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증기준 개요
1.1. 인증기준의 틀
의료기관 인증기준의 틀은 크게 네 가지 특성을 배경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의료기관이라면 마땅히 환자안전보장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는 기본 전제 하에 마련되었다""
둘째, 환자의 입장에서 진료과정을 추적조사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셋째,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 및 감염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양질의 환자 진료를 지원하는 기능과 조직의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다""
넷째, 지표를 통한 성과관리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듯 의료기관 인증기준의 틀은 기본가치체계, 환자진료체계, 조직관리체계, 성과관리체계 등 4개의 영역이 유기적으로 상호교류하면서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의료기관이 성과를 도출해내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2. 인증기준의 구성
인증기준은 4개의 영역(Domain), 13개의 장(Chapter), 92개의 기준(Standard), 512개(병원 507개)의 조사항목(Measurable Element, ME)으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영역(Domain)은 기본가치체계, 환자진료체계, 조직관리체계, 성과관리체계이며, 각 영역은 13개의 장(Chapter)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기본가치체계는 환자안전 보장 활동 장으로, 환자진료체계는 진료전달체계와 평가, 환자진료, 의약품관리, 수술 및 마취진정관리, 환자권리존중 및 보호 장으로, 조직관리체계는 질 향상 및 환자안전 활동, 감염관리, 경영 및 조직운영, 인적자원 관리, 시설 및 환경관리, 의료정보/의무기록 관리 장으로, 성과관리체계는 성과관리 장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4개의 영역, 13개의 장, 92개의 기준, 512개(병원 507개)의 조사항목은 의료기관의 전반적인 운영과 관리 체계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1.3. 인증기준의 이해
의료기관 인증기준의 이해는 다음과 같다"".
의료기관 인증기준은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적용된다"". 인증기준은 의료기관의 운영에 대한 원칙, 의료서비스 제공에 대한 원칙, 업무지침 등을 합리적인 과정을 통하여 정의한 내부 준칙인 규정, 지침, 내규로 구성된다"".
규정은 의료기관 전반에 걸쳐 공통적으로 일관성 있게 적용되어야 하며, 관련 법규나 국제표준 또는 공인된 지식체계에 따라 제정 또는 개정되어야 한다"". 부서 또는 개별 프로세스 차원의 규정은 의료기관이 정하는 과정에 따라 제정 또는 개정될 수 있다"".
절차는 업무 혹은 서비스의 과정(프로세스)을 정의한 것으로, 해당 프로세스의 변경에 따라 수정되고 공유되어야 한다"". 의료기관은 규정, 내규, 지침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1.4. 조사방법
조사방법은 추적조사방법을 사용하며 크게 개별환자 추적조사(Individual Tracer, IT)와 시스템 추적조사(System Tracer, ST) 두 가지로 구분된다.
개별환자 추적조사(Individual Tracer, IT)는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환자가 겪게 되는 경로를 따라 서비스 제공 직원 면담, 환자(또는 보호자) 면담, 의무기록검토, 수행과정 관찰 등을 통해 조사하는 방법이다.
시스템 추적조사(System Tracer, ST)는 질 관리와 안전을 요하는 주요 영역에 대한 의료기관 차원의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담당자 면담, 관련 자료 확인, 관련 영역에 대한 현장 확인 등을 통해 조사하는 방법이다.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중복평가를 방지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른 제도·법 내용이 평가 결과를 일부 조사항목에 대하여 적용하기도 한다.
조사항목은 S.P.O(Structure, Process, Outcome)로 구분된다. 구조(S)는 규정, 절차, 체계, 계획의 수립, 과정(P)은 개별교육, 숙지, 인지, 수행정도 확인, 결과(O)는 성과지표를 선정하고 결과에 따라 관리하는 것이다.
미해당 조사항목의 적용 여부는 조사위원의 현장 확인을 기본으로 하며, 사전에 제출한 '의료기관 운영현황표'를 검토하여 '미해당'으로 확인된 경우 조사 시 진위를 확인하여 '미해당'으로 판정한다.
2. 인증등급 판정
2.1. 조사항목 충족기준
조사항목 충족기준은 상/중/하와 유/무로 나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10점)의 경우 조사항목(ME)의 충족률이 90% 이상인 경우이고, 중(5점)은 조사항목(ME)의 충족률이 60% 이상 ~ 90% 미만인 경우이다. 하(0점)는 조사항목(ME)의 충족률이 60% 미만인 경우이다.
유(10점)는 조사항목(ME)의 충족률이 100%인 경우이며, 무(0점)는 조사항목(ME)의 충족률이 100% 미만인 경우이다.
조사항목별 조사방법 및 결과판정은 구조(Structure), 과정(Process), 결과(Outcome) 항목으로 나누어 이루어진다.""
2.2. 인증등급 판정기준
'인증'의 경우 아래의 모든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 전체 조사항목(ME)의 평균 점수 : 병원 · 종합병원은 8점 이상, 상급종합병원은 9점 이상
- 각 기준(Standard)의 조사항목(ME)의 평균 점수 : 병원 · 종합병원 · 상급종합병원 모두 5점 이상
- 각 장(Chapter)의 조사항목(ME)의 평균 점수 : 병원 · 종합병원은 7점 이상, 상급종합병원은 8점 이상
- 필수 조사항목 : 병원 · 종합병원 · 상급종합병원 모두 '하'가 없어야 함
'불인증'의 경우 아래 조건 중 한 개라도 해당되는 경우를 뜻한다.""
- 전체 조사항목(ME)의 평균 점수 : 병원 · 종합병원은 7점 미만, 상급종합병원은 8점 미만
- 각 기준(Standard)의 조사항목(ME)의 평균 점수 : 5점 미만이 병원은 3개 이상, 종합병원은 2개 이상, 상급종합병원은 1개 이상
- 각 장(Chapter)의 조사항목(ME)의 평균 점수 : 병원 · 종합병원은 7점 미만이 1개 이상, 상급종합병원은 8점 미만이 1개 이상
- 필수 조사항목 : 병원 - 종합병원 · 상급종합병원 모두 '하'가 1개 이상
'조건부 인증'의 경우 필수항목에서 '하'가 없으면서, 조사항목 평균점수(전체, 기준별, 장별)가 인증과 불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