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국립중앙도서관2024.10.121. 국립중앙도서관 개요 1.1. 시설 및 접근성 국립중앙도서관의 시설 및 접근성은 다음과 같다. 위치 면에서 국립중앙도서관은 1945년 10월 15일 서울 중구에서 개관한 이후 1974년 남산, 1988년 서초구 반포동으로 확장 이전했다. 현재 서초구 반포대로 201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조달청, 서초경찰서 등이 있고 건너편에 성모병원이 있다. 공간 크기 측면에서 국립중앙도서관의 본관은 지상 7층, 지하 4층 규모이며 부지 면적은 66,888㎡, 건물 면적은 59,510㎡에 이른다. 서고 면적이 25,964㎡, 자료...2024.10.12
-
시각장애아 조치2025.04.051. 시각장애아동의 교육적 조치 1.1. 시각장애아동의 특성 1.1.1. 신체 및 운동능력 시각장애아동은 정안 아동과 큰 차이는 없으나, 작거나, 뚱뚱하거나, 야윈 신체를 가지는 경향이 많다. 시각장애는 신체발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시각적 자극의 제한, 모방학습의 제한, 환경적 요인 등이 발달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시각장애아동의 신체 이상은 자세와 걸음걸이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리의 앞쪽 경사와 배면의 척추 후반 등과 빈약한 둔부, 무릎 굴곡, 두 다리를 벌린 폭 넓은 걸음걸이를 나타내기도 한다. 대체로...2025.04.05
-
도서관의 철학적 방향2024.10.071. 서론 현대 사회는 지식정보화 사회라고 불릴 정도로 지식과 정보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그래서 인간의 지적자유 보장을 위해 법으로도 그 권리를 보호하고 있다. 하지만, 예로부터 지식은 언제나 권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언제나 권력에 의해 사용되고 권력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기제로 작용하는 속성이 있다. 이러한 공권력에 의한 지식의 통제는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한 사회적 장치인 도서관에서도 공공연하게 나타난다. 즉 공공 도서관에서의 장서검열이 문제시 되는 것이다. 전통적 인쇄매체인 도서의 검열을 넘어 인터넷을...2024.10.07
-
국가전자도서관 연계 시스템 분석2025.07.141. 서론 1.1. 국가전자도서관 구축 추진배경 국가전자도서관 구축사업은 국내 주요 도서관을 연계하여 국가정보능력을 신장시키고 지역 간 균형있는 발전을 꾀하며, 향후 전국도서관들을 연결하여 국가문헌정보 유통체제를 구축하는 정보화 기반을 확립하고자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계획에 맞춰 1996년부터 6차에 걸쳐 추진되었다. 정보화 혁명의 대국민 인식수단과 초고속정보통신망의 주요 응용서비스로 부각되었고, 선진 각국의 전자도서관 구축의 국가적 추진이 이루어졌으며, 국내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과 보급 확대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국민이 쉽게...202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