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활속의 응급처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필요성
2. 심폐소생술의 역사
3. 심폐소생술의 변화과정
4. 심폐소생술 시행방법
4.1. 성인의 심폐소생술 시행방법
4.2. 영아, 소아의 심폐소생술 시행방법
5. 호흡 보조 장비
5.1. 기도유지 보조기구
5.2. 산소투여장치
5.3. 인공호흡 장비
6. 자동 심장충격기의 원리와 구성
7. 자동 심장충격기의 사용법과 주의사항
8. 생존 사슬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필요성
심폐소생술(心肺蘇生術, 영어: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이란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멈추었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이다. 심장마비의 경우 신속히 조치하지 않을시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환자를 발견한 목격자가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심장이 정지하고 약 5분 이상의 시간이 흐르면 뇌에 혈액 공급이 끊기며 산소가 차단되고 급격하게 뇌 손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뇌 손상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심해져서 기적적으로 생명을 부지한다고 해도 손상된 뇌로 인해 의식을 찾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심장이 정지하고 6분 이내로 심폐소생술 등의 응급조치를 받는다면, 생존율이 무려 3배나 상승한다. 그러므로 심정지 환자로 추정되는 사람을 마주했을 경우, 심폐소생술을 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먼저 구조를 요청한 후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각국에서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을 교육하고 있으며, 필요한 행동수칙들을 정리하여 배포하고 있다.
2. 심폐소생술의 역사
심폐소생술은 갑자기 심장이 멎은 사람을 살리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응급처치 방법이다.""과거에도 급작스러운 심정지가 발생한 사례가 종종 있었을텐데 과연 어떤 형태의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었을까.""구약성경 열왕기하 4장으로 보게 되면 인공호흡을 암시하는 듯한 구절이 나온다.""이 구절에서 보면 엘리사가 아이를 살리기 위해 아이 위에 올라 자신의 입을 아이의 입에 대고 있는 행동묘사가 있는데 이는 현대의 인공호흡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정식적으로 의학에서 대상자와 목격자의 입을 통한 인공호흡은 1732년 스코틀랜드 출신 의사인 '타사크'가 광산에서 연기를 흡입하고 쓰러진 광부에게 처음 시도한 것으로 전해진다.""그 후 소생술의 체계적인 틀을 갖추어지기 시작한 것은 1767년 암스테르담 구조학회에서부터다.""당시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에서는 매년 400명 이상의 많은 익사자가 발생하고 있었다.""그러나 암스테르담 구조학회가 활동을 시작한 지 4년 만에 150명 이상의 익사자를 구조하는데 성공하게 된다.""이후 유럽의 여러 국가와 미국의 주요 도시에 인명구조를 위한 여러 가지 조직이 생겨나게 되었다.""가슴을 압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처음 소생에 성공한 사람은 1892년 독일의 의사 '마스'이다.""오늘날 심폐소생술의 모습을 갖춘 술기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1950년대 부터였다.""1950년대 말부터 각각의 술기들의 유용성이 입증되면서 1957년 미군과 1958년 미국 의사협회에서 심정지 대상자와 목격자의 입을 통해 실시하는 인공호흡을 구조 호흡으로 정식으로 인정하였다.""1957년 오스트리아의 의사 '사파'를 중심으로 기도유지 후 인공호흡의 순서로 소생술을 강조하였고, 1960년 미국 메릴랜드의 학회 학술대회에서 인공호흡과 가습압박 동시 시행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사람은 언제 어디서든지 자신도 모르게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다.""그러므로 일반인들도 심폐소생술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한데 이에 대한 획기적인 방법을 제안한 사람이 바로 '고든' 박사이다.""고든 박사가 정립한 A-B-C 순서는 50년 가까이 유지되다가 2010년 지침 개정을 기점으로 C-B-A로 바뀌어 강조되기 시작했다.""이는 여러 연구들을 통해서 심정지 환자를 소생하는데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행동이 혈액순환을 돕는 가슴 압박이라는 사실이 알려졌기 때문이다.""또한, 일반인이 처음 보는 사람의 입에다 하는 인공호흡을 주저하다 가슴 압박을 하지 못해 뇌 손상을 막...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심폐소생술”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처치 가이드 “소아 심폐소생술”
국민건강보험공단 “생명을 살리는 심폐소생술의 역사와 변화” https://blog.naver.com/nhicblog/222120899465
행정안전부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심폐소생술”
서울대학교병운 응급처치 가이드 “자동 심장충격기”
자동제세동기의 원리 https://blog.naver.com/ohooms/221885234354
대한심폐소생협회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방법” http://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7742406&page_idx=1119
대한심폐소생협회 “국민행동지침”
http://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8172780&page_idx=1122
대한심폐소생협회 “생존사슬”
http://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7742406&page_idx=1117
『생활 속의 응급처치』, 김진회 저, 국립공주대학교출판부, 2009
2015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 - 사단법인 대한 심폐소생협회
[네이버 지식백과]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네이버 지식백과] 구급의학/소생의학 [Emergency Medicine/Resuscitation] (학문명백과 : 의약학, 신상엽)
[네이버 지식백과] 근사체험의 의학적 연구 (1) - 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차원으로의 이동이 있을 뿐. (죽음, 또 하나의 시작, 정현채)
[네이버 지식백과] 심폐소생술 (행정안전부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네이버 지식백과] 구강대 마스크 인공호흡 [mouth to mask breathing, 口腔對~人工呼吸]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네이버 지식백과] 포켓ㆍ마스크 [pocket mask, Taschenmaske]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네이버 지식백과] 마스크ㆍ백 [mask-bag, Maske-Sack]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위키피디아] Face shield (https://en.wikipedia.org/wiki/Face_sh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