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흡기 질환의 생리적 기전
1.1. 호흡이란?
인간은 체내로 섭취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의 영양소를 산화하고, 이 때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명활동을 영위한다. 따라서 생체는 이러한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외부환경으로부터 산소를 몸 안으로 받아들이는 한편, 산화가 이루어진 영양소를 각 세포 안에서 새로운 것으로 교체한다. 그러나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대부분의 세포는 산소가 존재하는 외부환경(공기 또는 물)과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신체 외부로부터 산소를 섭취하여 신체에 있는 모든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는 한편, 세포에서 생산된 이산화탄소(CO2)를 체외로 배설하는 특수한 구조가 필요하다. 호흡(呼吸, respiration)이란 신체 외부로부터 내부로 받아들인 산소를 세포로 운반하고, 세포의 산소 소비 대사 결과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를 체외로 배설하는 모든 과정을 말한다.
1.2. 호흡계의 구조
호흡계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외부의 공기는 비강(鼻腔, nasal cavity), 인두(咽頭, pharynx), 후두(喉頭, larynx)를 거쳐 기관(氣管, trachea)으로 들어간다. 기관은 두 개의 기관지(氣管支, bronchus)로 나뉘어진 후 폐 속에서 다시 20회 이상의 분지를 반복하여 가늘은 호흡세기관지(respiratory bronchiole)가 된다. 그 끝은 반구강의 폐포로 구성된 폐포낭에서 끝난다. 폐포낭(肺胞囊, alveolar sac)은 공기와 혈액 사이의 가스교환(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일어나는 곳이다. 폐포의 안쪽은 대단히 얇은 막으로 덮여 있고 그 바깥쪽에는 무수한 모세혈관(毛細血管, capillaries)들이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폐포 내에 있는 모세혈관들은 0.5㎛ 정도의 거리에서 공기 및 혈액과 접하고 있다. 더구나 폐에 있는 모든 폐포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의 면적은 약 70㎡에 이른다.
비강으로부터 호흡세기관지에 이르는 도관계는 공기를 운반하는 통로로서 기도(respiratory tract)라고 한다. 폐는 기관지가 반복 분지된 가느다란 기도로 형성되는데 그 끝 쪽에는 3억개가 되는 폐포가 있다. 그리고 폐포는 가스교환을 위하여 감싸고 있는 혈관, 결합조직, 폐 조직에 영양 및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 폐 전체를 덮고 있는 피막(폐흉막) 등으로 구성된다.
폐에서 기관지 및 혈관 등이 출입하는 곳을 폐문(肺門, hilus of pulmonis)이라고 하며 폐의 일부분은 폐문과 연결되어 있다. 폐를 덮고 있는 흉막은 폐문이 있는 곳에서 벽측흉막이 되어 흉곽의 내면 및 횡격마의 표면을 덮고 있다. 흉막 및 벽측흉막 사이의 공간을 흉막강이라고 한다. 흉막은 기체 및 액체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흉막강은 보통 진공으로 되어 있다.
폐의 수축과 이완에 의하여 공기는 폐 속으로 출입하게 되며 폐 자체는 스스로 운동하는 기능이 없다. 폐의 수축과 이완은 폐를 감싸고 있는 흉곽(胸廓,thorax)과 횡경막의 상하운동에 의한다. 흉곽을 구성하는 근육 및 횡격막(橫擊膜, diaphragm)의 수축운동에 의하여 흉곽의 용적이 증?감하게 되고, 그에 따라 폐의 용적이 변하므로 공기는 폐의 안과 밖을 출입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공기펌프 작용이 있는 흉곽 및 횡격막도 호흡기의 중요한 일부이다.
1.3. 호흡계의 기능
호흡계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의 공기와 폐포 내 공기의 교환이다.""공기펌프 작용에 의하여 외부공기는 기도를 통하여 폐포를 출입한다."" 이 과정을 환기(換氣, ventilation)라고 한다.""
