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내과 실습 인슐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당뇨병의 정의와 분류
1.1. 당뇨병의 정의
1.2. 당뇨병의 분류
1.2.1. 제1형 당뇨병
1.2.2. 제2형 당뇨병
2. 당뇨병의 증상 및 합병증
2.1. 저혈당증
2.2. 고혈당성 케톤산증
2.3. 당뇨병 합병증
3. 혈당 측정 방법 및 정상 범위
3.1. 자가 혈당 측정 방법
3.2. 채혈 검사 방법
3.3. 혈당 체크 시기 및 정상 혈당 수치
4. 당뇨병 관리 방법
4.1. 식이요법
4.2. 운동요법
4.3. 약물요법
4.3.1. 인슐린
4.3.2. 경구용 혈당강하제
5. 간호중재
5.1. 당뇨병 환자 사정
5.2. 당뇨병 환자 교육
5.3. 저혈당 간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당뇨병의 정의와 분류
1.1. 당뇨병의 정의
당뇨병은 혈액 내 포도당 농도(혈당량)가 높게 유지되는 병이다. 오줌에 당이 섞여 나온다는 의미에서 당뇨병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당뇨병은 그 원인과 양상에 따라 제1형과 제2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제1형은 인슐린 합성을 못하는 경우이고, 제2형은 인슐린 합성이 제대로 조절되지 못하거나 표적세포에 작용하지 못해서 생긴 경우이다."
1.2. 당뇨병의 분류
1.2.1. 제1형 당뇨병
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당뇨병의 5~10%를 차지한다. 제1형 당뇨병은 주로 청소년기에 발병하지만 성인기에도 나타날 수 있다.
제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반응으로 인해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 생성이 완전히 중단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혈중 포도당이 과다하게 증가하는 고혈당 상태가 지속된다. 따라서 제1형 당뇨병 환자는 반드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인슐린에 의존해야 한다.
제1형 당뇨병의 원인은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으로 제1형 당뇨병 발병에 관여하는 HLA 유전자형이 있으며, 바이러스 감염이나 독소 노출 등의 환경적 요인이 자가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베타세포가 파괴되면서 제1형 당뇨병이 발병하게 된다.
제1형 당뇨병 환자는 일반적으로 갑작스러운 고혈당 증상, 체중 감소, 다음, 다뇨, 피로감 등을 경험한다. 또한 케톤산증이 동반될 수 있어 구토, 복통, 숨가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료진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제1형 당뇨병의 치료는 인슐린 요법이 필수적이다. 인슐린은 피하주사로 투여되며, 식사와 활동량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또한 혈당 모니터링,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의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하다. 이를 통해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혈당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1형 당뇨병은 평생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으로, 환자 및 가족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상담이 중요하다. 특히 저혈당 예방 및 응급 대처, 합병증 관리, 스트레스 관리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환자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1.2.2. 제2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은 당뇨병의 90%~95%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유형이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가 부족하거나 인슐린에 대한 표적세포의 반응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40대 이후 나이가 들면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제2형 당뇨병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과도한 스트레스, 영양섭취 및 비만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유전적 요인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약 36가지 유전자가 제2형 당뇨병의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2형 당뇨병은 혈당강하제를 통한 혈당관리가 중요하며, 심한 경우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당뇨병전기나 초기당뇨병일 경우 식이요법을 통한 혈당조절이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증세와 합병증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눈, 발, 신장, 신경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진과 함께 혈당 조절, 적절한 운동, 식이 관리 등이 중요하다."
2. 당뇨병의 증상 및 합병증
2.1. 저혈당증
저혈당증은 혈액 내 당의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정상 혈당 범위는 80~120mg/dL이며, 저혈당 반응은 50mg/dL 이하일 때 나타난다.
저혈당의 증상으로는 약하고 빠른 맥박, 차고 습기 찬 피부, 쇠약감과 피로, 공복감, 손떨림, 이상한 행동, 경련 및 혼수 상태 등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45~60분 이내에 치료하지 않으면 불가역적인 뇌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저혈당의 원인으로는 인슐린 주사 후 5~10분 내에 발생하거나, 식사를 거르거나 과도한 운동을 할 경우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약물 부작용, 알코올 섭취, 급성 감염 등의 상황에서도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다.
저혈당 치료를 위해서는 경미한 저혈당 시 15g의 설탕(과일주스 1/2컵, 사탕 5개, 설탕 3숟가락)을 섭취하고 15분 후 혈당을 재측정하여 여전히 낮으면 추가로 15g의 탄수화물을 섭취한다. 중등도의 저혈당 시에는 20-30g의 탄수화물을 섭취하며, 심한 저혈당(혈당 50mg/dL 이하)인 경우에는 50% 포도당 50ml를 정맥...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혈당정상범위, https://blog.naver.com/chummilmil99/222692359553, 22.04.06
윤은자외, 성인간호학Ⅱ(9판개정), 수문사, 2021, 1317-1356p
약학정보원, 휴마로그주,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DDDDD0625, 22.04.06
약학정보원, 휴물린엔주,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4370A0010, 22.04.06
약학정보원, 디아릴정3mg,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7267, 22.04.06
약학정보원, 글루파정500mg,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total_result.asp, 22.04.06
이윤미외,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2021, 662p-679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