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성교육의 개요
1.1. 인성교육의 개념
인성교육은 "사람의 성품과 마음의 바탕을 기르는 교육"이다. 인성은 도덕, 인품, 인격, 덕성, 품성, 개성, 성격 등 다양한 요소를 포괄하는 가장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개념이다. 인성교육은 인간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며, 단순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넘어 인간다운 가치를 추구하고 사람다운 모습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물질문명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간성 상실을 극복하고, 획일화되고 형식적인 학교교육의 문제점과 입시위주의 지적 교육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매스미디어의 영향으로 인해 왜곡되고 상실되어 가는 인간의 기본 자질과 품성을 바로잡고, 이기주의와 개인주의적 경향을 극복하기 위해 인성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1.2. 인성교육의 필요성
오늘날 우리 사회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를 추진하면서, 물질적인 풍요와 번영은 이룩하였으나 경박한 외래문물의 무분별한 수용으로 공동체 의식이 약해지고 무엇보다 인간성 상실이라는 부작용을 낳았다. 즉 도덕이나 윤리, 더불어 사는 이웃으로서의 따뜻한 가슴을 지닌 인간미 넘치는 민주시민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소홀히 하여, 사회 곳곳에서 각종 비윤리적 행위와 무질서, 폭력, 님비현상 등 여러 가지 병리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 결과 국가, 사회적으로 도덕성을 회복하고 공동체 의식을 제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지식 위주의 학교 교육에서 사람다운 사람, 도덕적인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 바람직한 인성을 갖춘 사람을 길러 낼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학생들의 전인 교육이나 인간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처해 있는 환경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 중에서 학교 환경 즉 교사, 동료 등은 학생의 행동과 성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학교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파악하여 의도적인 인간 교육에 힘써야 한다. 흔히 가정, 학교, 사회가 삼위일체가 되어야 바람직한 교육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사회의 인간 교육 기능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인간교육에 대한 학교와 가정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학교는 가정교육 기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1.3. 인성의 구성요소
인성의 구성요소는 이타성, 정서적 안정성, 성실성 등으로 구성된다.
첫째, 이타성은 상대방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타성이 높은 사람은 상대방의 필요나 요구에 대해 동정심과 관심을 가지고 도움을 주고자 하는 성향을 보인다. 이타성과 관련된 특성에는 상대에 대한 믿음, 배려, 수용성, 겸손, 도덕성 등이 있다.
둘째, 정서적 안정성은 자신이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정서적 안정성이 높은 사람은 충동 조절을 잘하며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한다. 정서적 안정성과 관련된 특성에는 충동성, 저항성, 자의식, 우울, 불안 등이 있다.
셋째, 성실성은 규칙, 규범, 원칙을 기꺼이 지키려는 정도를 의미한다. 성실성이 높은 사람은 목표지향성, 자기통제력, 책임감, 조직화 능력 등이 뛰어나다. 성실성과 관련된 특성에는 완벽성, 자기통제, 목표지향, 책임감, 조직화 능력, 유능감, 자신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인성의 구성요소는 이타성, 정서적 안정성, 성실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요소들이 균형있게 발달할 때 바람직한 인성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2. 아동기 인성발달
2.1. 아동기 인성발달의 중요성
아동기 인성발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