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통합 simulation 실습 배경
통합 simulation 실습 배경은 간호학생들에게 실제 임상 현장과 유사한 상황을 제공하여 임상수행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간호학 교육과정에서 통합 simulation 실습은 다양한 간호상황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임상현장에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함양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의사소통 및 협력 능력 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통합 simulation 실습은 실제 임상 현장과 유사한 환경에서 다양한 사례를 경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호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실수를 허용하고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간호학생들은 임상 현장에 대한 이해와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
1.2. HF(heart failure) 시나리오 및 흐름도 실습 목적
HF(heart failure) 시나리오 및 흐름도 실습 목적은 심부전 환자의 간호 과정을 통합적으로 실습하고 교육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간호학생들은 심부전 환자의 증상과 징후에 대한 사정과 관찰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간호진단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간호중재를 계획 및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수혈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한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통합 실습을 통해 간호학생들은 실제 임상 상황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과 임상 수행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1.3. 실습의 중요성
실습의 중요성은 간호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첫째,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해 실제와 유사한 상황에서 간호과정을 적용해볼 수 있어 이론 수업만으로는 습득하기 어려운 실무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심부전과 같은 중증 환자 상황을 가정한 실습은 학생들이 실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간호 지식, 기술, 태도를 통합적으로 학습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둘째, 시뮬레이션 실습은 환자 안전을 위협하지 않으면서도 실제와 유사한 상황을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실수를 할 경우에도 환자에게 직접적인 위해가 가해지지 않아 안전한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위험 없이 실수로부터 배울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임상 현장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시뮬레이션 실습은 팀 기반 실습을 통해 의사소통, 협력, 리더십 등의 역량을 기를 수 있다. 팀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역할을 수행하면서 실제 임상 현장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습득할 수 있다. 특히 심부전 환자 돌봄과 같이 다학제 협력이 중요한 상황에서 이러한 팀워크 역량은 필수적이다.""
넷째, 시뮬레이션 실습은 학생들의 자신감과 만족도를 높인다. 실무 역량 향상으로 인한 성취감과 안전한 환경에서의 실습 경험은 학생들의 자신감 및 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킨다. 이는 향후 임상 실습과 실무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 실습은 간호학생들의 실무 능력 향상, 환자 안전 도모, 팀워크 역량 강화, 자신감 및 만족도 제고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2. 본론
2.1. 환자 정보 및 주증상 파악
2.1.1. 환자 기본 정보
환자 기본 정보는 다음과 같다.
75세 여성 환자 김00은 좌심부전을 1년 전 진단받았으며, 고지혈증과 협심증의 과거력이 있다. 현재 Niacin, NTG, Digoxin 약물을 복용 중이다. 국민기초생활수급자에 해당하는 중하 생활수준의 사회경제적 환경에 놓여있다. 교육 수준은 중학교 중퇴이며, 기독교 신자로 기혼자이다. 입원일은 2019년 9월 3일이며, 자의 입원 형태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활력징후는 혈압 140/90mmHg, 체온 37도, 맥박 105회/분, 호흡수 27회/분으로 확인되었다.
2.1.2. 환자 주증상 확인
입원한 지 10시간째인 75세 김00 여자 환자는 "숨쉬기가 힘들고 계속 피로감이 있어서 응급실에 왔다"고 호소하였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 확인 결과 혈압 140/90mmHg, 체온 37℃, 맥박 105회/분, 호흡 27회/분의 양상을 보여 빠르고 얕은 호흡 패턴이 관찰되었다. 산소포화도(SpO2) 수치는 89%로 낮게 나타나 nasal cannula를 통해 산소 2L/min을 투여하였다.
청진 결과 양측 폐음에서 수포음이 확인되었고, 하지와 발등에는 요루성 부종 grade 1+ 소견이 관찰되었다. 또한 최근 7일 동안 체중이 3kg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자는 1년 전 좌심부전 진단을 받았으며, 고지혈증, 협심증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