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궁근종의 정의
1.1. 자궁근종의 특징
자궁근종은 자궁을 대부분 이루고 있는 평활근(smooth muscle)에 생기는 양성 종양이다. 자궁근종은 자궁 내에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점막하, 근층내, 장막하 근종으로 구분된다.""
자궁근종은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35세 이상 여성의 약 20~40%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다. 자궁근종은 여성의 생식기능에 방해를 주어 불임을 유발하거나 유산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임신 시 적색 변성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자궁근종이 크면 태아의 성장을 방해하여 자궁 내 성장 지연(IUGR)과 분만 3기에 태반 박리를 유발하여 산후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자궁근종은 외과적 수술, 호르몬 요법, 고식적 요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특히 자궁근종의 크기와 위치, 증상, 환자의 연령 및 출산력, 임신 계획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한다.""
1.2. 자궁근종의 발생 빈도
자궁근종은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20~40%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다"." 특히 30~45세에 호발하며, 폐경기 이후에는 대개 크기가 줄어든다"." 자궁근종은 자궁 내에서 가장 흔한 양성 종양이며, 가임기 여성의 약 20-40%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자궁근종의 발생 원인
자궁근종의 발생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러 연구 결과 에스트로겐에 의존하여 근종이 성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자궁의 평활근 세포 중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하나의 자궁근종을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가족 구성원 중 자궁근종을 가진 경우 자궁근종의 발생 위험도가 경도로 증가한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즉, 자궁근종의 발생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에스트로겐과 유전적인 요인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3. 자궁근종의 분류
3.1. 점막하근종
점막하근종은 자궁내막 바로 아래에 발생하며, 약 5%를 차지한다. 작은 크기로도 출혈의 원인이 되기 쉽고, 육경(peduncle)을 형성하여 자궁경부나 질 내로 이탈되기도 한다. 육경을 형성할 경우 근종의 표면은 괴사, 출혈 및 감염이 되기 쉽다"이다.
3.2. 근층내근종
근층내근종은 자궁근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자궁의 근육층에 발생하는 근종이다. 크기가 크고 다발성일 때는 자궁이 현저히 커지고 결절이 뚜렷하며 견고해진다.
근층내근종은 자궁근종 중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다. 근층내근종은 자궁의 근육층에 발생하는 근종으로, 자궁근종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런 근층내근종은 크기가 클수록 또는 다발성일 경우 자궁이 현저히 커지게 되며, 자궁 표면에 결절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단단한 질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근층내근종은 자궁근종 중 가장 흔한 형태이며, 크기나 개수가 많을수록 자궁의 전반적인 모양과 크기, 질감에 큰 변화를 초래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3.3. 장막하근종
장막하근종은 자궁을 덮고 있는 복막 바로 아래에 발생한다. 복막 아래에서 자라나기 때문에 종양이 크거나 육경형태로 자랄 경우 고형성 난소종양(solid ovarian tumor)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임신 시 동반될 경우 종양 표면을 지나가는 혈관이 터져 다량의 복강 내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임신 중 발견된 경우에는 신중한 관찰이 필요하다."
4. 자궁근종의 증상
4.1. 주관적 증상
자궁근종의 주관적 증상은 다음과 같다.
덩어리 촉지(palpable mass)는 하복부에서 만져지는 덩어리 혹은 하복부 팽만감을 의미한다. 이상 자궁 출혈(abnormal uterine bleeding)은 월경과다, 부정자궁출혈, 부정과다출혈을 포함하며, 특히 점막하근종의 경우 부정과다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만성골반통은 하복부 중압감, 월경곤란증 및 성교통을 말한다. 압박감은 방광 압박 시 빈뇨, 배뇨곤란 등의 하부요로증상과 직장 압박 시 약간의 변비증상, 하지의 부종과 정맥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신경간(nerve trunk) 압박 시 등이나 하지로 퍼지는 통증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월경과다로 인한 빈혈이 15~20% 정도 감소되기도 한다.
4.2. 객관적 증상
자궁근종의 객관적 증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궁근종이 커질수록 덩어리가 만져지고 자궁이 현저히 커지며 자궁 표면에 결절이 뚜렷해진다. 또한 근종이 크고 다발성일 경우 자궁의 크기도 크게 증가한다.""
근종이 장막하에 위치할 경우 고형성 난소종양(solid ovarian tumor)으로 오인될 수 있다. 특히 임신 중에 장막하근종이 동반되면 종양 표면을 지나가는 혈관이 터져 복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