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윤리에 관한 수업의 질문 몇가지만 알려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상세정보

소개글

"직업윤리에 관한 수업의 질문 몇가지만 알려주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유아교사 이미지와 자질
1.1. 유아교사와 직업 이미지
1.2. 유아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선행연구
1.3. 현대사회에서 추구하는 유아교사의 인간상
1.4. 본인이 추구하는 유아교사의 인간상
1.5. 본인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탐색
1.6. 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탐구
1.7. 본인이 생각하는 유아교사의 자질과 자질함양을 위한 노력

2. N번방 사건과 성범죄 대응
2.1. N번방 사건의 배경
2.2. 성범죄 대응을 위한 법안 개정
2.3. 영화 《스포트라이트》를 통해 본 성범죄와 커뮤니케이션

3. 경영학과 소개
3.1. 경영학과 정의 및 특징
3.2. 졸업 후 진로
3.3. 학생부종합전형 대비 과목 선택 방법
3.4. 관련 교과목
3.5. 개설 대학

4. 경영학과 지원을 위한 생활기록부 작성
4.1. 경제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4.2. 독서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4.3. 한국 지리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4.4. 진로와 직업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4.5. 영어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4.6. 영어 독해와 작문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4.7. 환경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4.8. 확률과 통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4.9. 과학 탐구실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유아교사 이미지와 자질
1.1. 유아교사와 직업 이미지

이미지는 한 대상에 대하여 사람이 가지고 있는 신념이나 집합체이며 태도를 형성하는 요소이고 주관적 지식이자 어떤 대상에 대한 평가이다. 이러한 이미지는 개인에 따라 동일한 대상에 대해 다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지만, 대상이나 조직에 대한 이미지는 많은 사람들이 공통으로 알고 있거나 느끼는 관념, 생각으로 특정 조직에 대한 이미지는 독특한 고유 자산이 되어 쉽게 모방하거나 빼앗아 갈 수 없다.

직업 이미지는 직업에 대하여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신념 및 인상의 집합체로, 각 직업에 종사하는 개인들의 성격적 특성, 일의 유형, 개인적인 삶의 유형, 보수 등 직업과 관련된 총체적인 인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의 조건과 주변 사람들에 대한 적합성을 바탕으로 직업에 대한 공통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며, 직업 이미지는 그 직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가치와 그 직업으로부터 나타나는 인상이다.

유아교사에 대한 직업이미지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을까? 유아교사론에서는 그 시대에 유아교사를 바라보는 사회적인 상이 담긴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보여주고 있다. 1960년대 교사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영화에서 교사는 성자상(聖者像)이며,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입시위주의 교육을 비판하는 영화나 교사와 학생의 수평적 관계를 풍자한 영화 등 사회적 변화와 교사의 고민을 담아내고 있다. 이처럼 책, 소설, 드라마, 영화에서는 그 시대가 요구하는 교사상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그 시대의 교사에 대한 직업이미지를 만들어낸다.


1.2. 유아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선행연구

유아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사 주변에 위치한 학부모, 동료 교사, 유아, 예비교사, 언론, 대중매체에서 나타나는 유아교사와 보육교사의 이미지를 주로 다루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금란(2000)의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관해 다루었고, 손유진 외(2008)의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정림(2009)의 연구에서는 학부모와 대학생의 유치원 교사 이미지를 다루었으며, 임지숙(2019)의 연구에서는 영유아 어머니의 보육교사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 원인에 관해 조사하였다.

