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으 니까 를 주제로한 수업지도안을 작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1.1. 초급 한국어교육에서 문법항목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차이점
1.1.1. 서론
1.1.2.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차이점
1.1.3. 수업 지도안
1.1.4. 결론
1.2. 한국어 문법교수법에서 PPP 모형 적용
1.2.1. 서론
1.2.2. PPP 모형의 개념
1.2.3. 비교조사 '보다'의 PPP 모형 수업지도안
1.2.4.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1.1. 초급 한국어교육에서 문법항목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차이점
1.1.1. 서론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이는 다소 생소한 개념일 것이다. 이처럼 생소한 형태의 언어를 학습해야 하는 교육에 있어서 이와 같은 문법 항목들을 적절히,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수행하게 하게끔 하는 한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일반적인 외국인 학습자들은 기능은 비슷하나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는 문법 항목들을 명확히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을 어렵게 느낀다. 왜냐하면 각각의 문법 항목들의 형태적, 의미적, 통사적, 화용적인 차이를 구별하여 어떤 항목을 어느 상황에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적절한지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인들도 성장과정에서 이를 자연스럽게 습득하지 않았다면 문법으로서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하여 나는 본 과제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이 많은 고초를 겪고 있는 문법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다. 초급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항목 연결어미 가운데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보고, 그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수업 지도안을 작성해 볼 것이다.
1.1.2.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차이점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으)니까'는 주로 주관적인 이유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는 말하는 사람 개인의 생각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이유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으)니까'가 이어진 선행절은 후행절에 대한 개인적인 이유가 된다. 이는 주로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사용되며, 말하는 사람의 이유를 분명히 밝히고 싶을 때 사용된다. 또한 '-(으)니...
참고 자료
이미지,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 '이/가', '은/는'의 제시 방법에 대한 연구, 부경대학교, 2013.
유해준, 유사 기능의 한국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 '-아/어서, -(으)니까,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2015.
이주행.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론. 보고사, 2017.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학습교안(9주차 2차시)