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test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최초 생성일 2024.10.14
4,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special test"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특수 검사(Special Tests)
1.1. 어깨 관절(Shoulder Joint)
1.1.1. Apprehension Test
1.1.2. Apley's Scratch Test
1.1.3. Yergason Test
1.1.4. Drop Arm Test
1.1.5. Empty Can Test
1.1.6. Neer Impingement Test
1.1.7. Adson Maneuver
1.1.8. Allen Test
1.1.9. Roos Test
1.1.10. Acromioclavicular Joint Compression Test
1.1.11. Brachial Plexus Stretch Test
1.1.12. Clunk Test
1.1.13. O'Brien Test
1.2. 주관절(Elbow Joint)
1.2.1. Ligamentous Instability Test
1.2.2. Tests for Epicondylitis
1.2.3. Tests for Neurological Dysfunction
1.3. 손목 및 손(Wrist & Hand)
1.3.1. Percussion and Compression Tests
1.3.2. Long Finger Flexor Test
1.3.3. Finkelstein Test
1.3.4. Phalen Test
1.3.5. Tinel Test
1.3.6. Froment's Sign
1.3.7. Brunnel Littler Test
1.4. 고관절 및 골반(Hip & Pelvis)
1.4.1. Trendelenburg Test
1.4.2. Ober Test
1.4.3. Patrick (FABER) Test
1.4.4. Straight Leg Raising Test
1.4.5. Thomas Test
1.5. 무릎 관절(Knee Joint)
1.5.1. Medial/Lateral Collateral Ligament Test
1.5.2. Anterior/Posterior Drawer Test
1.5.3. McMurray Test
1.5.4. Apley's Test
1.5.5. Distraction Test
1.5.6. Apprehension Test
1.6. 발목 및 발(Ankle & Foot)
1.6.1. Talar Tilt Test
1.6.2. Thompson Test
1.6.3. Homan's Sign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특수 검사(Special Tests)
1.1. 어깨 관절(Shoulder Joint)
1.1.1. Apprehension Test

Apprehension Test는 견관절(어깨) 불안정성과 관련된 검사이다. 이 검사는 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과 전방 탈구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환자를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견관절을 90도 벌리고 팔꿈치를 90도 구부린다. 그 다음 검사자는 환자의 어깨를 살짝 외회전시키면서 부드럽게 앞쪽으로 압력을 가한다.

이 검사에서 과도한 전방 전위, 탈구, 또는 환자의 불안감이 증가하면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을 의심할 수 있다. 이는 관절와순(labrum) 파열, 관절낭 손상 등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Apprehension Test는 전방 탈구 위험성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며, 특히 외상 이력이 있는 경우나 재발성 불안정성이 의심되는 경우에 활용된다. 또한 수술 전후 평가에도 사용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Apprehension Test의 민감도는 약 90%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특이도는 40-70% 정도로 비교적 낮은 편이다. 따라서 이 검사 단독으로 진단을 내리기보다는 다른 검사 결과와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Apprehension Test는 견관절 불안정성 진단에 있어 유용한 이학적 검사 방법이지만, 검사 결과 해석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실제 병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영상의학적 검사나 관절경 검사 등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할 수 있다.


1.1.2. Apley's Scratch Test

Apley's Scratch Test는 견관절의 관절운동을 손쉽게 검사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검사는 견관절의 외전 외회전과 내전 내회전 동작을 평가한다.

검사방법은 다음과 같다. 환자에게 팔을 머리 뒤로 넘겨 반대측 견갑골에 대도록 한다. 이것이 견관절의 외전 외회전 동작이다. 그 다음 환자에게 팔을 열중쉬어 자세로 하여 반대측 견갑골 하방모서리에 대도록 한다. 이것이 견관절의 내전 내회전 동작이다.

