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립중앙도서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립중앙도서관 개요
1.1. 시설 및 접근성
1.2. 도서관 조직
1.3. 예산
1.4. 이용자 종류
2.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요 기능
2.1. 자료 관리
2.1.1. 납본
2.1.2. 구입
2.1.3. 기증
2.1.4. 국제교환
2.2. 교육 및 훈련 서비스
2.3. 정보서비스
2.3.1.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3. 국립중앙도서관의 발전 방향
3.1. 국립중앙도서관의 역할 변화
3.2. 구체적인 발전 방안
3.2.1. 국가 문헌의 수집과 보존 강화
3.2.2. 홍보 강화
3.2.3. 전자책 서비스 활성화
3.2.4. 실시간 채팅 서비스 도입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립중앙도서관 개요
1.1. 시설 및 접근성
국립중앙도서관의 시설 및 접근성은 다음과 같다.
위치 면에서 국립중앙도서관은 1945년 10월 15일 서울 중구에서 개관한 이후 1974년 남산, 1988년 서초구 반포동으로 확장 이전했다. 현재 서초구 반포대로 201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조달청, 서초경찰서 등이 있고 건너편에 성모병원이 있다.
공간 크기 측면에서 국립중앙도서관의 본관은 지상 7층, 지하 4층 규모이며 부지 면적은 66,888㎡, 건물 면적은 59,510㎡에 이른다. 서고 면적이 25,964㎡, 자료실 면적이 12,434㎡, 사무실 면적이 4,421㎡이다. 별관인 학위논문관은 지상 4층, 지하 2층 규모로 부지 면적 12,316㎡, 건물 면적 8,050㎡이다.
접근성 측면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서초공원으로 둘러싸여 있어 편안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지만, 도서관에 처음 방문하는 이용자의 경우 도서관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다. 고속터미널역에서 도서관을 찾아가는 길에 명확한 안내 표지판이 없어 도서관을 찾기 어렵고, 언덕길과 긴 거리를 걸어야 해 노인이나 장애인의 접근성이 떨어진다.
1.2. 도서관 조직
국립중앙도서관의 도서관 조직은 다음과 같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조직도는 관장 아래 기획연수부, 행정관리부, 자료관리부, 정보서비스부, 디지털자료운영부, 자료보존부, 서지정보과 등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획연수부는 도서관 발전정책을 기획하고 도서관직원에 대한 교육·연수를 담당한다. 행정관리부는 예산, 회계, 인사 등의 행정 업무를 처리한다. 자료관리부는 자료의 수집, 정리, 보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정보서비스부는 자료의 이용서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등 도서관의 핵심 서비스를 담당한다. 디지털자료운영부는 디지털 자료의 구축 및 제공 서비스를 담당한다. 자료보존부는 소장 자료의 보존 관리를 전담한다. 서지정보과는 국가서지 작성, 표준화 등의 과제를 수행한다"."
1.3. 예산
국립중앙도서관의 예산은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13년 국립중앙도서관의 총 예산은 578억 3천 7백만 원이었다. 이 중 도서관 자료 확충비로 59억 7천 8백만 원(10.3%)을 사용하였고, 디지털정보자원 확충비로 57억 8천 6백만 원(10.0%)을 사용하여 총 자료구입비에 117억 6천 4백만 원(20.3%)의 예산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방대한 장서 구축을 위해 자료수집과 디지털자원 확충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또한 2013년 장서 수집은 납본이 75.9%, 기증이 9.1%, 구입이 8.5%, 교환이 4.7%, 자체생산이 1.8%를 차지하고 있어 납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립중앙도서관이 예산의 효율적 배분과 다양한 자료수집 방식을 통해 방대한 장서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4. 이용자 종류
국립중앙도서관의 이용대상자는 정보이용·조사·연구 등을 목적으로 소장 도서관자료를 이용하고자 하는 16세 이상인 자로 한다. 다만, 관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는 예외로 할 수 있다. 이용대상자는 16세 이상인 일반인, 연구원, 도서관 사서 등으로 나뉜다. 일반인들은 주로 정보이용과 자기계발을 위해 도서관을 이용하며, 연구원들은 학술적 조사와 연구를 위해 도서관 자료를 활용한다. 사서들의 경우, 도서관 실무에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얻기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을 방문한다. 이처럼 국립중앙도서관은 다양한 목적과 배경을 가진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요 기능
2.1. 자료 관리
2.1.1. 납본
납본이란 도서관자료를 발행하거나 제작한 자가 일정 부수를 법령에서 정한 기관에 의무적으로 제출하는 것을 말하며, 1965년부터 시행되었다. 도서관법 제 20조(도서관자료의 납본)에서는 누구든지 도서관자료(온라인 자료 제외)를 발행 또는 제작한 경우 그 발행일 또는 제작일 부터 30일 이내에 그 도서관자료를 국립중앙도서관에 납본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규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도서관자료를 발행 또는 제작한 자에게 ...
참고 자료
곽동철, “국립중앙도서관의 사명과 역할 수립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 권, 제3호, p. 207-208, 2004
독서신문, 2011년 2월 5일자
이용훈 외 20인, 사서가 말하는 사서, 부키, 서울, 2012
이은철, “국립중앙도서관의 발전과 새로운 역할의 모색”, 人文科學, 제30권, 제1호, pp.101-122, 2000
장혜란, “디지털 참고봉사의 이용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4호, pp. 215-228, 2004
정진한, “대학도서관 전자책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대학원, 대구, pp. 119, 2009
주제정보과 디지털참고봉사 협력네트워크 구축 연구팀, “해외 협력형 디지털 참고봉사 사 례조사”, 도서관, 61권, 1호, pp.115-164, 2006
한상일 외, “국립중앙도서관의 서비스품질과 그 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도서관정 보학회지, 제42권, 제1호, pp.295-311,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