둘째, 폐포 내 공기와 혈액 사이의 O2와 CO2 교환이다.""폐포내 O2는 폐포벽을 감싸고 있는 모세혈관 내의 혈액으로 확산되며 혈액 내의 CO2는 폐포 내로 확산된다.""이러한 가스(O2및 CO2)의 이동은 폐포의 공기와 혈액 사이의 가스 분압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셋째, 혈액에 의한 O2및 CO2의 운반이다.""혈액이 폐포로부터 공급 받은 산소는 심장의 혈액 펌프 작용에 의하여 인체의 구석 구석에 있는 모세혈관으로 운반된다.""또한 세포에서 생성된 O2는 말초 모세혈관으로부터 혈액으로 이동한 후 폐포까지 운반된다.""혈액에 의한 O2및 CO2의 운반에는 적혈구 내에 있는 헤모글로빈이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넷째, 말초 모세혈관내 혈액과 조직 사이의 O2및 CO2 교환이다.""폐포 주위의 모세혈관은 말초조직에 있는 모세혈관과는 혈관 안과 밖의 조건이 다르다.""O2및 CO2의 분압 차이는 혈관 안과 밖이 서로 상반되며 온도조건, 수소이온 농도 등도 다르다.""이러한 조건의 차이로 인하여 말초 모세혈관으로부터 O2는 조직으로 이동하고, CO2는 조직으로부터 혈액으로 이동한다.""
2. 호흡장애의 증상
2.1. 호흡곤란
호흡곤란(dyspnea)이란 호흡을 하는 것이 어렵다고 느끼고, 호흡을 하는데 노력이 필요하며 불쾌감을 느끼는 자각 증상이다. 대상자는 "숨이 차다", "숨이 가쁘다", "갑갑하다", "가슴이 죄는 듯하다", "숨을 쉴수가 없다"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
호흡곤란은 주로 폐질환, 심장질환에서 흔히 나타나며, 특히 폐경화와 공기 저항이 증가할 때 자주 발생한다. 호흡곤란의 주된 원인은 폐기능 저하로 인한 산소섭취 저하와 이산화탄소 배출 장애 때문이다.
간호사는 호흡곤란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중재를 수행한다. 만성폐질환 환자의 경우 High-Fowler position을 취하여 가스 교환을 증진시키고, 금기가 아닐 경우 하루에 최소한 8~10잔의 물을 마시도록 하여 분비물을 묽게 해준다. 폐색전 환자의 경우 침상상부를 올리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산소를 공급하며, 다리를 높이고 둔부의 심한 굴곡은 피한다. 또한 항응고제 치료 후 출혈 등 부작용을 관찰한다.""
2.2. 기침
기침(Cough)은 폭발적으로 숨을 내쉬는 것으로, 열 또는 천명음을 동반하며 습성 기침(객담 배출)이거나 마른기침, 개 짖는 듯한 심한 기침, 쉰 목소리의 기침, 잦은 기침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기침의 원인으로는 자극적이고 마른 기침은 바이러스가 원인인 상부 기도 감염의 특징이며, 자극적이고 소리가 높은 기침은 후두기관지염이 원인이며, 쇳소리가 나는 기침은 가관지 병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심하고 변화가 많은 기침은 기관지암을 나타낼 수 있으며, 늑막통을 동반한 기침은 늑막이나 흉벽 근골격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다. 간호사는 기침의 양상, 발생 시기, 지속 기간 등을 상세히 사정하고, 기침과 관련된 감염, 투약, 치료법 등을 확인한다. 또한 대상자에게 올바른 손씻기, 사용한 휴지 처리 방법, 항생제 복용 등을 교육하여 기침 증상 관리를 돕는다""."
2.3. 객담
객담은 기관과 기관지에서 정상적으로 하루에 약 90ml정도 생산되는데, 이는 섬모운동으로 적절히 배출된다""
객담은 무색 또는 맑은 점액성, 다량이고 진한 노란색 또는 녹색의 화농성 객담, 녹슨 쇳빛 객담, 묽은 점액성 객담 등 그 성상과 양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화농성 객담은 세균성 감염을, 묽은 점액성 객담은 바이러스성 기관지염을, 분홍빛의 점액성 객담은 폐종양을, 다량의 거품이 있는 분홍색 객담은 폐수종을, 악취나는 객담은 폐농양이나 기관지 확장증, 혐기성균 감염을 시사한다""
이처럼 객담의 양상은 질병의 진단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므로, 간호사는 객담의 특성을 정확히 관찰하고 기록하여 의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또한 객담이 너무 진하여 배출이 어려운 경우 충분한 수분 섭취와 연무요법으로 점도를 낮추어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흡연은 섬모운동을 방해하고 기관지 분비물을 증가시키므로 금연을 장려해야 한다""객담은 기관지에서 생성되는 점액성 분비물로, 정상적으로 하루 약 90ml 정도 생산된다. 이 객담은 섬모운동에 의해 효과적으로 배출되며, 그 성상과 양상에 따라 다양한 임상 정보를 제공한다.
