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디자인과 교수-학습지도안
1.1. 단원 개관
이 단원의 학습 목표는 시각전달 디자인의 중요성과 활용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하며, 그림 글자와 포스터, 안내 표지판, 초대장 등을 만들어 봄으로써 디자인의 세계를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디자인을 친근하게 대할 수 있도록 하고, 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캐릭터 디자인'은 학생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디자인의 영역으로 학생들이 흥미 있어 하는 영역으로 생활 속의 활용도가 높다. 따라서, 학생들이 자신의 특징을 찾아 자신만의 캐릭터를 디자인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1.2. 단원 학습 목표
디자인과 교수-학습지도안의 '1.2. 단원 학습 목표'에 따르면, 이 단원의 학습 목표는 "디자인의 개념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디자인에서 학습한 구성의 요소와 원리를 응용하여 아름답게 꾸미고 제작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이다."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구체적인 학습 목표는 "캐릭터의 정의, 특징, 종류 등 캐릭터 디자인에 대해 알 수 있다", "캐릭터 디자인의 제작과정을 알 수 있다", "캐릭터 디자인을 통해서 디자인을 이해할 수 있다", "자신의 특징을 살려 캐릭터의 컨셉을 정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나의 캐릭터를 제작하여 응용할 수 있다", "캐릭터를 직접 제작해 봄으로써 캐릭터를 실생활에 제작, 활용할 수 있다", "캐릭터를 활용한 예를 접하면서 관심 있고 적극적으로 다가설 수 있다", "캐릭터 디자인을 통해 생활 속의 디자인을 관심 있게 접할 수 있다"이다.
1.3. 단원 차시계획
이 단원의 차시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차시는 ""디자인의 개념, 디자인의 조건, 굿 디자인의 조건, 디자인의 종류, 생활 속에 활용되는 디자인의 예""를 다룬다" 학생들이 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두 번째 차시는 ""캐릭터 디자인의 이해와 다양한 작품 감상""을 다룬다" 캐릭터 디자인의 정의, 특징, 종류 등을 살펴보고 다양한 예시 작품을 감상하며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 차시는 ""아이디어 스케치, 캐릭터 제작과정 설명, 작품계획서 설명, 자신의 특징 발견, 캐릭터 컨셉 구상""을 다룬다" 학생들이 자신의 특징을 살려 창의적인 캐릭터를 구상할 수 있도록 한다"
네 번째 차시는 ""캐릭터의 형태 그리기, 캐릭터 컨셉 설정, 캐릭터의 이름과 형태, 색상 결정, 특징을 살려 캐릭터 형태 제작""을 다룬다" 구상한 캐릭터 컨셉을 바탕으로 실제 형태를 제작하는 활동을 진행한다"
다섯 번째 차시는 ""캐릭터 채색""을 다룬다" 완성된 캐릭터 형태에 채색 작업을 하도록 한다"
여섯 번째 차시는 ""캐릭터 완성, 작품설명서 작성, 캐릭터 발표 및 감상""을 다룬다" 완성된 캐릭터를 발표하고 감상하는 활동으로 마무리한다"
이와 같이 총 6차시로 구성된 이 단원의 차시계획은 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며, 학생 개인의 특징을 살린 창의적인 캐릭터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4. 단원 평가계획
이 단원은 생활 속에서 캐릭터 디자인이 활용되는 예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쉽고 친근하게 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조성하여 이를 통해 캐릭터 디자인의 개념과 특징을 이해하여 제작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는지에 초점이 있다. 학생들은 창의적인 발상 기법인 브레인스토밍을 적용하여 특징을 파악하고, 다음 차시의 학습과 연결하여 작품 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계획적으로 작품에 제작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획일적인 캐릭터 디자인이 아닌 독창적인 캐릭터를 디자인하여 학습 목표를 충실히 달성하였는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1.5. 본시 학습지도안
본시 학습지도안은 단원 "마음이 설레는 디자인 -캐릭터 디자인"의 두 번째 차시에 해당한다. 이 수업의 주제는 "자신의 개성을 잘 살린 캐릭터 제작"이며, 학습 목표는 "캐릭터 디자인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와 "자신의 개성이 잘 드러나도록 창의적으로 캐릭터를 디자인할 수 있다"로 설정되어 있다.
수업은 도입-전개-정리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도입 단계에서는 전시학습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