이들 연구에서 나타난 유아교사 및 보육교사에 대한 공통적인 이미지는 교육전문가, 제 2의 부모, 건강하고 밝은 이미지, 유아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지닌 사람, 순수하고 다재다능하며 아이들을 먼저 생각하는 책임감 있는 사람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현숙(2005), 이은진(2014), 정은미 외(2016) 연구에서는 대중매체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는데, 여성으로 표현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순수하고 여리며, 여성스럽고 청순한 사람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조윤주(2007), 박혜운(2009), 김지영(2014)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 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는데, 여성성, 활동적, 미소, 사랑, 보호, 헌신, 돌봄, 가르침, 교육자 등의 이미지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윤소정(2012) 연구에서는 원장이 인식하는 교사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는데, 양육보호자, 사랑제공자, 희생자, 봉사자, 도전자, 교육프로그램 계획자, 만능엔터테인먼트, 모범이 되는 사람, 웃는 사람 등의 이미지가 도출되었다"


1.3. 현대사회에서 추구하는 유아교사의 인간상

현대사회에서 추구하는 유아교사의 인간상은 다음과 같다.

현재 유치원 교육과정인 2019개정 누리과정에서는 유아 중심의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다.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감성이 풍부한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이 그것이다. 이는 유아가 현재 추구하고 앞으로 성장해 나가야 할 모습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성인인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인간상은 이와는 다른 측면이 있다. 박비송(2020)의 연구에 따르면 현대 사회에서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인간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전문가로서의 인간상을 가져야 한다.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교사의 역할이 중요시되며, 교사의 전문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둘째, 유아교사는 안내자로서의 인간상을 지녀야 한다. 교사는 생활주제와 유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다양한 놀이를 준비하고, 유아가 자유롭고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셋째, 유아교사는 평가자로서의 인간상을 가져야 한다. 교사는 계획한 교육이 잘 이루어졌는지, 유아의 흥미와 개인차, 성장이 잘 일어났는지 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또한 예비교사인 연구자가 추가로 제시한 인간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탐구자의 인간상을 지녀야 한다. 끊임없이 유아의 반응과 수업 결과를 탐구하며, 더 나은 교육을 실현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둘째, 유아교사는 협력적으로 일하는 공존하는 인간상을 지녀야 한다. 동료 교사뿐만 아니라 부모, 지역사회와도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며 협력해야 한다. 셋째, 유아교사는 관찰자의 인간상을 가져야 한다. 유아의 주도적인 놀이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유아의 발달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유아교사는 인내하는 인간상을 가져야 한다. 유아에게 교사의 기분이나 상태에 따라 흔들리지 않는 평정심과 공평한 애정을 가지고 대해야 한다.

이처럼 현대 사회에서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인간상은 전문가, 안내자, 평가자의 모습을 넘어서 탐구자, 협력자, 관찰자, 인내자의 모습까지 포함한다. 유아교사는 이러한 다양한 자질과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1.4. 본인이 추구하는 유아교사의 인간상

본인이 추구하는 유아교사의 인간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문가로서의 인간상을 추구한다. 유아교사는 교육과정의 운영에서 전문적인 역할이 중요하므로, 유아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유아의 발달 단계와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에게 적절한 교육 지원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안내자 및 촉진자로서의 인간상을 추구한다. 유아는 교사의 도움과 지원을 통해 자유롭고 즐겁게 자신의 발달을 이루어나갈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생활 주제와 유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다양한 놀이를 준비하고, 유아가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촉진해야 한다.

또한 평가자로서의 인간상을 추구한다. 교사는 교육 계획에 따라 적절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졌는지, 유아의 흥미와 개인차, 성장이 잘 이루어졌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교육 과정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공평성과 균형성을 유지하며 유아를 관찰하고 평가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더불어 본인은 탐구자로서의 인간상도 추구한다. 교사는 유아의 반응과 수업 결과에 관심을 가지고, 더 나은 수업 방안을 끊임없이 탐구하고 적용하여 발전해 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협력적으로 일하는 공존하는 인간상을 추구한다. 교사는 동료 교사는 물론 부모, 지역사회와도 원만한 관계를 맺으며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유아가 다양한 관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내하는 인간상을 추구한다. 이는 유아에게 교사의 기분과 상태에 따라 변화하지 않고 공평하게 대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유아에 대한 사랑과 애정을 잃지 않는 자세를 의미한다.