무색 또는 맑은 점액성 객담은 비감염성 염증 과정을, 다량이고 진한 노란색 또는 녹색의 화농성 객담은 세균성 감염을 시사한다. 녹슨 쇳빛의 객담은 폐렴 구균성 폐렴, 묽은 점액성 객담은 바이러스성 기관지염을 나타낸다.
객담량의 점진적 증가는 만성 기관지염이나 기관지 확장증을, 분홍빛의 점액성 객담은 폐종양을, 다량의 거품이 있는 분홍색 객담은 폐수종을 암시한다. 악취 나는 객담은 폐농양, 기관지 확장증, 혐기성균 감염을 시사한다.
이와 같이 객담의 특성은 질병 진단의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므로, 간호사는 객담의 양상을 세밀히 관찰하고 기록하여 의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또한 객담 배출을 돕기 위해 수분 섭취와 연무요법을 시행하며, 흡연이 객담 증가의 주요 요인임을 교육하여 금연을 권장한다.
2.4. 천명음
천명음(Wheezing)은 흡기 또는 호기 시 공기가 부분적으로 폐쇄되거나 좁아진 기도를 통과할 때 나는 소리이다. 이는 기관지 협착이나 점액 증가로 기도가 좁아져서 발생한다.
천명음은 부위에 따라 청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호기 시 공기가 기도를 통과할 때 유발하는 고음의 리듬성 또는 휘파람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는 호흡기계 질환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천명음은 주로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기관지 확장증 등의 질환에서 관찰된다. 이런 질환에서는 기도가 좁아져 기도저항이 증가하고 기도의 진동이 커지면서 천명음이 발생한다. 또한 급성 상기도감염이나 폐렴 등에서도 천명음이 나타날 수 있다.
간호사는 천명음의 빈도와 유발요인을 사정하여 환자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천명음이 나타나면 기관지 확장제나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 투여, 체위 변경, 습도 유지 등의 중재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켜야 한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천명음의 원인과 관리 방법을 교육하여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2.5. 객혈
객혈(Hemoptysis)은 호흡기로부터 혈액이 배출되는 증상이다. 혈흔이 있는 객담이 나오거나 혈액 자체가 기침을 할 때 배출되는 현상으로, 혈액이 객담에 묻어 나오는 가벼운 정도에서부터 쇼크를 일으킬 정도의 다량 객혈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3시간에 400ml 이상, 혹은 24시간에 600ml 이상의 객혈을 다량 객혈로 본다.
객혈의 주요 원인 질환으로는 폐결핵, 기관지 확장증, 기관지염, 폐렴, 폐암, 폐농양 등이 있다. 이 중 폐암, 폐결핵, 폐농양이 객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객혈 시 절대안정, 측와위 자세를 취하고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진정제를 투여한다. 심한 기침은 약물로 조절하며, 객혈의 양과 색깔을 사정하고 의사의 시진을 돕기 위해 모아둔다. 출혈이 갑자기 증가하면 출혈부위를 찾기 위해 기관지경을 삽입하고 풍선 카테터를 삽입하여 출혈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 레이저 치료나 동맥색전술, 폐절제술과 같은 외과적 중재가 필요할 수 있다."
2.6. 흉통
흉통(Chest pain)은 가슴의 통증을 의미한다. 흉통은 다양한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그 원인이 된 질환에 따라 특징적인 양상을 보인다. 흉통의 증상은 날카롭고 찌르는 듯한 통증, 타는 듯한 지속적인 통증, 압박감과 조이는 듯한 통증 등으로 나타난다. 또한 활동이나 호흡 등의 동작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흉통의 원인은 상부 호흡기 감염, 심장질환, 소화기계 질환, 근골격계 질환 등 매우 다양하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과거력과 증상의 양상, 악화와 호전 요인 등을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간호사는 통증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통증 유발 요인, 완화 방법, 동반 증상 등을 확인하고, 필요시 의사의 진찰을 받도록 해야 한다. 또한 환자의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