이 검사에서 잘 안된다면 견관절에 병리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별적인 추가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Apley's Scratch Test는 견관절의 전반적인 관절운동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 방법이다. 이를 통해 견관절의 병변 유무와 그 위치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1.1.3. Yergason Test

위팔두갈래근고랑(bicipital groove) 내에 위팔두갈래근 긴갈래(상완이두근 장두, biceps long head)의 안정성 유무에 대한 검사인 요르가손 테스트(Yergason test)는 상완이두근 건과 상완 횡인대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환자는 앉거나 서서 팔꿈치 관절을 90도 굴곡하여 흉벽에 고정시키고 전완을 회내전 시킨다. 검사자는 한 손으로는 환자의 전완을, 다른 손으로는 상완골의 위팔두갈래근고랑 근처를 잡는다. 그리고 검사자는 환자에게 저항을 가한 상태에서 환자가 전완을 회외전하고 팔을 외회전하도록 지시한다.

검사 결과, 위팔두갈래근고랑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하거나 튕기는 느낌이 나타나면 이두근 장두의 힘줄 염증 또는 상완 횡인대의 불안정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반응은 위팔두갈래근 장두의 아탈구나 건염을 나타낼 수 있다.

요르가손 테스트는 상완이두근 장두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유용한 방법이며, 주관절 관절면과 관련된 병변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검사를 통해 상완이두근 장두의 아탈구나 건염 등의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이다.


1.1.4. Drop Arm Test

Drop Arm Test는 회전근개(rotator cuff)의 열상(tearing) 유무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이다. 특히 근육둘레띠(회전근개) 중에서도 극상근(supraspinatus)의 손상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환자는 치료대에 앉거나 선 상태에서 검사자는 환자의 팔을 90도 외전 시킨다. 그 후 환자에게 천천히 팔을 내리도록 지시한다.

이 검사에서 환자가 팔을 천천히 내릴 수 없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통증이 있다면 회전근개, 특히 극상근의 병변이 있음을 의미한다. 팔이 몸 옆으로 힘없이 떨어지게 되면 극상근 열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회전근개 손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급성 외상, 만성 질환, 퇴행성 변화 등이 있다. 급성 외상의 경우 낙상이나 갑작스런 견관절 운동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만성 질환으로는 석회화 건염, 부inpingement 증후군 등이 있다. 퇴행성 변화에 의한 경우는 주로 고령층에서 나타난다.

임상적으로 Drop Arm Test가 양성이면 회전근개의 열상을 강력히 시사한다. 하지만 단독으로 이 검사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우므로, 환자의 병력 청취, 다른 이학적 검사, 영상 검사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특히 근력 저하, 관절 운동 범위 제한, 어깨 통증 등의 증상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종합하면, Drop Arm Test는 회전근개 손상, 특히 극상근 파열을 진단하는 데 유용한 검사 방법이다. 그러나 다른 검사와 병행하여 포괄적으로 평가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1.1.5. Empty Can Test

근력약화와 통증이 나타난다면 극상근(supraspinatus)의 손상을 의미한다. 이 검사는 극상근의 근력과 건의 이상 유무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환자는 팔을 90도 벌리고 30도 수평내전 한 상태에서 엄지가 아래를 향하도록 내회전 한다. 검사자는 이 자세에서 환자의 팔에 내전과 하방 압력을 가한다.

정상인의 경우 이 자세에서 극상근의 수축으로 팔을 버틸 수 있다. 그러나 극상근의 파열이나 건염이 있다면 근력이 약해져 팔을 버티지 못하거나 통증이 발생한다.

이 검사는 극상근 병변을 찾아내는데 민감도가 높으며, 특히 극상근 건의 퇴행성 변화나 부분 파열을 감별하는데 유용하다. 다만 극상근 이외의 삼각근이나 상완 이두근의 병변도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어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1.1.6. Neer Impingement Test

'Neer Impingement Test'는 극상근(Supraspinatus)의 충돌 및 견봉하 점액낭염(Subacromial bursitis) 검사이다.

검사방법은 환자를 앉히고 검사자가 환자의 팔을 내회전 시킨 뒤 굽힘 시킨다. 즉, 환자의 팔을 어깨 아래로 충분히 내리며 동시에 내회전 시키는 동작을 취하는 것이다.

