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Fatime Sanogo"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1.1. 정의
1.2. 원인
1.2.1. 조기 산후출혈
1.2.2. 만기 산후출혈
1.3. 증상
1.4. 진단 및 검사
1.4.1. 적혈구 용적률 검사
1.4.2. 출혈량 확인
1.4.3. 활력징후의 변화
1.5. 치료 및 간호
1.5.1. 자궁 마사지
1.5.1.1. 자궁 저부 마사지
1.5.1.2. 양손 압박법
1.5.2. 약물 치료
1.5.2.1. Oxytocin
1.5.2.2. Carbetocin
1.5.2.3. Methylergonovine
1.5.2.4. Carboprost tromethamine
1.5.2.5. Misoprostol
1.5.3. 수액요법
1.5.4. 수혈요법
1.5.5. 수술적 치료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1.1. 정의
산후출혈의 정의는 "질식 분만 후 산도를 통하여 5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나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과도한 출혈로 인해 현기증, 허약감, 심계항진, 발한, 혼돈과 같은 증상이나 저혈압, 빈맥, 핍뇨, 낮은 산소포화도(95% 이하)와 같은 저혈량증의 증상이 있는 경우도 산후출혈로 정의하고 있다. 산후출혈은 크게 분만 후 첫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조기(일차성) 산후출혈과 분만 24시간 이후부터 산후 6주까지 발생하는 만기(이차성) 산후출혈로 구분할 수 있다.
1.2. 원인
1.2.1. 조기 산후출혈
조기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로,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자궁무력증(자궁이완)이 조기 산후출혈의 약 80%를 차지하는 주된 원인이며, 그 외에도 산도열상, 혈종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무력증(자궁이완)은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다태임신, 양수과다증 등으로 인해 자궁이 과도하게 팽창하는 경우와 자궁감염, 자궁이완제의 사용, 유도분만, 자궁내반증, 잔류태반 등이 자궁무력증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자궁의 수축력을 저하시켜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자궁무력증으로 인한 출혈은 보통 분만 직후 1-2시간 내에 나타난다.
다음으로 산도열상은 조기 산후출혈의 두 번째 주요 원인이다. 회음부, 질, 자궁경관의 열상은 분만하는 동안 발생하며, 보통 출산 후 1시간 이내에 출혈을 유발한다. 기계분만(겸자, 흡입분만), 급속분만, 정중 회음절개, 짧은 회음체, 협골반, 큰 태아, 비정상적인 태위, 아두골반 불균형, 옥시토신 사용, 근육의 탄력성 이상, 과도한 쇄석위 등이 산도열상의 위험인자이다.
마지막으로 외음이나 질점막 아래의 결합조직에 혈액이 축적되는 혈종도 조기 산후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기계분만, 초산, 회음절개술, 급속분만, 거대아, 분만 2기의 지연 등이 혈종 발생의 위험요인이며, 심한 통증과 압박감이 주증상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조기 산후출혈은 대부분 자궁무력증, 산도열상, 혈종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며,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심각한 출혈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산후출혈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신속한 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2. 만기 산후출혈
만기 산후출혈은 분만 24시간 이후부터 산후 6주까지 발생되는 출혈로, 퇴축부전과 잔류태반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태반부착부위는 출산 후 가장 나중에 재생되는 부위로, 퇴축부전의 경우 태반 부위를 메우기 위한 자궁내막과 탈락기저막의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퇴축부전이 있으면 자궁저부 높이가 보다 높으며 오로 또한 정상적으로 적색에서 장액성 그리고 백색으로 변화하지 못한다.
잔류태반은 분만 3기의 잘못된 관리나 태반의 비정상적 유착으로 인해 발생한다. 태반조직이 자궁 내에 잔류하여 태반조직이 괴사되고 태반용종을 형성하며, 용종이 떨어지면서 출혈이 발생한다.
만기 산후출혈은 퇴축부전과 잔류태반이 가장 흔한 원인이므로, 산모의 자궁저부 높이와 오로의 양상을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퇴축부전을 조기에 발견하고, 태반의 완전한 분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함께 적절한 약물 치료와 수액 및 수혈 요법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신속히 시행하여 출혈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1.3. 증상
모든 산모는 출산 후에 정상적으로 자궁에 남아있던 찌꺼기들이 밖으로 나오는 오로를 겪게 된다. 평소 생리 때보다 많은 양의 피가 나오며, 오로의 양은 자궁이 ...
참고 자료
제7판 여성건강간호학Ⅱ l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Ⅰ l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l 수문사 l
여성건강간호학Ⅱ l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l 수문사 l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18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18
성미혜 외 3명,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2018,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http://www.khmcpharm.com/Sub02/Sub_02.aspx?categoryID=1&searchKey=T&searchKeyWord=¤tPage=1&mode=VIEW&srno=230
네이버 지식백과,『이완성 자궁출혈』,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98790&cid=51028&categoryId=51028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021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산후출혈의 진단과 관리”,
https://www.anesth-pain-med.org/upload/pdf/Apm008-04-01.pdf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질환정보사전, “산후출혈”,
https://www.dcmc.co.kr/content/05info/01_0102.asp?d_num=3891&prepage=%2Fcontent%2F05info%2F01%5F01%2Easp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분만 후 출혈”,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