다는 획일적 지능관을 비판하며 등장하였다. 다중지능이론에서의 지능은 한 문화권이나 여러 문화권에서 가치 있게 인정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를 창조하는 능력으로 서로 독립적이면서 상이한 여러 상징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8개의 독립적 지능을 가진다. 첫째는 언어 지능, 둘째는 논리수학적 지능, 셋째는 공간 지능, 넷째는 신체운동 지능, 다섯째는 음악 지능, 여섯째는 대인관계 지능, 일곱째는 개인 내 지능, 마지막은 자연 지능이다.
스텐버그는 삼위일체 지능이론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지능을 이해하려면 개인과 행동, 상황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텐버그는 정보의 수집과 사용 방식을 강조하였는데 그에게 성공적 지능은 분석적, 실천적, 창조적 측면의 지능이 균형을 이룰 때 가장 효과적이며 적절히 사용 시기와 방법을 안다는 것에 있어 중요성을 가진다.
1.2. 지능검사의 개발과 역사
지능검사의 개발과 역사는 다음과 같다.
1916년 스텐포드 대학의 터만에 의해 개발된 스텐포드-비네 지능검사가 등장하였다. 이 검사에서는 지능지수의 개념이 첨부되었으며 정신연령은 검사에 통과한 항목의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지능지수 산출 공식은 IQ=MA(정신연령)/ CA(생활연령)*100과 같다.
1930년대에는 웩슬러가 유아용, 아동용, 성인용으로 나누어 지능을 측정하는 검사를 구성하였다. 이는 구술에 의한 질문과 응답으로 이루어진 ...
참고 자료
박은정(2011), 다중지능검사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고등학생의 진로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차한솔(2022), 한국 집단지능검사의 역사적 변천과정 연구: 초중고 학교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국가법령정보센터 장애인복지법시행령 제2조 관련 별표 1 <장애인의 종류와 기준> 2023.10.12. ]
이젠에듀 교안 유아특수 교육학 - 교수자 김지성 P23-P28
김동연 외. 2002. 『HTP와 KHTP 심리진단법』. 동아문화사.
신민섭 (2003). 아동의 심리적 문제의 진단과 이해:HTP KFD 검사를 중심으로. 한국독서치료학회.
신현균 (2001). 상담과 심리검사-투사적 검사의 활용.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김미숙 (2008). S-HTP 검사에 나타난 중학생 청소년의 우울성향 반응특성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평택대학교, 경기도 평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