이 검사에서 환자가 어깨의 통증이나 가동범위 제한을 호소한다면 극상근의 충돌 또는 견봉하 윤활낭의 염증을 의심할 수 있다. 극상근은 어깨의 주된 외전근이자 회전근개의 일부로, 이 근육의 병변은 어깨의 기능장애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견봉하 점액낭의 염증은 어깨 통증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이다.

이 검사는 어깨 충돌증후군을 선별하는 데 효과적이다. 충돌증후군은 회전근개 및 상완이두근 건의 반복적인 마찰로 인해 발생하며, 극심한 어깨 통증을 동반한다. Neer Impingement Test는 이러한 병변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Neer Impingement Test는 극상근 및 견봉하 점액낭의 병변을 확인하는 유용한 검사라 할 수 있다.


1.1.7. Adson Maneuver

애드슨 수기법(Adson Maneuver)은 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의 신경학적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이다.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환자는 앉거나 서 있는 자세를 취한다. 검사자는 환자의 목을 검사하고자 하는 어깨 쪽으로 돌리게 한 뒤, 검사하고자 하는 팔을 약간 신전시킨다. 그 후 환자에게 깊게 호흡하도록 지시하며, 검사자는 환자의 요골동맥(Radial Artery)의 맥박을 체크한다.

이 검사의 반응은 다음과 같다. 맥박이 느껴지지 않거나, 약해지거나, 손의 색이 변하거나, 저림 증상이 나타나면 흉곽출구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는 사각근(Scalene Muscle)에 의해 쇄골하동맥(Subclavian Artery)이 눌려서 발생하는 것이다.

흉곽출구증후군은 근육, 신경, 혈관이 좁은 공간에 붐비면서 압박을 받아 발생하는 증상으로, 팔과 손의 통증, 마비, 근육위축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애드슨 수기법은 이러한 증상의 원인이 되는 신경학적 압박 여부를 확인하는 데 유용한 검사라고 할 수 있다.


1.1.8. Allen Test

Allen 검사는 요골 동맥과 척골 동맥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이다. 환자는 앉거나 서서 손목을 90도 굴곡하고 상완을 90도 외전 및 외회전 시킨 상태에서 검사자는 요골 동맥과 척골 동맥의 맥박을 촉지한다. 검사자는 한쪽 동맥의 맥박을 누르고 환자에게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하도록 지시한다. 정상인 경우 압력을 제거했을 때 손바닥이 즉시 붉게 변하지만, 동맥 협착이나 폐색이 있는 경우 5초 이상 창백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이 검사는 요골 동맥과 척골 동맥의 순환이 양호한지를 확인하는데 유용하다.Allen 검사는 상완 신경총 손상이나 흉곽출구 증후군을 진단할 때도 함께 사용되는 검사 방법이다. 검사자는 한손으로 요골 동맥을 누른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환자의 손을 쥐었다 펴게 하여 맥박의 감소나 소실을 확인한다. 환자의 머리를 검사 측 반대쪽으로 돌린 후 팔을 신전하게 하면 요골 동맥의 맥박이 감소하거나 소실된다. 이는 상완 신경총이나 쇄골하 동맥이 압박되었음을 의미한다.

Allen 검사는 요골 동맥과 척골 동맥의 순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임상 검사 방법이다. 동맥의 폐쇄나 협착이 있는 경우 손가락이 창백해지고 맥박이 느껴지지 않으므로, 손가락 및 손의 혈류 장애를 ...


참고 자료

-빠르고 정확한 정형외과 검진, Jeff G. Konin, Denise L. Wiksten , Jerome A. Isear, Jr Holly Brade공저, 군자출판사 2007
-사진으로 보는 척추와 사지의 검진, Bruce Reider, AB, MD 군자출판사 2006
-유재철,강홍제,고경환. SLAP 병변의 이학적 검사법. J.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Volume11, Number1, June, 2008
-David J.Magee. 정형도수치료진단학 개정4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