위와 같은 인간상은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유아교사의 모습과도 일치하며, 예비 교사로서 본인이 추구하는 바이다. 이를 위해 전문적 지식과 기술 함양, 유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건강한 자아상의 유지, 동료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소통 등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고자 한다.


1.5. 본인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탐색

본인은 유아교사를 "신호등"이라고 생각한다. 신호등은 빨간색, 주황색, 초록색의 불빛이 일정한 간격으로 번갈아가며 나오며 보행자와 주행자의 행동을 제한하거나 행하게 하는 ...


참고 자료

김지영 (2014). 예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의 이미지 분석. 녹색산업연구, 20(2), 7-13.
류수정 (2018). 직업가치와 직업이미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비송.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부산
박혜훈 (2009). 예비유아교사의 영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손유진, 이규진, 이정주 (2008). 유아교사 이미지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인간과 문화연구, 0(14), 63-100.
손유진, 이연선 (2006). 자유놀이에서의 남아와 여아의 담화전략 및 권력관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5), 269-290.
이금란 (2000).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유주 (2008). 희망직업이미지와 자기이미지 일치성이 고등학생의 진로선택 및 진로경로에 미치는 영향,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은진 (2014). 그림책에 나타는 유아교사 이미지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림 (2008). 학부모와 대학생의 유치원 교사 이미지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혜진. "유아교사의 개인적 및 전문적 자질에 관한 실태." 국내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부산
임지숙 (2019), 영유아 어머니의 보육교사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 원인에 관한 질적 연
구,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소정 (2012) 원장이 인식하는 교사 이미지 분석,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미, 이무영, 박주현 (2016). 언론에 나타난 보육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1(2), 323-343.
조윤주 (2007). 유아교사와 유아가 인식한 유아교사의 이미지 이해. 유아교육연구,
27(3), 315-335.
Boulding, K. E. (1980). 인간과 사회의 이미지. 구자성 (역). 서울: 범조사. (원저는 1956 출판).
Gottfredson, L. S.(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6), 545.
온라인뉴스 기사, 온라인 사전, 칼럼, 유튜브 순으로 정리함.
특별취재팀, 「텔레그램에 퍼지는 성착취 영상…“알바 모집” 속아 ‘노예’가 되었다」,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women/918321.html, 2019.11.25.
윤한슬 기자, 「소라넷 폐쇄 이후 들끓는 그곳 ‘텔레그램 N번방’이 뭐길래」,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1221102371488?did=NA&dtype=&dtypecode=&prnewsid, 2020.01.22.
김혜린 기자, 「‘n번방’ 방지법 오늘 본회의 처리」,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Z1NG5DX4H, 2020.04.28.
이승윤 기자, 「‘불법 성적 촬영물’ 소지·시청만 해도 처벌된다」, 『법률신문』,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161275, 2020.04.30.
송우일 기자, 「“현대사회 위험은 예측 불가능... 사회통합으로 극복해야”」, 『경기일보』,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mod=news&act=articleView&idxno=1084149, 2015.11.29.
김효실 기자, 「어떻게 말로 공격하고 막았나」, 『한겨레21』, http://h21.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43300.html, 2017.03.27.
현예슬 기자, 「기자가 파헤친 가톨릭 사제의 아동 성추행」,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2446589, 2018.03.16.
전준범 기자, 「“음지에서 아동 음란물 거래? 우린 다 찾아냅니다”」, 『조선비즈』,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24/2020042402437.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2020.05.01.
네이버 지식백과, 심리학용어사전, ‘인지 부조화 이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8656&cid=41991&categoryId=41991, 2020.05.02.
김은희 에디터, 「성직자들의 아동 성추행 사건에 대하여」, 『Esquire』, https://www.esquirekorea.co.kr/article/36558, 2018.10.02.
당신은 인지부조화를 잘못 알고 있다?! - 모순적 상황에 대한 인간의 심리, 쏘시오팩토리, https://www.youtube.com/watch?v=JBuWJJpdP3U, 2020.05.0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